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nction of the upper extremity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24초

Sleeve의 기능성에 관한 인간공학적 연구 (An ergonomicstudy on the function of sleeve - On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skin surface of the upper extremity -)

  • 박영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
    • /
    • 1985
  • This study is an ergonomic study on the function of sleeves related with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upper Extremity skin surface by various movememts. RESULTS : 1. According to the plane figure, a. The change of form is like fig. 3. b. In the changing rates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skin surface by various movements, that of arm hole girth shows an extremely big discrepancy and that of Elbow Girth shows a relative low one. c. According to the rate of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each block, the inside of the upper arm area expands most in all the blocks measured. 2. According to the rat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skin surface by somatometry, inside lehgth of arm in M\sub 2\ and outside length of the upper arm in M\sub 4\ expand significantly8and also elbow girth in M\sub 6\, M\sub 7\, M\sub 8\ expands significantly.

  • PDF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단일사례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programme on Balance and Upper Extremity in stroke)

  • 김은주;홍소영;김경미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17-28
    • /
    • 2012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자로 균형검사는 Time up & go 검사, Nintendo Wii Balance Board Test로 실시하였고, 상지기능은 Manual Function Test(MFT)로 측정하였다. 과제지향적 프로그램은 운동처리 기술평가(AMPS)의 표준화된 과제 중 셔츠다리기, 자루걸레로 바닥 청소하기, 창문 청소하기, 손빨래하기를 환자에게 맞게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과 : 환자의 동적 균형능력은 기초선 평균 51.53에서 42.62로 향상되었고, 정적 균형능력은 기초선에서는 좌우 균형차이가 평균 13.8 났으나, 중재 후 좌우 균형차이가 6.29로 보다 0에 가까워져 좌-우 균형이 안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기능은 MFT 검사결과 평균이 6점에서 7.6점으로의 증가 되었다. 결론 : 일상생활활동 과제로 구성된 과제지향 프로그램은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상지기능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 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과 특성을 가진 뇌졸중 환자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Kicking a Ball on Balance and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 Jeoungah Ahn;Joong Hwi Kim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4권6호
    • /
    • pp.292-297
    • /
    • 2022
  • Purpose: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kicking a ball training on balance and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hemiplegia. Methods: Thirty chronic stroke patients were randomly selected; Kicking a ball (n=10), Treadmill gait (n=10), Stepping on the ground group (n=10). The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for balance and Foot Scan for weight distribution. Upper limb function was measured by the Manal Function Test (MFT). This treatment was performed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Results: Kicking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PPB (p<0.05) and MFT (p<0.05) between pretest vs post test and pretest vs follow-up. Conclusion: Kicking a ball was effective for improving weight acceptance on the paretic leg, balance and upper limb function. However, In terms of balance, the core stabilization that affected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was not evaluated. Thus, additional research may help determine correlation between core stability and upper limb function to improve balance.

로봇보조(Robot-assisted)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Function of Upper Extremity in Stroke Patients)

  • 황선정;유두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42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로봇보조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발병 12개월 이내의 입원 환자 4명과 발병 12개월 이후의 외래환자 7명에게 각각 5~6주간 로봇보조 치료를 실시하였다. 로봇보조 치료는 상지기능 훈련을 위한 다양한 운동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 앞으로 팔 뻗기 훈련을 통해 환자의 능력에 적합한 운동모드를 치료사가 선택하여 이루어졌다. 환자는 30분간 3차원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모니터를 바라보며 앞으로 팔뻗기 운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상지기능 변화를 위해 장악력 검사(Grip strength test), 한글판 울프운동기능검사(Korean-Wolf Motor Function Test: K-WMFT), 상자와 나무토막검사(Box & Block Test: BBT)와 팔 뻗기 수행시간을 중재 전 후에 측정하였다. 결과 : 로봇보조 치료를 통한 상지기능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중재 전 후의 측정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살펴본 결과, 연구 대상자 모두에서 결과값의 향상을 보였다. 통계적인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 순위 검증을 실시한 결과, 외래환자의 장악력과 상지기능, 기민성, 수행시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입원 환자의 경우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 로봇보조 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를 기초로 작업치료 영역에서도 로봇보조 치료를 통한 중재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뇌졸중 환자의 기능회복을 위한 로봇보조 치료의 유용한 사용이 기대된다.

  • PDF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팔 기능을 위한 작업치료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방요순;주은솔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05-114
    • /
    • 2023
  • Purpose : This study systematically reviewed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ubacute patients implemented over the last decade at home and abroad to utilize the findings as the basis for intervention protocol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domestic and foreign randomized controlled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from January 2013 to May 2023. Acute or subacute, CVA or strok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program or therapy were used as search keywords in the search databases Scopus, PubMed, Riss, and DBpia. A total of 3,723 documents were retrieved, and 1,007 duplicate papers were excluded. In addition, 2,640 papers that did not me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xcluded by the researcher examining the titles and abstracts. Thereafter, the full texts were checked. Consequently, 67 documents were excluded, and nine documents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Results : Due to the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documents of nine studies, five items were rated "low," and two items were rated "unclear" in many studies. Males predominated the genders, and infarction predominated the types. The average age was over 50 but under 60 years, and the number of days after onset was predominantly fewer than one month.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were classified into mental programs, mirror therapy, music programs, and virtual reality programs, and virtual reality programs were frequently used. The intervention periods were predominantly 15-30 sessions for less than 30 minutes, and the Fugl-Meyer assessment-upper extremity was predominantly applied as an evaluation tool. Conclusion :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attempte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intervention protocols for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ubacute stroke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Studies should be conducted with an expanded scope for a literature review.

유방암 절제술과 견관절 수술을 한 여성의 견관절 관절가동범위, 통증수준, 기능수준, 견갑골의 자세 비교 (Comparison of Shoulder Range of Motion, Pain, Function, Scapular Position Between Breast Cancer Surgery and Shoulder Surgery Female Patients)

  • 이민지;김선엽;심재광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8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breast cancer surgery and shoulder surgery patients on the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degree of pain and dysfunction, and scapular posi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90 women: a breast cancer surgery group (BS, $n_1=30$), a shoulder surgery group (SS, $n_2=30$) and a control group ($n_3=30$). Shoulder ROM, the Quadruple Visual Analogue Scale (QVAS),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SPADI), and the Scapular Index (SI) were used to assess shoulder function.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rosstab test, and independent sample t-test. Post-hoc testing was carried out with Bonferroni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ROM when the BS and the S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between the BS and SS. Furtherm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ulder pain between both surgery groups, and there was greater shoulder dysfunction in the SS than in the B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posture when the BS and the SS we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pper extremity posture between the BS and the SS. This study compared shoulder ROM, pain, dysfunction, and upper extremity postures between the BS and SS.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oulder ROM, pain, and upper extremity posture between both surgery groups, the level of dysfunc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Therefore, health professionals managing for breast cancer surgery or shoulder surgery patients should consider these outcomes.

국내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중재효과에 대한 고찰 (Effects of Therapeutic Intervention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mong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in Domestic: A Systematic Review)

  • 박영주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4-74
    • /
    • 2018
  • 목적 :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국내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재방법의 종류와 그 효과를 체계적 고찰방법을 사용하여 국내에서 사용되는 치료경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은 2008년 이후로 국내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누리미디어(DBpia), 스콜라(Scholar), 한국사회과학데이터(KSDC),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그리고 한국학술정보(KISS)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뇌성마비', '상지 기능', '손 기능'의 검색어를 사용하였다. 총 12개의 연구로 근거의 질적 수준, 방법론적 질적 수준으로 분석한 후 대상자(Patient), 중재(Intervention), 대조(Comparison), 결과(Outcome)의 PICO로 제시하였다. 결과 : 분석에 포함된 연구에서 근거기반 실행의 질적 수준은 수준 IV와 수준 V가 가장 많았고, 방법론적 질적 수준은 '우수'의 연구가 가장 많았다. 대상자는 편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실험설계는 단일대상연구 및 사례연구가 높았다. 중재의 종류는 강제유도운동치료가 가장 많았고, 평가는 젭슨테일러 손기능 검사 빈도가 높았다. 총 11개의 연구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에서 유의한 향상 또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국내에서 뇌성마비 아동의 상지기능을 향상시키기위해 다양한 중재방법이 시행되어 왔다. 앞으로 마비 유형별에 따른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와 근거의 질적수준이 높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의 융합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y : Using Digital Contents Action Observation Educations and Task-Oriented Occupational Therapy on Activity of Daily Living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 김고운;김태수;오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45-452
    • /
    • 2015
  • 본 연구는 뇌졸중환자를 대상으로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동작관찰 없이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를 실시하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실험군(동작관찰)과 대조군(과제 지향적 작업치료)으로 각각 15명씩 나누어 1주일에 5회 총 30분씩 5주간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과 후의 마비측 상지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과 Box and Block Test (BBT)를 실시하였고, 일상생활수행을 비교하기 위해 Korean-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실시하였다. 실시 결과 두 그룹 모두에서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은 증가하였고, 그룹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므로 동작관찰 디지털콘텐츠 활용교육과 과제 지향적 작업치료는 뇌졸중환자의 상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착시현상이 반영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연구 (The Effect of Task-Oriented Mirror Therapy involve Visual Illusion on Upper Extremity Functions in Stroke Patients: Single Subject Study)

  • 최성열;김수경;이재홍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3-23
    • /
    • 2013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착시현상이 반영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 중재 적용 시 상지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과제지향적 거울치료 중재를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거울치료 시 착시현상을 반영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과 착시현상을 반영하지 않는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한 그룹 각각 3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상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와 수직선 그리기 검사를 매회기 반복 측정 하였다. 결과 : 과제지향적 거울치료를 적용한 결과 모든 대상자는 중재기에서 마비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으며, 기초선 회귀에서 그 효과가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착시현상이 반영된 운동프로그램을 적용받은 그룹이 중재기에서 더욱 상향된 경향선을 보였고, 기초선 회귀에서 더 높은 상지기능이 지속되었다. 결론 : 과제 지향적 거울치료 운동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에게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과제 지향적 운동프로그램 구성 시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편측 움직임을 포함하는 과제를 활용하여 좀 더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ORE 안정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자세조절,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on Postural Control, Balance and Upper Motor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 이병희;김성렬;이종수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9-80
    • /
    • 2009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training on postural control and balance of hemiplegia patients who are difficult to control posture due to stroke. Methods :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sisted of 25 adult hemiplegia patients(experimental 12, control 13) who were receiving rehabilitation therapy in hospital. Its group had a core stability training program by a physical therapists for 4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nine-week period. Measurements of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PASS), berg balance scale(BBS) and manual function test(MFT) were evaluated at initial presentation(pretest) and after completion of the each therapy program(posttest).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was utilized to detect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Results : Firstly, the result of PASS showed that postural cont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core stability training(p<.01). Secondly, the result of BBS showed that balance contro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core stability training(p<.01) and general physical therapy(p<.01). Lastly, the result of MFT showed that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ompletion of core stability training(p<.001).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core stability training is an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on postural control, balance and upper extremity's motor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