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e

검색결과 793건 처리시간 0.028초

광물혼화재가 혼합된 다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의 레올로지 특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Rheology on the Multi-Ingredients Paste Systems Mixed with Mineral Admixtures)

  • 박대효;노명현;박춘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241-248
    • /
    • 2004
  • 콘크리트의 강도증진과 내구성 및 유동성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광물혼화재가 혼합된 시멘트페이스트 시스템의 레올로지 특성이 연구되었다. 그리고 시멘트페이스트는 일성분, 이성분, 삼성분 혼합 페이스트 시스템으로 구성되었다. 페이스트 시스템의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Haake사의 Rotolnsco RT 20 레오미터가 사용되었다.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일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의 경우, 고성능 감수제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레올로지 특성들이 상당히 개선된다. 이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에서는 고로슬래그와 플라이애쉬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비치환된 시스템의 경우보다 항복응력과 소성점도는 감소된다. 실리카 퓸이 치환된 이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에서는 실리카 퓸의 치환율이 증가함에 따라 항복응력과 소성점도의 값이 급격히 증가된다. 삼성분 페이스트 시스템에서는 OPC-BFS-SF와 OPC-FA-SF 페이스트 시스템 두 경우 모두 실리카 퓸을 단독으로 치환한 페이스트 시스템과 비교하여 레올로지 특성이 향상된다. 이성분과 삼성분 페이스트 시스템 모두 플라이애쉬 보다 고로슬래그를 배합에 넣어 사용할 때 레올로지 특성이 좀 더 개선된다.

교량 바닥판 콘크리트의 내구성 증진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Concrete Bridge Decks)

  • 서진원;이지영;구본성;신도철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393-399
    • /
    • 2007
  • 교량 바닥판은 공용 기간 동안 차량하중 및 다양한 환경 조건 (동결융해, 우수 및 융빙제)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로 인해, 교량 바닥판은 다른 주요부재에 비해서 다양한 결함 및 손상이 자주 발생하여 고속도로 상의 문제 교량은 대부분 바닥판에 결함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교량 바닥판의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성능콘크리트 (high performance concrete, HPC)가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교량 바닥판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해, 배합된 고성능콘크리트에 대한 내구성능 실험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배합 변수는 총 4가지로, 1) 보통시멘트 (OPC) 2) 시멘트 중량의 20%의 플라이애쉬 치환(FA), 3) 20%의 플라이애쉬와 4%의 실리카퓸 치환 (FS), 그리고 4) 40%의 고로슬래그미분말 치환 (BS)에 대해서 내구성 실험을 실시한 후 비교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용된 설계 압축강도는 각각 27 MPa와 35 MPa이다. 고성능콘크리트를 시험 배합한 결과, 결합재의 양을 증가시켜 강도를 증진시키는 것보다는 혼화재를 사용하는 것이 내구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혼화재 중, 플라이애쉬와 실리카퓸을 함께 결합재로 사용하는 경우가 균열 저감 및 내구 성능 증진에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철근부식 저항성 및 임계 염화물량 (Resistance to Corrosion of Reinforcing Steel and Critical Chloride Content of High Volume Fly Ash Concrete)

  • 이현진;배수호;정상화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4호
    • /
    • pp.375-381
    • /
    • 2017
  • 최근, 친환경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미분말 및 실리카 퓸 등의 산업부산물을 혼입한 콘크리트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이 같은 산업부산물은 콘크리트 내의 철근부식 저항성을 증가시키고 염화물이온 침투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실험연구의 목적은 시멘트량의 약 50%를 플라이애시로 치환한 하이볼륨 플라이애시 콘크리트(HVFAC)의 철근부식 저항성 및 임계 염화물량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철근 상부를 노출시킨 원주형 공시체의 철근부식 개시 시기를 추정하기 위하여 자연전위 측정에 의한 철근부식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HVFAC의 철근부식 개시 시기는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1.2~1.3배 증가하여 철근부식 저항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플레인 콘크리트 및 HVFAC의 임계 염화물량은 각각 $0.80{\sim}1.20kg/m^3$, $0.89{\sim}1.60kg/m^3$으로 나타나, HVFAC가 플레인 콘크리트보다 1.1~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대학교 실험실의 실내공기질 실태 및 관리방안 (Indoor Air Quality of Laboratories in K- University and the Management Strategy)

  • 이동현;정효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23-330
    • /
    • 2012
  • 본 연구는 안전보건 관리에 있어 관심이 미약하였던 대학 실험실에서의 유해화학물질 발생 수준과 그로 인한 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0년 5월 26일부터 6일간 서울시에 소재한 K대학을 대상으로 학과별 실내 오염인자를 측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MSDS 비치 여부와 노출저감시설 설치 유무, 보호구 지급 현황은 기초과학실험실인 화학과, 물리학과, 의학과 등에서의 관리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치의학과, 미술학과에서는 유해화학물질 관리를 위한 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실험실 내의 폼알데하이드와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는 미술학과가 다른 실험실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검출되었고 유사학과별로 집단화 한 그룹의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미술학과, 생활과학과가 포함된 기타학과에서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전반적으로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에 대한 인식이 저조하고 그에 대한 관리가 미흡한 학과의 실험실에서 높은 수준의 위험성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훈증제 처리가 2년생 인삼의 생육과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fumigation treatment on the growth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안용준;김요태;김명수;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1-36
    • /
    • 1981
  • D-D외 3종의 토양훈증제를 인삼의 연작토에 15cm, 30cm 깊이로 처리하였을 때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시험을 실시하였다. 1980년 3월 7일 처리, 4월 1일 이식, 8월 19일에 채취하여 근, 경, 엽으로 나누어 일반 무기성분(N, P, K, Ca, Mg, Na, Fe, Mn, Zn)을 분석한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훈증제처리가 2년생인삼의 지상하부의 생육을 촉진하였는데, 지하부 생체중의 경우 $2.8\~58.4\%$, 건물중의 경우 $8.1\~63.8\%$ 증가하였다. 2. 지상하부의 질소와 인산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a의 경우에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K의 경우에 있어서는 지하부에서는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지하부에서는 증가하였다. 3. 미량요소의 경우에 있어서는 Mn, Fe의 함량은 훈증제처리구에서 증가하였으나, Na, Zn의 함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 훈증제의 처리깊이(15cm, 30cm)에 따른 차이에서 보면 2년생인삼의 생육과 화학적조성에는 별다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PDF

조선업 용접작업장의 공기중 입자상물질 및 구성성분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n Airborne Particulate and It's Components in the Welding Workplace for the Ship Construction Industry)

  • 강용선;신중규;이송권;윤충식;임무혁;박만철;심상효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5-253
    • /
    • 2007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irborne personal concentration of hazardouse materials during the process of ship construction and surveyed from May 23 to June 30, 2007 in Kyungnam West Distirct, Korea. The subject was 94 ship construction workers exposed to welding fume and respirable particulate. The airborne concentrations of those were compared to Permissible Exposure Limit(PEL) from the Ministry of Labor in Korea.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23 samples(48.9%) of welding fumes was less than $5mg/m^3$, that of 16 (34.0%) was between 5 and $10mg/m^3$, and that of 8 (17.0%) was greater than $10mg/m^3$. The airborne concentration of 27 (57.4%) of respirable particulate masses was less than $5mg/m^3$ and the othere are greater than $5mg/m^3$. The welding fumes were identified containing the heavy metasl such as Fe, Mn, Zn, Mg, Ca, and Cu. The respirable particulates has similiar tendency with welding fumes in the component of heavy metals. But the concentration of Ca, Cu, Cr, and Ni turned out to be higher in welding fumes. Twenty (42.6%) of the 47 samples of welding fumes were exceeded PEL. In the heavy metals in welding fumes, ten (21.3%) of the 47 samples of Mn were exceeded PEL. Based on the results, the higher airborne hazardous materials were still exposed to wokers in ship construction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engineering control be applied to minimize the exposed cocnetration in ship building processes.

F344 rats를 이용 망간 및 철 화합물의 체내 흡수와 생식기 및 운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n and Fe Compound on the Absorption in the Body and Genital Organs, Activity with F344 Rats)

  • 김현영;이성배;한정희;최성봉;강민구;이채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4-234
    • /
    • 2007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armful effects of Mn and Fe, which may be generated as dust or fume in the industrial sites, on the body and genital organs by their inhalation. It is intended to fin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hazardousness by inhaling a single and the mixed materials of Mn and Fe. Male F344 rats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group and 3 exposed groups on the basis of the test material compound (Mn $1.5mg/m^3$, Mn 1.5 and Fe $3.0mg/m^3$, Fe $3.0mg/m^3$). The 4 groups were divided into 4 subgroups again on the basis of the exposure period (4 and 13 weeks) and the recovery period (4 and 13 weeks). The exposure condition was 6 hours a day, 5 days a week for the whole body. Clinical tests including changes in weight and feed rate, blood biochemical test, motility change, changes in the number and the amount of spermatozoon (sperm count), daily sperm production (DSP), deformity test of spermatozoon and changes in the accumulation of Mn and Fe in blood and internal organs were performed. Motility was reduced by Mn exposure. Especially, the effect of Mn was exposure period responsible. By mixing with Fe, no significant change in motility Mn and Fe accumulation in organs was observed. Sperm count and daily sperm production (DSP) were decreased by Mn. Additional effect like the reduction of sperm count and DSP, and delayed restoration of sperm count and DSP during the recovery period were observed in the mixed exposure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n and Fe may affect the motility reduced and has male reproductive toxicity. Mixed exposure of Mn and Fe lead to synergic effects on the male reproductive toxicity.

산업부산물인 가네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성질개선에 관한 기초적 연구 (The Fundamental Study on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the Garnet with Industrial Wastes)

  • 임병호;박정민;김태곤;김화중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3-190
    • /
    • 1999
  • 본 연구는 부존자원의 고갈화 문제에 따른 신소재 개발이라는 성자원적인 측면과 산업부산물의 재활용이라는 환경친화적인 측면에 상응하여 현재 경북지역에서 발생하는 산업 폐기물인 가네트를 대상으로 제반 물성 실험을 통하여 콘크리트 제조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실험실적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가네트 미분말은 포졸란 반응성과 상관관계를 갖는 실리카와 알루미나의 함유량이 약 50% 정도로써 화학조성상 혼화재로서 사용 가능성을 보여 주었으며, 응결시간은 가네트 치환량이 많아 질수록 다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시험결과 일반 모르터에 비해 가네트의 사용량이 많아짐에 따라 플로우치가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콘크리트에 활용시 시공연도를 증진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모르터에 대한 압축강도 시험결과 물결합재비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적으로 일반 모르터에 비해 약간씩 압축강도를 상회하고 있으며 최고의 강도 발현율은 치환율 10% 정도로 사료되며, 기존 혼화재(실리카 흄, 플라이애쉬)에 비해 동수준의 강도 발현율을 나타냄으로써, 콘크리트 제조시 시멘트 절감효과 및 성질개선을 위한 혼화재로써의 사용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우리 나라 치과 기공사의 신체 자각 증상과 직업 관련 건강 위험 요인 (Subhective Symptoms and Work-related Health Risk Factors in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 김웅철;이세훈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9-112
    • /
    • 2000
  • Although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re prone to be exposed to various work-related health hazardous materials such as dusts, chemicals, etc., the prevalence and nature of work-related health problems of them have not been a matter of great concern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health service in Korea.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scribe a collected profile of subjective health symptoms and their attributable factors in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 questionnaire listing five groups of health symptoms and five health symptom-related factors was mailed to randomly selected 1,900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Among them, 1,344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and returnde them. Five groups of health symptoms included musculoskeletal symptom, dermal symptoms, respiratory symptoms, eys symptoms, and ear symptoms. Five health symptom-related factors were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health risk factors, work history, health related habits and status,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Detailed parameters of health risk factors were work posture, vibration, and chemical or physical hazards such as dust, fume, vapor, solvent, light, and noise for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factors; work place, area, number of employees, work hours, career, work part, and work load for work history; Broca's index, hours of sleep, eating, smoking, alcohol, exercise, health examination, and self assessed health status for health habits and status; face masks, goggles, and so on for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nd; age, sex,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for general characteristics. Before the start of main survey, a pilot survey was carried out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of the questionnaire. All the data obtained were coded and analyzed with PC/SAS 6.12 program. The prevalence of health symptoms was the highest in musculoskelton (87.3%), and followde by eyes (78.9%), respiratory organs (64.3%), ears (57.8%), and skin (52.2%) in descending order. Statistically significant risk factors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sex, health examination,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hand/finger posture in musculoskeletal symptoms; sex, self assessed health status, career, acid gas, and hand contact with resin mixture in deraml symptoms; Broka's smoking, exercise,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face mask in respiratory symptoms; sex, hours of sleep, self assessed health status, work hours, work load, plaster dust, inadequate lighting, and goggle in eys symptoms, and eating, smoking,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work load in ear symptoms. With the above considerations in mind, prevalence of subjective symptoms among Korean dental laboratory technicians was relatively high, and they were attributable to most of the occupational environment-related factors, work history, use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health habits and statu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t is suggested that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promoting self- assessed health status and smoking cessation, preventive measures for protection of the female technicians’health, and reducing work load be necessary, since tho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more than one subjective symptom.

  • PDF

간암 및 자궁암 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오매 추출물의 영향 (The Effect of Prunus Mume Extracts on the Growth of HepG2 and HeLa Cell Lines)

  • 배지현;정승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4호
    • /
    • pp.439-44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오매를 이용하여 오매 추출물이 간암 및 자궁암 세포주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오매를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methanol 및 열수로 순차 추출하여 분획물을 농도별로 조제하였으며, MTT assay, cytotoxicity test 및 현미경 관찰 등을 통하여 암세포의 성장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Hep G2의 경우 오매의 ethylacetate추출물이 가장 큰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TT assay결과 250 $\mu\textrm{g}$/ml 농도 이상에서부터 유의적인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cytotoxicity test결과 오매의 ethylacetate 추출물 1000$\mu\textrm{g}$/ml농도에서 72시간 배양시 75%의 세포 파괴율을 나타내었으며 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의 모양이 변화되고 죽은 세포가 배양액위에 떠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HeLa cell에서는 오매의 hexane 추출물이 가장 큰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MTT assay 결과 250 $\mu\textrm{g}$/ml 농도 이상에서부터 유의적인 증식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cytotoxicity test 결과 오매의 hexane추출물 1000 $\mu\textrm{g}$/ml농도에서 72시간 배양시 HeLa cell의 68%가 파괴되었으며 현미경 관찰 결과 세포 모양의 형태학적 변화가 일어났다. 정상세포주인 fibroblast에는 오매의 ethylacetate 및 hexane 추출물이 아무런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현미경 관찰 시에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