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gi count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Benefici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noculation on Oat Based Silage in South Korea

  • Ilavenil, Soundharrajan;Srigopalram, Srisesharam;Park, Hyung Soo;Kim, Won Ho;Lee, Kyung Dong;Choi, Ki Choo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7-211
    • /
    • 2015
  •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measure the benefici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oculation on the nutritive value of oat silage collected from thirteen reg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cid detergent fiber (AD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nd crude ash (CA) were slightly lower in LAB inoculated silage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silage, whereas inoculation of LAB resulted in increased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Higher number of LAB, but lower count of yeast and fungi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LAB inoculation on oat silage fermentation. LAB inoculation resulted in low pH silage, which may prevent undesirable microbial growth. The LAB inoculation promoted lactic acid dominant fermentation with marginal levels of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in oat silag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LAB inoculation may preserve oat silage at better quality for ruminant animal production.

Studies on Constituents of Higher Fungi of Korea(LXVIII) -Antitumor Components of the Cultured Mycelia of Gonoderma lucidum-

  • Kim, Byong-Kak;Cho, Hye-Youn;Kim, Jin-Sook;Kim, Ha-Won;Choi, Eung-Chil
    • 생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03-212
    • /
    • 1993
  • To find antitumor components in the hot water extract of the cultured mycelia of Ganoderma lucidum, protein-bound polysaccharides were purified and fractionated (Fr. I-V) by DEAE-cellulose ion exchange column chromatography and Sepbarose CL-4B gel filtration. When a dose of 20 mg/kg/day of each was, i.p., injected into ICR mice, the inhibition ratios against the solid form of sarcoma 180 were $64.2{\sim}75.8%$. The antitumor component was examined for immunological activity. It increased the amount of superoxide anion released by induced macrophages in peritoneal cavity to 1.8 times and the count of hemolytic plaque-forming cells (PFC) was increased to 4.4 times a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It contained 68.6% polysaccharide which consisted of mannose, glucose, galactose, fucose and xylose and 5.1% protein consisting of 17 amino acids. The contents of hexosamine were 0.78%. The molecular weight of Fr. V that showed the highest antitumor activity was $5.8{\times}10^4$ dalton by Sepharose CL-4B gel filtration. It was named lucidan.

  • PDF

시판 더치커피의 미생물 오염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미생물 변화 (Microorganism Contaminants of Dutch Coffee and Change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 황성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22-4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커피전문점과 유통용 제품으로 시판되는 더치커피의 미생물 오염 실태를 조사하고, 보관온도에 따른 오염실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커피전문점에서 구입한 더치커피에서는 구입 당일 실험한 결과, 평균 $35.2{\pm}15.8CFU/mL$의 일반 세균수를 나타내었고, 이를 밀봉하여 실온과 냉장온도에서 5일간 보관 후 다시 실시한 실험에서는 실온에 보관 시 평균 $78.4{\pm}29.7CFU/mL$, 냉장보관 시 평균 $51.2{\pm}32.1CFU/mL$의 일반 세균수를 나타내 실온보관 시 식품위생법의 기준에 육박하는 수치를 나타내었다. 10일이 경과했을 때에는 오염의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나, 실온보관 시료에서는 $98.5{\pm}58.4CFU/mL$, 냉장보관 시료에서는 $86.7{\pm}44.2CFU/mL$로 나타났다. 백화점이나 인터넷 등에서 포장판매되는 더치커피의 경우에는 초기 일반 세균수가 $39.6{\pm}20.1CFU/mL$로 커피전문점의 일반세균수와 크게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더치시료를 5일간 보관한 후에 일반 세균수를 측정하였더니, 0일과 비교해서 별 차이를 보이지 않는 특이한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현상을 냉장보관이나 실온보관한 모든 시료에서 관찰되었다. 대장균군은 커피 전문점 시료나 포장판매되는 더치커피 어떤 시료에서도 발견되지 않았다. 구입 즉시 실시한 곰팡이 실험에서 측정 대상 시료의 60% 정도에서 곰팡이가 검출되었고, 나타난 균수는 $2.6{\pm}1.7CFU/mL$였다. 이러한 곰팡이는 실온보관 시 5일 후 $2.1{\pm}1.6CFU/mL$, 10일 후 $3.0{\pm}2.4CFU/mL$로 날짜의 경과에 따라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며, 냉장보관 시에도 5일 후 $3.5{\pm}2.7CFU/mL$, 10일 후에는 $3.2{\pm}2.9CFU/mL$를 나타내었다. 실온보관과 냉장보관한 더치커피의 곰팡이균수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geq}0.05$). 인터넷 등에서 판매하는 포장판매용 더치커피에서는 $3.5{\pm}3.4CFU/mL$의 곰팡이가 발견되었는데, 총 9개 시료 중 6개 시료나 되어 높은 검출률을 보이고 있었다. 커피전문점의 결과보다 다소 높은 군집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음용하는 5배수로 희석하여 실온과 냉장온도에 보관하고 5일과 10일에 다시 곰팡이 실험을 실시하였더니, 커피전문점에서 구매한 더치커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군집의 수가 크게 늘지 않고 비슷한 수를 보이고 있음이 알 수 있었다. 보관한 온도에 의한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패혈증에 이환된 저출생체중아(≤2,000 g)에서 혈소판수치와 평균혈소판용적의 변화 (Platelet count and mean platelet volume in low birth weight infants (≤2,000 g) with sepsis)

  • 이완수;조진영;유승택;이창우;최두영;김종덕;오연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7호
    • /
    • pp.643-648
    • /
    • 2007
  • 목 적 : 신생아중환자실에서 미숙아들의 치료 중 흔히 패혈증을 경험하며 중요한 합병 소견으로 혈소판 감소증을 볼 수 있다. 최근 보고에 의하면 그람 음성균이나 진균에 의한 감염에서 그람 양성균에 비해 혈소판 감소증이 더 심하다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자들은 패혈증을 나타낸 원인균들 사이에 혈소판 수치의 변화 정도와 패혈증 시 평균 혈소판 용적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원광대학교 의과대학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2,000 g 이하의 미숙아중 패혈증으로 확진된 미숙아 36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이용하여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환아들은 원인균에 따라 그람 양성균군($1,521{\pm}309g,\;31.3{\pm}2.9$, 15명), 그람 음성균군($1,467{\pm}290g,\;30.6{\pm}3.6$, 17명), 진균군($1,287{\pm}205g,\;30.0{\pm}3.9$, 4명)으로 분류하고 이들의 패혈증 증상 출현 3-5일전 시기, 패혈증 증상 출현 시기, 최저 혈소판수치를 보인 시기의 혈소판수치를 각 군별로 비교하였으며, 전체 환아에서 패혈증 출현 시 평균혈소판용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결 과 : 패혈증을 일으킨 원인균별 분포는 그람음성균 17례(47.2%), 그람양성균 15례(41.7%), 진균 4례(11.1%)였으며, 이중 표피포도알균이 9례(25%)로 가장 많았고, 혈소판 감소증은 $100{\times}10^9/L$이하를 기준 시 88.9%, $150{\times}10^9/L$이하를 기준 시 94.4%이었으며, 혈소판 감소가 $100{\times}10^9/L$ 이하를 보인 빈도는 그람 음성균군 전례로 양성균군 11례(73.3%)에 비해 의의 있게 많았다(P<0.05). 패혈증 증상 출현시기의 혈소판 수치는 그람 양성균군에 비해 그람 음성균군에서 의의 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진균군에서도 감소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최저 혈소판 수치를 보인 시기의 혈소판 수치도 그람 양성균군에 비해 그람 음성균군에서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P<0.01), 진균군에서도 감소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최저 혈소판 수치를 보인 시기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원인균별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혈소판 수치가 $100{\times}10^9/L$ 이하, $150{\times}10^9/L$ 이하가 유지되었던 시간도 그람 음성균군에서 약간 길었으나 의의는 없었다. 혈소판 감소율의 비교에서는 패혈증 증상 출현 시기, 최저 혈소판수치를 보인 시기 모두 그람 양성균군에 비해 그람 음성균군에서 의의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진균군에서도 감소하였으나 의의는 없었다. 평균 혈소판 용적은 패혈증 증상 출현 전에 비해 최저 혈소판수치를 보인 시기에 의의 있게 증가 하였다(P<0.05). 결 론 : 그람 음성균에 의한 패혈증에서 그람양성균보다 혈소판 감소가 더 심하였다. 그리고 진균감염에 의한 패혈증에서도 그람양성균에 비해 혈소판 감소를 보였으나 의의는 없었으며 이는 대상 환아가 적기 때문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패혈증시 평균혈소판용적의 증가를 보여 이러한 소견들은 미숙아들의 패혈증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인삼의 GAP 실천모델 개발을 위한 재배단계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Ginseng Farms at the Cultivation Stage to Develop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 심원보;김정숙;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2-318
    • /
    • 2013
  • 본 연구는 인삼의 재배단계에서의 생물학적 위해요소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인삼 GAP 실천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충남 금산에 소재한 인삼 경작지 3곳에서 재배환경, 작물, 개인위생 항목에 대해 총 96점의 시료를 수집하여 위생지표세균, 병원성미생물, 그리고 곰팡이에 대해 분석하였다. 일반세균과 대장균군, 곰팡이의 오염도는 각각 1.3~6.0, 0.1~5.0 및 0.4~4.9 log CFU/g (or mL, hand, and $100cm^2$)으로 확인되었고, 대장균의 경우 C 농장의 농업용수에서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모든 시료에서 B. cereus만 0.1~4.9 log/g (or mL, hand, and $100cm^2$)범위로 검출되었으며,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및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인삼 경작지 3곳은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에 대해서는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주변 환경이나 작업자들에 의해 교차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은 항상 존재하므로 보다 안전성이 확보된 인삼을 재배하기 위해서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의 관리과 포함된 GAP 모델의 적용이 필요하다.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 오염도평가 및 방사선 살균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Level and Radiation Sterilization in Disposable Kitchen Utensil)

  • 김진희;임상용;송현파;김병근;정진우;윤혜정;변명우;김동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7-322
    • /
    • 2005
  • 일회용 주방용품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17개 제품군, 총 51종의 일회용 주방용품에 대한 미생물 오염도 평가와 함께 오염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감마선 살균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반호기성세균, 대장균군, 곰팡이 Salmonella의 오염도 평가 결과, 대장균군과 Salmonella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반호기성 세균은 전체 시료의 약$50\%$에서 $10^1{\sim}10^2\;CFU/100\;cm^2$ 수준으로 검출되어 일회용 주방용품의 위생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일회용 주방용품에 오염된 미생물의 감마선 살균 결과 3 kGy의 조사선량에서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다.

글리신을 활용한 저염 오징어 및 명란 젓갈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 (Effects of glycine on microbial safety of low-salted squid and myungran jeotgal)

  • 최준봉;천희순;정명수;조원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4-119
    • /
    • 2019
  • 기존 대비 염함량을 50% 내외 감량한 염도 4-6%의 저염 오징어 및 명란 젓갈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업적 항균제 7종의 적용 실험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염 젓갈 내 자생하고 있는 균총을 살펴본 결과 간균인 Lactobacillus sp.와 구균인 Streptococcus sp., Pediococcus sp., Luconostoc sp. 등의 젖산균이 80%를 차지하는 우점균으로 나타났으며, 오징어 젓갈에는 yeast가 명란젓에는 fungi가 추가로 관찰되었다. 젖산균 계통의 미생물의 살균 및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5종의 상업적 항균제를 저염 오징어 젓갈 중량 대비 0.5%(w/w)를 조미배합 과정에서 첨가, 혼합하여 총균수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글리신이 94.20%, 폴리라이신이 92.78%의 살균률을 보여 $10^1CFU/g$ 내외의 감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염 명란 젓갈에서도 0.5% (w/w) 글리신이 90.87%의 살균률을 나타내었다. 저염 젓갈의 균 제어에 효과적인 글리신은 조미료로도 많이 사용되는 아미노산 계통의 항균성분으로 그람 음성균 및 양성균 모두에 대해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유기산과 병용 사용 시 감균 및 생육 억제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염 오징어 젓갈에 0.5% (w/w)의 글리신을 혼합 후 저장기간별로 총균수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10^{\circ}C$의 냉장조건에서 21일 경과 후에도 90%의 살균률이 유지되어 $10^1CFU/g$의 감균 효과가 지속되었으며, 저염 명란 젓갈의 경우에도 저장시 97%의 살균효과가 지속되어 무처리구 대비 $10^2CFU/g$ 내외 감소하였다. 따라서 글리신은 다양한 수산물을 원료로 사용한 저염 젓갈의 균 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업적 항균제로 판명되었다.

배합사료 원료에 대한 방사선 살균 효과 -단백질원의 살균-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Decontamination of Animal Feeds : Sterilization of Protein Sources)

  • 변명우;권중호;차보숙;조한옥;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118
    • /
    • 1988
  • 배합사료의 단백질원으로 사용되는 13종의 동물성 및 식물성 원료의 미생물 오염 정도와 방사선 조사에 의한 살균 효과 및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3종의 사료 원료의 호기성 전세균의 오염은 $10^2-10^7/g$ 범위였으며, 5-7kGy 조사로서 3-4 log cycles정도 감소되었고, 어분에서는 10 kGy 조사로서도 $10^1-10^2/g$ 정도 생존하였다. 대장균군은 13종 중 7종에서 $10^4-10^6/g$정도, 장내 병원성 세균은 어분과 가금부산물에서 $10^2-10^3/g$정도 검출 되었고 3-5kGy조사로서 완전 사멸되었다. 곰팡이의 오염은 $10^1-10^4/g$정도로서 오염 곰팡이의 대부분이 내삼투압성 곰팡이였으며 3-7kGy조사로서 검출 한계 이하로 사멸되었다. 또한 이들에서 분리된 곰팡이는 Aspergillus속과 Penicillium속이 대분이였으며 Cladosporium, Aureobasidium과 Rhizopus 등 검출되었으며, 분리된 11종의 곰팡이중 Aspergillus flavus를 포함한 5 여종이 잠재적 독소를 생성하는 균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 TBA가 및 과산화물가, 색도 등 이화학적 특성 변화에서는 고선량 방사선 조사와 가열처리는 다같이 대조구에 비해 다소의 영향을 미쳤으나 가열처리구는 더욱 현저하였다. 따라서 5-7kGy 정도의 방사선 조사는 사료의 원료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세균의 격감과 곰팡이 및 장내 세균를 완전 사멸시킬 수 있어 간접식품으로서 사료의 위생적인 생산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PV[Human papilloma virus]유래 바이러스 벡터[Adenovirus, Adeno associated virus]를 이용한 암 억제유전자치료법과 자연산물에서의 암 억제 효과 (Tumor Surpressor Gene Therany, and Natural Product with Vectors[Aoenouirus, Aoenn associated virus] in Human Papilloma virus)

  • 천병수;노민석;유종수;김준명
    • KSBB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579-591
    • /
    • 2001
  • The cell growth inhibitor effect of cervical cancer cells was investigated by liposome mediated transfection (pRcCMVp53/lipofectin) and by transfection using adenovirus (AdCMVp57). The papilloma virus cancer cell lines we used in this study were HPV16 positive, having inhibiter gene, wild p53 gene, CaSki, SiHa, HPV18 positive HeLa, HeLaS3 and HPV negative C33A, HT3. LacZ gene of E.coli was used as the marker gene for the transfection efficiency. The effect on the inhibition of tumor cell growth was measured by cell count and cell viability though ELISA analysis and MTT assay. The inhibition of tumor cell growth was confirmed by measuring each assay for six days, comparing with the normal control cell growth. The cell growth of cervical cancer calls by transfec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showed tittle differences among the cell lines. To eliminate the potential problem of Ad(adenovirus) contamination during rAAV production, rAAV can be produced by a triple transfection of vector plasmic, packaging plasmid, and adenovirus helper plasmid. To examine the helper functions of Ad plasmids on the production of rAAV vector, we carried out cotransfection of three plasmids, AAV vector, packaging construct, and Ad helper plasmids. The optimized transfection condition for calcium phosphate method is 25ug of total DNA per 10-cm-diameter plate of 293 cell. We found that rAAV yields peaked at 48hr after Ad infection. The titer of rAAV was measured by the dot blot analysis to measure the number of particles/ml based on the quantification of viral DNA. Recent1y, Kombucha(fungi) was identified as a very potent antileukefic agent. In the present study, effect of natural toxin(plankton) and Kombucha is PSP(GTXI-3, neoSTX), on various MTT assay cervical cancer cell line. Toxin(GTX 1-3, neoSTX) also inhibited the proliferation in primary cervical cancer calls in a dose-dependent toxin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oxin was very potent in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cervical cancer calls in vitro. Toxins and Kombuoha exhibited a dose dependent inhibition of cellular proliferation in cancer cell line.

  • PDF

김치발효에 미치는 온도 및 식염농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 민태익;권태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43-450
    • /
    • 1984
  • 온도와 식염농도를 달리하여 김치를 발효시키면서 생화학적 및 미생물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김치의 적숙시기는 발효온도와 식염농도에 따라 달랐다. 김치발효는 저온, 고식염농도에서 보다, 고온 저식염 농도에서 더 빨리 진행되었고 김치의 비휘발성 유기산에 대한 휘발성 유기산의 비는 김치 적숙시기에 최대로 되었다가 김치가 시어지면서 감소되었다. 식염농도와 발효온도를 달리 하여 숙성시킨 김치에서 Leu. mesenteroids, Lac. brevis, Lac. plantarum, Ped. cerevisiae, St. faecalis 및 산생성이 낮은 Lactobacilli가 분리되었다. 그러나 김치발효에 관여하는 주 미생물은 Leu. mesenteroides이며, Lac. plantarum은 김치의 숙성보다는 산패와 더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총 생균수는 발효초기에 급증하여 적숙기간에 최대로 되었다가, 그 이후 서서히 감소되었고, 호기성 세균과 사상균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 감소하였고, 효모는 $10^{\circ}C$ 전후의 온도와 고 식염농도에서 그 수가 증가하였다가 다시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