• 제목/요약/키워드: Fusarium subglutinan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First Report of Pitch Canker Disease on Pinus rigida in Korea

  • Lee, Jong-Kyu;Lee, Sang-Hyun;Sung-II Yang;Lee, Yin-W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1호
    • /
    • pp.52-54
    • /
    • 2000
  • Pitch canker of Pinus rigida, caused by Fusarium subglutinans f. sp. pini, was first noticed in Inchon, Korea, and is now being spread into other plantations of pines. Typical symptoms re resin flows from canders on the shoots, branches, and trunks, and resin-soaking of the sap wood under the bark. Pathogenic fungi were isolated from the infected shoots, branches, and sees on Fusarium-selective medium. Mycelial growth and microscopic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Pathogenicity test was carried out by inoculating four common species of pines (P. rigida, P. densiflora, P. thunbergii, and P. koraiensis) in Korea. P. rigida and P. thunbergii showed symptoms identical to those of naturally infected trees, while P. densiflora and P. koraiensis remained free symptomless.

  • PDF

우리나라 벼와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Gibberella fujikuroi 종복합체와 Fusarium commune 소속 균주의 푸모니신 생성능 (Fumonisin Production by Field Isolates of the Gibberella fujikuroi Species Complex and Fusarium commune Obtained from Rice and Corn in Korea)

  • 이수형;김지혜;손승완;이데레사;윤성환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10-316
    • /
    • 2012
  • Gibberellea fujikuroi (Gf) 종복합체는 최소 15개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식물에 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 푸모니신과 같은 곰팡이독소를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벼와 옥수수로부터 분리한 Gf 종복합체 소속 야생형 균주의 푸모니신 생성능을 검정하였다. 이들 분석대상 균주는 모두 푸모니신 생합성에 필수적인 polyketide synthase 유전자 FUM1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88주의 Gf 종복합체 소속 균주(55 F. fujikuroi, 10 F. verticillioides, 20 F. proliferatum, 2 F. subglutinans, 1 F. concentricum)와 Gf 종복합체의 근연종인 4주의 F. commune를 쌀 배지에 배양한 후 각 균주의 푸모니신 생성 농도를 HPL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대부분의 F. verticillioides과 F. proliferatum 균주는 기주 식물에 관계없이 푸모니신 $B_1$($0.5-2,686.4{\mu}g/g$)과 $B_2$($0.7-1,497.6{\mu}g/g$)를 다양한 범위 내에서 생성하였다. 반면 모든 F. fujikuroi을 비롯한 다른 Fusarium spp.의 균주로부터는 푸모니신이 검출되지 않았거나 $10{\mu}g/g$ 이하 수준의 미량만 검출되었다. 흥미롭게도 F. proliferatum과 F. fujikuroi의 경우, 옥수수 유래 균주 집단에서 벼 유래 균주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농도 푸모니신 생성 균주의 비율이 높았다. 한편, FUM1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F. commune의 푸모니신 생성능은 본 연구를 통해 처음 보고된다.

Assessment of Pathogenic Variation against Pitch Canker Pathogen, Fusarium circinatum in Pinus thunbergii and Responses of Natural Selection Pinus × rigitaeda to Branch Inoculation in a Seed Orchard

  • Woo, Kwan-Soo;Yoon, Jun-Hyuck;Han, Sang-Urk;Kim, Chang-S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99-305
    • /
    • 2010
  • A half-sib family of two 4-year-old seedlings of Pinus $\times$ rigitaeda was inoculated with each of 20 Pinus thunbergii isolates of Fusarium circinatum (syn. Fusarium subglutinans f. sp. pini) from two pitch canker damaged sites in Jeju Island, South Korea. Initial symptoms of needle damages were visible on most of the seedlings at 18 days after inoculation. The 20 tested isolat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virulence, based on lesion lengths at the site of inoculation (P = 0.217). The most virulent isolate FT-7 showed the longest lesion length. Some seedlings began to die 46 days after inoculation. All seedlings were dead by 68 days after inoculation except two seedlings inoculated with each of isolates FS-2 and FS-13, respectively. Using the FT-7, 38-year-old 11 P. $\times$ rigitaeda trees, which were survived from a seed orchard severely damaged by pitch canker, were inoculated on branches in the seed orchard in Jeju Island to assess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pitch canker. The 11 trees differed significantly (P < 0.001) in susceptibility to F. circinatum based on average lesion lengths measured 56 days after inoculation. It is possible that induced resistance contributed to their capacity to limit lesion development. The susceptibility of natural selection P. $\times$ rigitaeda trees are more likely affected by interaction with F. circinatum rather than environmental conditions.

종 특이 primer를 이용한 옥수수 오염 Fusarium verticillioides의 PCR 검출 (Detection of Fusarium verticillioides Contaminated in Corn Using a New Species-specific Primer)

  • 강미란;김지혜;이승호;류재기;이데레사;윤성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9-375
    • /
    • 2011
  • Fusarium verticillioides(완전세대: Gibberella moniliformis)는 Gibberellea fujikuroi 종 복합체에 속하는 식물병원균으로서 옥수수의 줄기와 이삭에 썩음병을 일으킬 뿐 아니라 인축에 중독증을 일으키는 fumonisin 곰팡이 독소를 생산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옥수수에 주로 발생하는 fumonisin 생성가능 G. fujikuori 종 복합체 소속 Fusarium 곰팡이 중 F. verticillioides와 그 외 F. proliferatum, F. fujikuori 등을 서로 구별할 수 있는 종 특이적 PCR primer 조합을 개발하는 것이다. RNA polymerase II beta subunit 유전자(RPB2)의 염기서열로부터 제작된 특이 primer 조합(RVERT1와 RVERT2)은 우리나라 옥수수에서 분리한 잠재적인 fumonisin 생성 G. fujikuori 종 복합체 균주 중 오직 F. verticillioides로부터 208 bp 크기의 단일 DNA 절편을 증폭하였다. 한편 F. verticillioides를 포함한 모든 조사균주는 fumonisin 생합성에 필수적인 FUM1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었다. 개발된 특이 primer 조합의 검출한계는 분석 곰팡이 DNA 0.125 pg/${\mu}l$ 수준이었다. 한편, 같은 primer 조합으로 Fusarium spp.에 오염된 옥수수 시료의 게놈 DNA로부터 F. verticillioides 특이 DNA 절편이 증폭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본 연구에서 개발된 primer 조합은 여러 곡물 시료에 오염되어 있는 F. verticillioides 균주의 검출과 종 동정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Bacillus spp.를 이용한 옥수수 밑둥썩음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Fusarium Stalk Rot of Maize Using Bacillus spp.)

  • 한준희;박기창;김준오;김경수
    • 식물병연구
    • /
    • 제21권4호
    • /
    • pp.280-289
    • /
    • 2015
  • 옥수수는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작물이다. 옥수수의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생산량은 연작과 Fusarium spp.와 같은 토양전염성 곰팡이병의 감염에 의해 줄어들고 있다. 최근에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F. subglutinans와 F. temperatum에 의해 발생되는 옥수수 밑둥썩음병의 발생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병에 걸리지 않은 건전한 옥수수 토양 근권에서 F. subglutinans와 F. temperatum에 대치배양을 통해 항균활성을 보이는 3 균주(GC02, GC07, GC08)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3 균주 중 GC02와 GC07이 균사생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한 결과, GC02는 Bacillus methylotrophicus, GC07은 B. amyloliquefaciens 그리고 GC08은 B. thuringiensis로 동정되었다. 또한, GC02와 GC07은 포자발아의 억제에도 효과적이었다. 3개의 Bacillus 균주들은 모두 protease의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cellulase 활성은 GC07과 GC08에서만 나타났다. 그리고 불용성 인산의 가용화와 siderophore의 생산은 GC02와 GC07이 비교적 GC08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줄기에 2개의 Fusarium과 접종하여 발병억제효과를 검정한 결과 B. amyloliquefaciens GC07이 가장 효과적인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B. methylotrophicus GC02와 B. amyloliquefaciens GC07은 다른 식물병원성 진균들도 효과적으로 균사생장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B. methylotrophicus GC02와 B. amyloliquefaciens GC07은 식물병원성 진균방제에 생물학적 방제제로서 역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Phenazine and 1-Undecene Producing Pseudomonas chlororaphis subsp. aurantiaca Strain KNU17Pc1 for Growth Promotion and Disease Suppression in Korean Maize Cultivars

  • Tagele, Setu Bazie;Lee, Hyun Gu;Kim, Sang Woo;Lee, Youn 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호
    • /
    • pp.66-78
    • /
    • 2019
  • In this study, strain KNU17Pc1 was tested for its antifungal activity against Rhizoctonia solani AG-1(IA), which causes banded leaf and sheath blight (BLSB) of maize. KNU17Pc1 was tested further for its broad-spectrum antifungal activity and in vitro plant growth promoting (PGP) traits. In addition, the in vivo effects of KNU17Pc1 on reduction of BLSB severity and seedling growth promotion of two maize cultivar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MLSA), KNU17Pc1 was confirmed as P. chlororaphis subsp. aurantiaca. The study revealed that KNU17Pc1 had strong in vitro antifungal activity and was effective toward all in vitro PGP traits except phosphate solubilization.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 strain of P. chlororaphis against Colletotrichum dematium,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Fusarium oxysporum f.sp. melonis, Fusarium subglutinans and Stemphylium lycopersici has been reported. Further biochemical studies showed that KNU17Pc1 was able to produce both types of phenazine derivatives, PCA and 2-OH-PCA. In addition, solid 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PME-GC-MS) analysis identified 13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the TSB culture of KNU17Pc1, 1-undecene being the most abundant volatile. Moreover, for the first time, Octamethylcyclotetrasiloxan (D4), dimethyl disulfide, 2-methyl-1,3-butadiene and 1-undecene were detected in P. chlororaphis. Furthermore, this study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effectiveness of P. chlororaphis to control BLSB of maize. Henc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KNU17Pc1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o that it can be exploited further for biocontrol and plant growth promotion.

Fusarium속 내의 section Elegans, section Liseola와 유사종의 Isozyme Patterns (Isozyme patterns of section Elegans, section Liseola and similar species in the genus Fusarium)

  • 민병례;권오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86-393
    • /
    • 1994
  • Fusarium 속내 종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알아보기 위하여, 각 균의 $esterase-{\alpha},\;-{\beta},\;acid\;phosphatase,\;malate\;dehydrogenase,\;peroxidase,\;polygalacturonase$를 추출하여 전기영동의 방법으로 isozyme patterns를 비교하여 보았다. Banding patterns은 polygalacturonase만이 7종 모두에서 monozyme이었고, 나머지 효소는 종마다 약간씩 다르게 나타났다. Isozyme banding patterns을 바탕으로 genetic similarity를 산출하여 dendrogram으로 보았을 때, 동일한 section Liseola에 속하는 F. subglutinans와 F. moniliforme의 종간 유사도는 74.3%로 가장 높았으며, section Elegans와 section Liseola의 서로 다른 section 간의 유사도는 45.4%로 비교적 낮았다. F. napiforme와 F. nygamai의 유사도는 64.7%로 동일 section 내의 종간 유사도와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들 두 종은 section Liseola에 대하여 55.2%, section Elegans에 대하여 45.4%의 유사도를 보여 분류학적 위치에 있어서 section Liseola에 더 가까운 경향을 나타내지만, 이는 다른 section 간의 유사도와 비슷한 수치로 하나의 독립된 section으로 추정된다. F. graminearum과 다른 6종 사이의 유사도는 28.2%의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서로의 유사성이 매우 낮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 PDF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 리기다소나무임분(林分)의 지상부(地上部) 탄소저장량(炭素貯藏量) 변화(變化) (Change of Aboveground Carbon Storage in a Pinus rigida Stand in Gwangnung, Gyunggi-do, Korea)

  • 김춘식;정진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74-780
    • /
    • 2001
  • 경기도 광릉 중부임업시험장내 임목밀도와 지위가 다른 31년생 리기다소나무임분올 대상으로 3개의 $20{\times}10m$ 조사구를 선정하고 5년 동안(1997~2001) 각 부위별 탄소량 및 탄소 년 증가량을 조사하였다. 각 부위별 탄소함량은 잎>가지>수피>줄기>임상>토양 0~15cm>토양 15~30cm순 이었으며 탄소저장량 및 년 증가량은 임목밀도와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한 임목밀도의 경우 지위가 높은 지역이 탄소저장량과 증가량이 높았으며 유사한 지위의 경우 임목밀도에 의해 탄소저장량 및 년 증가량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조사된 임분의 임목뿌리를 제외한 리기다소나무임분의 총탄소 저장량은 140,600kgC/ha으로 임목 61%, 토양 31%, 임상 8%로 나타났다. 고사목이 많이 발생하였던 2001년도를 제외한 년 평균 탄소 증가량은 3,233kgC/ha/yr로 줄기>가지>수피>잎 순이었다. 31년생 리기다소나무임분의 탄소저장량 및 년 증가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유사한 지위에서는 임목밀도가 높은 것이 지위에 차이가 날때는 임목밀도 조절에 의한 생장량 증가가 탄소흡수능력을 증진 할 수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