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al occlusal plan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3초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스캐닝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활용한 완전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 증례 (Fixed implant rehabilitation of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using intraoral scanning digital workflow: a case report)

  • 박승민;박영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8-46
    • /
    • 2024
  • 편악 무치악 환자에서 완전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 치료를 위해 다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에는 악궁의 해부학적 구조, 대합치의 상태, 교합 평면 등을 고려한 최종 보철물 형태를 미리 결정해야 한다. 이 때 임시 보철물의 형태 및 교합 정보는 최종 보철물의 디자인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구강 스캐닝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해 무치악 스캔 데이터와 임시 보철물의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임시 보철물의 정보를 최종 보철물의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또한 구강 스캔을 통해 임시 의치 정보를 획득하여 임플란트의 위치와 각도를 계획하고, 수술 가이드를 사용하여 사전에 계획한 3차원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이와 같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이악물기 치아접촉시 편측 구치 상실을 지닌 두개골의 부하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load on the dentated skull with unilateral molar loss during simulated bilateral clenching clenching)

  • 정석조;정승미;강동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7권4호
    • /
    • pp.245-25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chanical stress and displacement on the jaws during the simulated bilateral clenching task on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model of the dentated skull with unilateral molar loss. For this study, the computed tomography(G.E.8800 Quick, USA) was used to scan the total length of human skull in the frontal plane at 2.0mm intervals. The fully assembled finite element model consists of the articular disc, maxilla, mandible, teeth, periodontal ligament and cranium. The FE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bilateral clenching in intercuspal position. The loading condition was the force of the masseter muscle exerted on the mandible as reported by Korioth et al. degrees of freedom of the zygomatic region where the masseter muscle is attached were fixed as restraints. In order to reflect the actual action of the muscles force, the displacement of the region was attached where the muscle is connected to the temporal bone and restraint conditions were given values identical to values at the attachment region of the masticatory muscle but with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eaction from when the muscle force is acted on the mandible. Although the mandible generally has higher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than the maxilla, its mandibular corpus on the molar-loss side has a higher stress and displacement than the molar-presence side. Because the displacement and von Mises Stress was the highest on the lateral surface of mandibular corpus with molar loss, the stress level of the condyle on the molar-loss side is greater than that of the molar-presence side, which in turn caused the symphysis of the mandible to bend. In conclusion, the unilateral posterior bite collapse with molar loss under para-functional activities such as bruxism and clenching can affect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condyle and mandibular corpu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consider the biomechanical function of dento-skeleton under masticatory force while designing the occlusal scheme of restoration on alveolar bone with the posterior collapse.

  • PDF

백서 하악골의 기능적 측방편위가 하악골 성장에 미치는영향 (The Effect of Fuctional Lateral Shift of Mandible on the Growth of Mandible in Growing Rats)

  • 박관식;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5-117
    • /
    • 1997
  • 본 연구는 기능적 교합장애에 의한 하악골 측방편위가 하악골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과 교합장애 제거후 나타나는 하악골의 성장양상을 알아 보기 위하여 생후 4주령의 웅성 백서에서 상악우측, 하악좌측 절치를 2주 및 4주간 절단한 실험군과 4주간 절치절단을 시행하고 2주간 절단을 중지한 실험군에서 하악골계측 및 과두연골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 2주군에서 좌측의 하악골장경, 과두장경, 하악골고경, 과두단면적은 우측및 정상군에 비해 작은 경향을 보였고 우측의 하악골장경, 과두단면적은 정상군에 비해 작았다. 2. 실험 4주군에서는 좌측 과두단면적이 우측에 비해 작았으나 좌측 하악골의 빠른 적응성 변화로 좌,우측 하악골장경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정상군에 비해서는 하악골장경, 과두단면적이 여전히 작은 경향을 보였다. 3. 절치절단 중지 후 2주경과한 실험 6주군에서는 기능이 정상화됨에 따라 좌측과 우측이 동일한 성장을 보이나 정상군에 비해서는 여전히 하악골장경이 짧았다. 4. 시상면에서 실험 2주군의 좌측 과두연골은 우측및 정상군에 비해 연골층의 증식이 전반적으로 억제된 소견을 보이며 우측 또한 정상군에 비해 성장이 억제되었다. 그러나 실험 4주군, 6주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이 관찰되었다. 5. 두연골층체적은 전 실험기간 동안에 실험군의 좌,우측간, 그리고 실험군과 정상군의 동측간 비교시 유의성있는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이상에서 성장기 백서에 편측 절치절단을 시행한 경우, 시상면에서는 절단측의 하악골및 과두의 성장이 억제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또한 빠른 시일내에 적응하여 좌,우측 하악골은 유사한 성장변화를 일으킴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과두연골체적변화는 실험군 좌, 우측및 정상군에서 전 실험기간동안에 유사한 양상이 관찰됨을 미루어 보아 전체적인 과두연골의 성장은 억제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고 과두연골의 성장은 다방면으로 일어남을 인지할 수 있었다.

  • PDF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완전도재관을 이용한 구강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of the patient with severe tooth wear using all ceramic restorations)

  • 김태수;이재현;이철원;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06-313
    • /
    • 2016
  • 치아의 마모는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생리적인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생리적 마모는 그 정도가 적고 치조골의 보상성 성장과 치아의 정출에 의해 수직고경이 유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병적마모는 병적인 치수상태, 교합부조화, 기능장애와 심미적인 문제를 야기하여 완전 구강회복술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수복 시에는 기능과 심미를 회복할 수 있는 적절한 수직고경의 변경이 필요하며 근신경계와 조화를 이루는 고경의 결정이 중요하다. 본 증례는 36세 여성으로, 전반적인 치아마모와 심미적 불만족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마모된 정도와 심미를 고려하여 상악 전치부 절단면 기준으로 감소한 수직고경을 2 mm 회복하고 완전도재관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이에 적절한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치열 안면 비대칭 환자의 비수술적 절충치료의 전략적 접근 (The Treatment Strategies of Non-surgical Approach for Dentofacial Asymmetry Patient)

  • 이경민;이상민;양병호;윤민성;이주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1호
    • /
    • pp.77-87
    • /
    • 2010
  • 비대칭은 두개안면증후군 같은 선천적 요인과 외상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심한 골격성 비대칭에서부터 경미한 치열 비대칭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는 매우 다양하며 이에 대한 환자의 인지 또한 주관적이다. 심한 비대칭의 경우 악교정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으나 비대칭이 심하지 않고 환자가 수술을 원하지 않을 경우 교정치료 만으로 비대칭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하지만 비대칭 고무줄을 사용한 통상적인 방법으로 장기간 치료하면 교합평면이 기울어지거나 치아가 경사이동이 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여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초진 시부터 주의 깊은 진단과 충분한 역학적 고려를 포함한 철저한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이에 하악의 편위가 발생한 안면 비대칭 환자에서 수술 없이 비대칭을 악화시키지 않는 조절된 교정력을 적용하여 만족스런 비대칭 절충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보고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 few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for a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신은정;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1
    • /
    • 2015
  • 만성 치주염 환자 치료시 잔존치 발치 여부를 결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고정성 또는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시 치주조건이 불량한 치아를 지대치로 사용하면 과부하로 조기실패가 우려되어 발치를 고려하지만,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잔존치로 전달되는 기능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존치를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잔존치를 이용한 전악수복시 proprioceptive response를 보존할 수 있어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결정시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환자의 보철물에 대한 적응이 쉽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주질환에 의해 다수치 상실 및 대합치의 정출을 보였다. 동요도가 심해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를 발거하고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로 전악수복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얻었다.

반안면 왜소증 환자에서의 골신장술: 증례보고 (THE USE OF DISTRACTION OSTEOGENESIS TO TREAT HEMIFACIAL MICROSOMIA: A CASE REPORT)

  • 백성문;김수관;김학균;문성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5호
    • /
    • pp.559-566
    • /
    • 2007
  • Distraction osteogenesis(DO) is a surgical method of bone formation that involves an osteotomy and sequential stretching of the healing callus by gradual movement and subsequent remodeling. DO is used to correct facial asymmetry, such as in patients with hemifacial microsomia, maxillary or mandibular retrusion, cleft lip and palate, alveolar defects, and craniofacial deficiency. It is accomplished with the aid of a distraction device, which is secured with screws placed directly into bone, for a predetermined length of time. Hemifacial microsomia is characterized by unilateral facial hypoplasia, often with unilateral shortening of the mandible and subsequent malocclusion. Patients with hemifacial microsomia and facial asymmetry have a vertically short maxilla, tilted occlusal plane, and short mandible. Early treatment is necessary to avoid subsequent impaired midfacial growth. The standard treatment of these malformations consists of the application of bone grafts, which can lead to unpredictable growth. The new bone-lengthening procedure represents a limited surgical intervention and opens up a new perspective for treatment, especially in younger children with severe deformities. This report describes a case of hemifacial microsomia(Type-II left-sided hemifacial microsomia). The patient, a 10-year-old child, visited our clinic for facial asymmetry correction. He had a hypoplastic mandible, displaced ear lobe, 10 mm canting on the right side, and malocclusion. We planned DO to lengthen the left mandible in conjunction with a Le Fort I osteotomy for decanting and then perform a right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IVRO). Progressive distraction at a rate of 0.5 mm/12 hours was initiated 7 days postoperatively. The duration of DO was 17 days. The consolidation period was 3 months.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in our case, indicating that DO can be used successfully for functional, aesthetic reconstruction of the mandible. We report a case involving DO in conjunction with orthognathic surgery for correcting mandibular hypoplasi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하악 치조골이 심하게 위축된 무치악 환자에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made with closed-mouth impression technique on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jaw)

  • 이석환;이성복;이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95-202
    • /
    • 2019
  • 치과보철과에는 장기간 총의치를 사용해 온 고령 환자 중에서 발치 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로 환자들이 종종 내원하게 된다. 통상 하악 총의치는 하악 협붕 부위의 1차 지지를 기반으로 한 개구인상법에 의해 제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악 총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진단에서부터 의치 주위 조직의 기능 및 의치상의 경계, 교합평면, 악궁의 대합관계, 인공치아의 배열, 저작습관, 그리고 환자에 대한 교육과 장착 후 주의 사항 등을 충분히 고려해두어야 한다. 그러나 치조골 위축이 심하게 발생된 무치악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하악 총의치는 간혹 실제 저작과정에서 유지와 안정에 한계를 보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안으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총의치 제작 방법을 선호하는 임상가들에 의해 개구인상법과 폐구인상법을 비롯한 다양한 인상채득 방법을 비교한 연구가 보고되기도 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폐구인상법을 토대로 한 기능인상으로 하악 총의치를 제작하여 동일한 환자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보다 나은 유지력과 안정성을 확인했고, 심하게 치조골이 위축된 상태의 구강조건에서 개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와 폐구인상법으로 제작한 의치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한 내용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설측으로 수평 맹출한 하악 측절치의 교정적 견인 (ORTHODONTIC TRACTION OF HORIZONTALLY ERUPTED LOWER LATERAL INCISOR ON THE LINGUAL SIDE)

  • 마현주;손흥규;최병재;이제호;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7-123
    • /
    • 2010
  • 치아 맹출이란 치아가 치조골 내의 발생 장소에서부터 교합면쪽으로 이동하여 구강 내로 출현한 후 치아의 기능적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말한다. 유치의 치근부에서 발육하는 영구치배는 천천히 유치의 치근과 지지하는 치조골 부위를 흡수하면서 맹출하고, 이와 동시에 영구 치배의 치근과 치조골 및 기저골을 성장시킴으로써 영구치의 지지부위가 확립된다. 대개 영구전치의 치배는 유전치의 치근단 설측에 위치하는데 잘 발달된 도대삭(gubernacular cord)을 따라서 교합면상으로 맹출하게 된다. 이소 맹출이란 일반적으로 치배가 본래 발생 위치에서부터 예상되는 정상 맹출경로에 이상이 있는 것을 말한다. 즉, 치아가 치조골 내 발생 위치에서 예측되는 정상맹출 경로를 벗어나 맹출하는 것이다. 그 중 하악 측절치의 이소 맹출의 경우 치아의 위치를 바로잡는데 있어서, 그 치료 시기가 중요한 요소로 여겨지는데 일반적으로 혼합치열기 초기가 바람직한 치료시기이다. 하악전치가 이소 맹출한 경우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공간 소실의 문제나 하악 전치부의 설측경사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만 8세 여아에서 혀 아래쪽의 구강저 부근에 수평방향으로 이소 맹출하는 하악 우측 측절치를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이용하여 문제 치아의 치근 만곡 정도를 확인한 후, 혼합 치열기 초기에 lip bumper와 buccal arch를 이용하여 26주간 적극적인 견인적 처치를 시행하였다. 결과적으로 이소 맹출한 측절치를 본래 위치로 이동시켰으며 나머지 영구치의 맹출에 대한 관찰 및 평가 후 전반적인 교정치료를 진행하기로 계획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