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lvia mutic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6초

광양만에 분포하는 새조개, Fulvia mutica(Reeve)의 자원량 추정

  • 김영혜;장대수;차병렬;박영철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1년도 춘계 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00-401
    • /
    • 2001
  • 새조개(Fulvia mutica)는 우리 나라, 동중국해, 홍콩 일본 등에 분포하며, 수심 10∼50m의 사니질에 서식한다. 패각이 얇고, 패각내면은 분홍색을 띄고 있으며, 육질부의 발은 길고 검은 색이며, 맛이 매우 좋아 식용 패류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다. 본 종은 일본의 경우 성장(Tain and Makoto, 1997; 1998), 자원량 평가(Tain and Makoto, 1997), 어획량과 개체군 구조(Tain and Makoto, 1997) 등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중략)

  • PDF

새조개 (Fulvia mutica) 난 발생 및 유생 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s of Water Temperatures on the Larval Development and Spat Growth of the Cockle Shell, Fulvia mutica)

  • 김재민;김상철;허준욱;임상민;김영훈;선승천;강경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2
    • /
    • 2012
  • 새조개의 효율적인 종묘생산을 위한 생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난발생 및 유생사육에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수온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정란은 산란유도하여 6개의 수온별 실험구 (14, 17, 20, 23, 26 및 $29^{\circ}C$)에 수용하여 발생과정을 관찰하였다. 유생사육의 각 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온 (T, $^{\circ}C$) 에 따른 발생속도 (1/h, 시간) 는 수온이 높을수록 빨랐으며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4-cell : 1/h = 0.0067T-0.0879 ($r^2$ = 0.8760) 8-cell : 1/h = 0.0128T-0.1794 ($r^2$ = 0.7589) M (상실기) : 1/h = 0.0234T-0.3274 ($r^2$ = 0.9587) B (포배기) : 1/h = 0.0306T-0.4276 ($r^2$ = 0.9236) T (담륜자기) : 1/h = 0.0442T-0.6224 ($r^2$ = 0.9121) V (D형유생) : 1/h = 0.0864T-1.2850 ($r^2$ = 0.8586) 유생사육시 수온과 난발생 속도와의 관계에서 추정된 D형 유생까지 난발생의 생물학적 영도 및 적산수온은 평균 $0.1^{\circ}C$$597.3^{\circ}C$였다. D형유생까지 가장 적합한 수온은 $23^{\circ}C$였으며, 발생은 20시간으로 나타났다.

Geographic Variations of Three Fulvia mutica Populations

  • Kang, Seo-Kyeong;Yoon, Jong-Man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3-169
    • /
    • 2013
  • In the present study, the seven primers BION-33, BION-34, BION-37, BION-41, BION-44, BION-45 and BION-42 generated the total number of loci, average number of loci per lane and specific loci in Hongseong, Yeosu and Goheung population of F. mutica, respectively. 7 primers generated 19 specific loci in the Hongseong population, 29.3 in the Yeosu population and 23.1 in the Goheung population, respectively. Especially, the decamer primer BION-37 generated 7 unique loci to each population, which were identifying each population, approximately 700 bp in Hongseong population. In this study, the dendrogram obtained by the seven primers indicates three genetic clusters: cluster 1 (HONGSEONG 01-HONGSEONG 07), cluster 2 (YEOSU 08-YEOSU 14) and cluster 3 (GOHEUNG 15-GOHEUNG 21). Among the twenty one cockles,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that displayed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s 17 and 19 from the Goheung population (genetic distance = 0.051), while the longest genetic distance among the twenty-one cockle individuals that displayed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s HONGSEONG no. 03 and YEOSU no. 12 (genetic distance = 0.616). Relatively, individuals of YEOSU population were fairly closely related to that of GOHEUNG population. Ultimately, PCR fragments revealed of in this study may be useful as a DNA marker the three geographic populations to distinguish.

Processing and Pigment Stability of Cooked and Frozen Cockle, Fulvia mutica

  • BAE Tae-Jin;KIM Sung-Woo;CHOI Ok-Soo;KANG Hoon-I;PARK Seong-Min;KIM Kui-Shik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49-855
    • /
    • 1996
  • Processing condition and pigment maintenance of cockle, Fulvia mutica were studied. Proximate composition of whole meat was $82.3\%$ moisture, $10.8\%$ crude protein, $0.8\%$ crude lipid, $2.5\%$ carbohydrate and $3.1\%$ crude ash, and that of foot muscle was $80.6\%,\;12.3\%,\;0.3\%,\;2.9\%\;and\;3.3\%$ respectively. When the living cockle was soaked in $2\%$ NaCl solutions, about $90\%$ of silt and mud was removed after 10 hours soaking, and over $92\%$ was removed when the pH was adjusted to 7.5. When the pigment destruction was tested by 40 seconds at $75^{\circ}C,\;80^{\circ}C,\;85^{\circ}C,\;90^{\circ}C\;and\;95^{\circ}C$, retention ratios of pigment in cockle were above $95\%$ at all temperature. Soaking in ethanol for 5 minutes resulted in strong adhesion of pigment to meat. Soaking in seasoning liquid containing $10\%$ soy sauce, $5\%$ wasabi, $5\%$ sugar, $2\%$ vinegar, $2\%$ powdered garlic for 3 minutes was effective for instant processing of cooked and frozen cockle after thawing. After 60 days storage at $-20^{\circ}C$,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lipid, carbohydrate, ash and salinity were not changed so much, and pH and TBA values increased to 6.6 and 0.3 compared with 6.2 and 0.2, respectively, while pigment absorbance at 226 nm was decreased from 2.7 to 2.3. However, in case of 60 days storage at $-45^{\circ}C$, there was no change in these compositions.

  • PDF

새조개, Fulvia mutica (Reeve)의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주기 (Gametogenesis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Cockle, Fulvia mutica (Reeve))

  • 장영진;이택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41-250
    • /
    • 1982
  • 자웅동체형 이매패인 새조개, Fulvia mutica,의 자원관리 및 양식을 위한 기초생물학적 연구로서, 1980년 10월부터 1981년 9월까지 월별로 채집한 여수근해산 재료를 대상으로 생식세포형성과정 및 생식월파를 조직학적 방법에 의해 제사하였다. 생식소는 복잡한 관상구조를 가진 않은 난소소낭과 정소소낭들이 서로 혼재된 자웅동체형을 나타내고 있다. 발달초기의 생식소에서 성장중인 생식세포와 함께 호산성 과립세포와 불분화간충조직들이 풍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생식소 성숙함에 따라 점차 소실되어 간다. 완숙난의 크기는 $56\sim67{\mu}m$으로 젤라틴장의 피막에 둘러싸여 있고, 변태를 마친 완숙정자는 청소소의 내경신앙에 파상의 정자수을 형성한다. 새조채의 생식주기는 분열증식기, 성장기, 성숙기, 방출기, 퇴화기 및 회복기의 연연시인 6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산난기는 수온 $20^{\circ}C$내외의 $5\sim10$월로써, 그 성기는 $6\sim7$과 9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월의 조기산난개체들은 생식소를 곧 회복발달시켜 9, 10월 방난군에 다시 참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해산 패류 15종의 DNA 함량 (Nuclear DNA content determinations in 15 seawater shellfish species in Korea)

  • 박인석;최희정
    • 환경생물
    • /
    • 제38권3호
    • /
    • pp.343-34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연안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15종 패류의 핵DNA 함량을 조사하였다. 복족류에서 DNA 함량(pg DNA nucleus-1 )은 3.3±0.08 (Haliotis discus hannai)과 2.4±0.18 (Batillus cornutus)이었다. 이매패류에서 DNA 함량(pg DNA nucleus-1)은 2.0±0.15 (Scapharca broughtonii), 3.0±0.12 (Mytilus galloprovincialis), 2.9±0.05 (Meretrix lusoria), 2.2±0.03 (M. lamarkii), 2.6±0.05 (Fulvia mutica), 1.8±0.18 (Tegillarca granosa), 3.3±0.01 (Solen corneus), 2.2±0.04 (Barnea manilensis), 2.5±0.32 (Crassostrea gigas), 3.9±0.24 (Atrina pectinate), 3.5±0.15 (Patinopecten yessoensis), 1.9±0.16 (Amygdala philippinarum) 및 2.3±0.14 (Pseudocardium sachalinensis)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본 연구에 사용된 패류의 genomic 진화과정을 더욱 잘 이해하는 새로운 정보를 제공한다.

해창만 벗굴, Ostrea denselamellosa 서식지의 환경특성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Conditions of the Flat Oyster, Ostrea denselamellosa in Haechang Bay, Korea)

  • 양문호;한창희;김형섭;최상덕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5-113
    • /
    • 1999
  • 벗굴을 양식산업에 적용하여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이 종에 대한 자연서식지의 환경특성과 이매패의 자원량을 조사하였다. 벗굴 서식지 주변해역에서 수온은 5.5$^{\circ}C$-27.4$^{\circ}C$의 범위였고, 염분은 31.2-33.4 로 평균 32.3 였다. DO, COD, DIN 및 PO$_{4}$$^{3}$-P은 각각 평균 7.11 mg/L, 0.44 mg/L, 4.55 $\mu\textrm{g}$-at./L 및 0.36 $\mu\textrm{g}$-at./L이었다.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성은 사력질, 니사질, 사니질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퇴적물의 IL, COD 및 AVS는 각각 평균 2.6%, 13.70 mg/g dry 및 0.33 mg/g dry였다.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90.3(9월)-1,272.0 cell/ml(2월)이었으며,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Paralia sulcata, Eucampia zodiacus, Chaetoceros curvicetus,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ecipiens, Asterionella glacialis, Pseudo-nitzschia longissima, Pseudonitzschia seriata, Ceratium furca, Ceratium fusus 등이었다. 벗굴 서식지에서 출현한 조개류는 벗굴(Ostrea denselamellosa), 참굴(Crassostrea gigas),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새고막(Scaphaca subcrenata), 피조개(Scaphaca broughtonii), 키조개(Atrina pectinata), 새조개(Fulvia mutica), 진주담치(Mytilus edulis), 살조개(Protothaca jedoensis), 갈색이랑조개(Megacardita ferruginosa) 등 모두 10종이었다. 그리고 이매패류의 평균 자원량은 21개체/$m^2$(479.14 g/$m^2$)이었고, 벗굴은 0.25 개체/$m^2$(231.25 g/$m^2$)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