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maric acid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3초

흐름주입분석기술에 의한 푸마르산과 숙신산의 모니터링 기술 개발 (Development of On-line Monitoring Techniques for Fumaric Acid and Succinic Acid by Flow Injection Analysis)

  • 손옥재;김춘광;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377-38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푸마르산 또는 숙신산을 생산/소비하는 생물공정에서 각 물질의 농도를 온라인 모니터링을 하기 위한 흐름주입분석기술 (FIA)을 개발하였다. 각 효소반응에 필요한 효소 (Fum/MDH, ICL/ICDH)를 VA-Epoxy Biosynth E3-carrier에 공유 결합에 의해 고정화하였고 소형 고정화 효소반응기를 흐름주입분석 장치에 도입하였다. 푸마르산-FIA 및 숙신산-FIA 시스템에서 고정화 효소 반응기의 특성 (예를 들면, 고정화 Fum/MDH 효소 반응기와 ICL/ICDH 효소 반응기는 최적 pH가 9.0이었으며 35$^{\circ}C$의 반응온도에서 최대 활성을 보임) 을 연구하였고 실제 생물공정에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각 FIA 시스템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모사공정과 실제 발효공정에서 푸마르산과 숙신산의 농도를 온라인 모니터링하여 오프라인 분석값과 비교하였고 잘 일치함을 볼 수 있었다.

Photochemical Kinetics of Maleic to Fumaric Acid on Silver Nanoparticle Surfaces

  • Jang, Nak-Han;Jeong, Dae-Hong;Suh, Jung-S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5호
    • /
    • pp.791-794
    • /
    • 2005
  • A visible photochemistry of maleic to fumaric acid adsorbed on silver nanoparticle surfaces was investigated as probed by SERS using a simple flow method. Photoisomerization of maleic to fumaric acid was consecutively observed in the condition of various flow rates, which varied the exposure time of laser beam. The sequential SERS spectra of maleic acid indicated that the photochemical isomerization and desorption took place simultaneously on silver nanoparticle surfaces as a function of laser fluency and wavelength. For 530.9nm laser line excitation, the rate constant coefficients were obtained with a = 5.9 $sec^{-1}$ mW for isomerization and b = 13.9 $sec^{-1}$ mW for desorption, which $k_1\;=\;aI^n\;and\;k_2\;=\;bI^m$. Both reactions were one photon process (n = 1, m = 1) of a visible light and relatively fast process whose decay time was in the range of milli-second for 50 mW laser power. The rate of photochemical reaction increased on going toward the blue and photodesorption was a dominant process. A simple flow method used in this study was very useful to study a relatively fast photochemical reaction of molecules adsorbed on silver nanoparticle surfaces.

전처리 방법이 달래의 품질 특성과 미생물 저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as the Pretreatments on Microorganism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lium monanthum)

  • 심현정;성옥란;조용식;장현욱;황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10-519
    • /
    • 2021
  • 달래의 전처리 방법을 통해 미생물 저감과 품질 유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물리적인 처리로는 손 세척 1분, 버블 세척, Ultrasonication 처리를 50℃와 60℃의 온도에서 각각 1분, 3분, 5분 동안 세척하였고, 화학적 처리에서는 유기산인 푸마르산과 아세트산 용액 1.5%와 2% 농도에서 각각 1분, 3분, 5분 동안 침지 처리하였다. 미생물과 품질 분석 결과 물리적 처리에서는 버블 세척 3분이 곰팡이 저감에 효과적이었으나 일반세균 저감 효과는 적었고, Ultrasonication 60℃, 5분 처리에서 미생물 저감 효과가 가장 높았으나 색도의 a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녹색이 약해졌다. 화학적 처리에서는 acetic acid에 비해서 fumaric acid에서 일반세균과 곰팡이의 저감 효과가 높았으며, fumaric acid 1.5% 용액에서 3분 처리의 저감효과가 가장 높았다. 달래의 미생물 저감 효과가 좋은 버블세척 3분(B3), fumaric acid 1.5%, 3분 처리(F153), 두 가지 방법을 조합한 병합(BF) 처리를 실시하고 9일 동안 4℃에서 저장하며 품질 특성을 비교해 본 결과, 일반세균보다는 곰팡이 저감에 더 효과적이었으며, 일반세균은 BF가 곰팡이는 F153에서 미생물 감소 효과가 있었다. 색변화에 있어 BF 처리의 𝚫E값이 가장 낮았으며, 유기산 처리에서 색변화를 보여 F153에서 녹색이 약해졌다. 최대응집력 변화 알뿌리 보다는 녹색 줄기에서 현격히 나타났는데 저장 9일 차에 F153처리에서 녹색 줄기의 경도가 가장 높게 유지되었고(P<0.05), 알뿌리 부분은 물리적 방법인 버블 세척 시 6일차부터 다른 처리에 비해 낮아졌다(P<0.05). 달래의 미생물 저감과 품질의 유지를 고려할 때 전처리 방법으로는 fumaric acid 1.5%용액으로 3분 처리 시 미생물 저감 효과와 색·최대응집력의 특성 유지가 우수하였고, 3일 이내의 유통기간이라면 병합 처리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순차적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MOF-801 합성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MOF-801 Synthesis Using Sequential Design of Experiments)

  • 이민형;유계상
    • 공업화학
    • /
    • 제32권6호
    • /
    • pp.621-626
    • /
    • 2021
  • MOF-801 합성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순차적인 실험 계획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screening을 위한 완전 2-요인 설계와 이후 반응표면 분석법 중에 하나인 중심합성 계획법을 연속적으로 사용하였다. 두 가지 반응변수인 MOF-801의 결정화도와 BET 비표면적 중에 실험계획법에 보다 적합한 변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fumaric acid, dimethylformamide (DMF) 및 formic acid의 몰비를 이용한 23 요인 설계법을 수행하였다. MINITAB 19 소프트웨어에 따라 설계된 8번의 MOF-801 합성 실험을 수행한 이후 XRD 분석 및 질소흡착법을 이용하여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가지 반응변수 중 결정화도의 R2이 0.999로 BET 비표면적보다 실험계획법에 보다 적합하였다. 분산 분석(ANOVA)을 통해 fumaric acid와 formic acid의 몰 비가 MOF-801의 결정화도를 결정하는 주요 인자임을 확인하였다. response optimization과 두 인자의 contour plot을 통해 최적의 몰비는 ZrOCl2·8H2O : fumaric acid : DMF : formic acid = 1 : 1: 39 : 35로 추정되었다. 이후 합성반응 공정의 최적화를 위해 도출된 전구체의 몰 비 조건에서 합성 기간과 온도에 대한 박스-벤켄설계법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9번의 합성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2차 모델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MOF-801의 최대 결정화도는 합성시간 7.8 h 그리고 합성온도 123 ℃의 조건에서 얻을 수 있음을 예측하였다.

수확 후 산채류의 미생물 제어를 위한 이산화염소수와 유기산 및 Blanching 병합 처리 (Combined Treatment of Aqueous Chlorine Dioxide, Organic Acid, and Blanching for Microbial Decontamination of Wild Vegetables after Harvest)

  • 강지훈;박신민;김현규;손현정;이가연;강길남;박종태;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7-283
    • /
    • 2016
  • 수확 후 산채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정된 산채류인 취나물과 곤드레에 이산화염소수와 유기산 용액 병합 처리 및 이산화염소수, 유기산 용액, blanching 병합 처리 후 미생물 제어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0.5% citric acid 용액의 병합 처리는 취나물과 곤드레의 총 호기성 세균 수를 2.80~3.64 log CFU/g, 효모 및 곰팡이 수는 2.02~2.67 log CFU/g 감소시켰다. 50 ppm 이산화염소수와 0.5% fumaric acid 용액의 병합 처리 후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3.62~3.82 log CFU/g 감소하였으며, 효모 및 곰팡이의 경우에는 2.47~3.02 log CFU/g 만큼 감소하여 이산화염소수와 citric acid 용액의 병합 처리보다 fumaric acid 용액과의 병합 처리가 더 효과적인 병합 처리 조건이라고 생각된다. 이산화염소수와 fumaric acid 병합 처리 후 blanching 처리된 취나물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보다 5.12 log CFU/g 더 낮게 검출되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다. 곤드레의 경우에도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 호기성 세균 수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4.59 log CFU/g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이산화염소수와 유기산 용액 전처리 후 blanching 병합 처리가 산채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Production of fumaric acid with biofilm contactor by Rhizopus oryzae KCTC 6946

  • 김진남;위영중;윤종선;류화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243-246
    • /
    • 2002
  • In this study, biological production of fumaric acid by Rhizopus oryzae KCTC 6946 using rotary biofilm contactor was investigated. In study of neutralizing agent on fumaric acid production, $Na_2CO_3$ was more effective than NaOH. After 24 hr of incubation with a rotating speed of 10 rpm at $35^{\circ}C$, biofilm was grown on and around the surface of the disks. The yield and volumetric productivity of rotary biofilm contactor were 33.8% and 0.595 g/L${\cdot}$h, respectively, with the optimum effective disk surface area of 1,583 $cm^2/L$.

  • PDF

야채류(野菜類)의 성분(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 2. A. altissima엽(葉)의 free amino acid및 organic acid함량(含量) -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Vegetables - 2. The free amino acid and organic acid contents in A. altissima leaves -)

  • 김석환;조수열;김덕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20
    • /
    • 1977
  • A. altissima 엽(葉)의 free amino acid 및 free organic acid의 함량(含量)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free amino acid는 lysine, histidine, arginine, tryptophan, aspartic acid, glutamic acid, threonine, isoleucine, 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등 17종(種)이 정량(定量)되었으며 이들 중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아 전(全)아미노산량의 48.3%를 차지하였다. 2. free organic acid는 formic acid, acetic acid, oxalic acid, male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 citric acid, tartaric acid 등 8종(種)이 정량되었고 sorbic acid는 미량(微量)이었으며, 이들 중 fumaric acid가 가장 많았다.

  • PDF

볏짚에 함유한 생리활성물질 탐색 (Search for Allelopathic Compound in Rice Straw)

  • 이춘우;김용욱;윤의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5-381
    • /
    • 1997
  • 볏단이 있던 곳이나 콤바인 수확한 볏짚이 피복된 곳은 잡초 발생인 생육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이는 볏짚에 함유한 allelopathic 물질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어 볏짚을 80% 메칠알콜로 추출후 둑새풀로 생물검정, 10종의 표준 유기산이 둑새풀의 생육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 볏짚추출물을 silicagel column 으로 분획후 HPLC, GC/MS로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았다. 1. HPLC분석에 의하여 볏짚에는 fumaric acid와 4종류의 미확인 유기산이 확인되었다. 2. fumaric acid를 포함한 7종의 유기산은 $10^{-2}$의 농도에서 둑새풀의 생육을 상당히 억제하였고 특히 발아를 100-90% 억제시켰다. 3. 볏짚에 함유한 물질중 억제효과가 가장 큰 것은 GC/MS분석에 의하여 II-4-4Rf 0.5에 함유한 물질로 분자량 253인 치환된 유기산인 신물질로 Octadecanoic acid, 2-oxo-, methyl ester에서 methyl ester가 유리된 물질로 추정되었다.

  • PD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사과주스의 유기산 분석 (Analysi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황혜정;김성수;윤광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87
    • /
    • 2000
  • The contents of organic acid in Korean apple juice were analyzed by HPLC using YMC-peak ODS-AQ column and enzymatic assay. Model apple juices were prepared at the laboratory and commercial apple juices were purchased from the market. Individual organic acid contents were as follows: DL-malic acid 62~402mg%, L-malic acid 48~360mg%, citric acid 1.81~15.74mg%, fumaric acid nd~0.50mg%. Together, these tests gav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quality and authenticity of a particular apple juice smaple. The presence of D-malic acid was a clear indication of adulteration because this isomer did not occur naturally. Fumaric acid and citric acid levels above trace amounts were also inconsistent with pure apple juice.

  • PDF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추출물의 영향

  • 이신호;임용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4-228
    • /
    • 1997
  • This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gate the effec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extracts(OE)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LAB, HYO-1 and HYO-2) isolated from home-made kimchi. The growth of isolated LAB was inhibited apparently in modified MRS broth containing 1% or 2% of OE. The growth of isolated LAB was inhibited by pH control with HCI to 4.3 or 3.7, the same pH of modified MRS broth containing 1% or 2% of OE. The strong growth inhibitory properties against isolated LAB were shown by fumaric and itaconic acid among various organic acids of Schizandra chinensis, such as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fumaric acid, itaconic acid and acetic acid. The isolated LAB were in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