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gu xanthopterus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복어의 비가식부의 이용과 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Utilization and Lipid Composition of Nonedible-Tissues from Fugu xanthopterus)

  • 이민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3-218
    • /
    • 1997
  • 까치복(fugu xanthopterus)을 간, 알, 내장, 근육, 정소로 나누어서 얻은 총지질 함량은 간에 81.72%로 가장 많은 지질이 들어 있었으며 그 외 내장, 알, 근육, 정소에는 14.53, 12.63, 0.85, 1.74%로서 근육에서 가장 낮은 지질 수준이 나타났다. 한편 까치복의 간으로부터 독성제거 확인을 하기 위해 1% acetic acid/methanol용액 50ml와 CHCI3:methanol(0.1% acetic acid)(2:1, v/v)용액 50ml에서 독성을 추출하였다. 위 두 가지 방법 모두에서 지질층에는 mouse test한 결과 무독한 것으로 나타났고 추출한 독성층에는 mouse 무게가 가벼운 것이 더 높은 독성치를 나타내어 저항에 약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까치복의 부위별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 DHA의 함량이 근육에 32.4%로 가장 높았고 간과 내장의 지질에도 23.0, 26.7%로 높은 지질 수준을 보였으며 정소에는 15.4%로 가장 낮았다. 근육에는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57.4%로 전체 지방산 중 절반이 넘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간에도 50.9%의 높은 지질 수준을 보였다. 포화 지방산은 C16:0가 각 부위마다 높았으며 모노 불포화 지방산은 C18:1(N-9)가 부위마다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까치복 알의 지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Lipid Composition of Egg from Fugu xanthopterus)

  • 이민경;조용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8-212
    • /
    • 1997
  • 까치복(Fugu xanthopterus) 알을 총지질 함량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로 조성별 분획하여 얻은 TG, 인지질, wax ester의 지방산과 wax ester의 알코올 조성을 GC로 분석하였다. 까치복 알의 총지질 함량은 12.6%였고 알 지질의 분획별 함량에서는 TG가 59.37%로 가장 많았고 인지질이 15.46%였으며 wax ester가 6.9%로 나타났다. 까치복 알의 지방산 조성은 각 분획마다 DHA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DPA, EPA의 함량도 높았음을 알 수 있었고 인지질 분획에서는 DHA가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포화 지방산, 모노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각각 35.3, 27.4, 37.3%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까치복 알의 wax ester의 지방산 분획에서는 포화 지방산, 모노 불포화 지방산, 고도 불포화 지방산이 5.8, 47.0, 47.4%로 나타났는데, 알코올 분획에서는 C16:0가 62.6%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어 포화 알코올이 86.3%로 가장 많았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 불포화 알코올은 1.2%의 아주 낮은 함량을 보인 것이 특징적이었다.

  • PDF

복어추출물이 Alcohol성 고요산혈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Fugu xanthopterus on the Hyperuricemia in Alcohol-treated Rats)

  • 김석환;이경희;신두임;김동훈;최종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6-52
    • /
    • 1996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the puffer fish Fugu xanthopterus(FXH) on the alcohol induced hyperuricemia. The normal group and the FXH treated group showed no sigbificant changes in the levels of blood uric acid but, the blood uric aci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FXh treated rats with 100mg/kg for two weeks compared to the ethanol treated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activities of uricase, adenosine deaminase, guanine deaminase, and purine uncleoside phosphorylase, among all the test group. But the activitis of liver xanthine oxidase were recovered to the normal level in ethanol +FXH treated group comparing to the ethanol treated group. Furthermore, ethanol+FXH treated rats showed the similar pattern in the levels of blood uric acid and urinary allantoin with normal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ecreased blood uric acid by the FXH treatment of the alcohol induced hyperuricemia rats may result from decreased activity of hepatic xanthine oxidase.

  • PDF

까치복(Fugu xanthopterus)의 독성 (Tetrodotoxin in a Pufferfish, Fugu xanthopterus (Korean Name, Ggachibog))

  • Hyun-Dae Kim;Yeung-Ho Park;Dong-Soo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02-508
    • /
    • 1994
  • 부산 공동어시장에서 구입된 까치복어, Fugu xanthopterus의 조직부위별 독력을 mouse bioassay법에 의하여 비교 검사하였다. 또한 bio gel P-2 column chromatography으로 복어독을 부분 정제하여, 박층 chromatography, 전기영동, GC-MS 및 HPLC에 의하여 독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즉, 까치복의 개체당 전체 독력은 1,099~167,694 M로서 개체에 따라 뚜렷한 독력 차이가 있었다. 간, 난소 그리고 내장의 평균독력은 각각 $231.0{\pm}51.0,\;175.0{\pm}38.0\;및\;78.8{\pm}16.8MU/g(평균값{\pm}표준오차)$으로 나타난 반면에 근육과 껍질조직의 평균독력은 각각 $3.3{\pm}1.4와\;19.3{\pm}4.3MU/g$으로 개체에 따라 약독 내지 무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부위별 최고독력의 순서는 간(917MU/g), 난소(459MU/g), 내장(312MU/g), 담즙(101MU/g), 껍질(79MU/g), 정소(72MU/g), 그리고 근육조직 (27MU/g)의 순이었다. 한편, TLC, 전기영동, HPLC로 분석한 결과 복어 개체에 따라 독의 조성이 다름을 알 수 있었고, TTX를 알칼리분해 시켜 생성된 ${C_9}-base$를 TMS화 시켜 GC-MS에 주입시킨 결과 ${C_9}-base$ TMS 유도체의 특성인 406(molecular ion peak), 392(base), 380 및 376 m/z에서 fragment ions에 의해 TTX의 peak는 동일한 mass spectra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독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자료는 최근들어 수입 복어류의 증가, 양식어업의 발달, 식생활의 다양화 등에 따른 수산 식품의 위생적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절실히 필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 PDF

몇가지 어류 및 갑각류의 발음과 주음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Sound Production and Phonotaxis of Some Fishes and Crabs)

  • 김상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14권1호
    • /
    • pp.15-36
    • /
    • 1978
  • 몇 가지 어류와 갑각류의 식이음과 울음소리를 분석하고, 그 소리를 방음할 때의 주음반응을 조사 연구하였다. 1. 어류의 식이음의 주파수는 참돔(Chrysophrys major)과 말쥐치(Navodon modestus)는 63~125Hz로서 낮고, 까치복(Fugu xanthopterus)은 400~500Hz로서 높으며, 소조기(Nibea albiflora)와 방어(Seriola quinqueradiata)는 그들의 중간인 125~250Hz이였다. 말쥐치와 참돔의 식이음과 음압은 55~59db로서 낮고, 까치복은 60~64db로서 높으며, 소조기와 방어는 57~62db로 이들의 중간이었다. 2. 수조기의 울음소리의 주파수는 125~250Hz로서 식이음과 같으나, 음압준위는 62~63db로서 식이음보다 높았다. 3. 갑각류의 울음소리의 주파수는 왕게(Scylla serrata)가 125~250Hz로서 낮고, 민꽃게(Charybdis japonica)와 왕밤송이게(Telmessus acutidens)가 500~1,000Hz로서 높으며,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는 250~500Hz로서 그들의 중간이었다. 음압준위는 왕게가 68~70db로서 높고, 꽃게, 민꽃게와 왕밤송이게는 54~61db로써 낮았다. 4. 수조기와 방어의 식이음에 대한 주음률은 56~87%였으며, 말쥐치와 까치복은 주음성을 확인하기 어려웠다. 수조기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음률은 52~63%였다. 5. 수조기, 방어, 까치복, 말쥐치, 참돔 등은 주파수가 50~9,000Hz인 정현파에는 주음하지 않았다. 6. 꽃게의 울음소리에 대한 주음은 대형군(갑폭 15.1~18.5cm)이 방음할 때, 소형군(8.5~12.5cm)의 주음률(13~58%)보다는 소형군이 방음할 때 대형군의 주음률(44~98%)이 높았다. 중소형군(각폭 8.5~15.0cm)까지는 암컷이 방음할 때 수컷의 주음률(88~100%)은 암컷의 주음률(56~91%)보다 높은 편이며, 수컷이 방음할 때 수컷의 주음률(19~63%)보다 암컷의 주음률(66~100%)이 높은 편이었다.

  • PDF

까치복, Fugu xanthopterus의 조직별 독성차이 (Difference of Toxicities among Tissues in the Pufferfish Fugu xanthopterus('Ggachibog'))

  • 김현대;김동윤;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363-368
    • /
    • 1991
  • 부산 시내 어시장에서 구입된 까치복어, Fugu xanthopterus의 조직부위별 독성과 특정부위의 독성간 상호관계를 mouse bioassay법에 의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즉, 개체당 전체 독량이 0-36,816 MU로써 개체에 따라 독성차이가 있으며, 간, 난소 그리고 내장의 평균독성은 각각 $110.0\pm25.0,\;115.0\pm33.0\;$$73.0\pm20.3\;MU/g$(평균치$\pm$표준편차)이었다 또한 각 부위별 독성의 빈도순서는 간$(88\%)$, 난소$(80\%)$ 내장$(75\%)$, 정소$(71\%)$, 담즙$(71\%)$, 껍질(54\%)$, 그리고 근육조직$(13\%)$의 순이었다. 한편 간과 내장, 껍질, 난소조직의 독성은 그 상관계수가 각각 r=0.93, r=0.79 및 r=0.83으로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부산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복어류의 독성 (Toxicity of Several Puffers Collected at a Fish Market of Pusan, Korea)

  • 정동윤;김동수;이명자;김상록;변대석;김현대;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82-689
    • /
    • 1994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독성이 알려져 있지 않은 복어류에 대한 검토 및 현재까지 식용 또는 비식용으로 분류되어 있는 일부 복어류의 독성에 대한 재검토와 유독 복어류의 출현을 감시할 수 있는 정기적이며 지속적인 연구 자료를 축적할 목적으로 부산 시중에서 구입한 9종류의 복어류 96개체를 시료로 하여 그 종류별, 조직 부위별 독성을 재검토하였다. 검밀복 4개체 및 별복 1개체의 껍질은 독성치가 10MU/g 이상으로 검출되었으나, 검밀복과 별복의 나머지 개체 및 자주복, 검자주복, 검복, 횐 밀복의 경우는 식용으로 하는 껍질 및 근육이 무독하였다. 까치복의 경우는 27개체 중 9개체의 껍질(최고독력, 40MU/g)과 1개체의 근육(10MU/g)에서 약독의 독성치가 검출되었으나, 그 이외의 개체 및 근육은 무독하였다. 간장, 내장 및 난소 등에서는 최고 독력이 각각 550MU/g. 382MU/g 및 528MU/g으로 독성이 강하여 조리 취급시 주의가 요망된다. 국매리복의 경우는 근육에서 약독 내지 강독(최고독력, 219MU/g), 껍질에서 약독 내지 맹독(최고독력, 1,115MU/g)의 독성치가 검출되었다. 특히, 간장, 내장 및 난소에서는 최고독력이 각각, 3,820MU/g. 1,191MU/g 및 5,620MU/g의 맹독의 독성치가 검출되어 식용 어종으로 분류하는 것은 문제점이 있어 충분한 재검토가 요망된다.

  • PDF

백색광에 대한 까치복의 반응 (Response od Striped Puffer to the White Light)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4호
    • /
    • pp.144-149
    • /
    • 1988
  • 광에 대한 어류의 행동을 조사하기 위하여 까치복 Fugu xanthopterus에 광의 세기가 서로 다른 8가지 백색인공광원으로 광자극을 주어, 그에 대한 반응을 주간과 야간으로 구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자극에 대한 수조내의 구간별분포는 광원쪽구간에 많이 모여 분포곡선은 대체로 L자형이 되었으나, 광의 세기에 따라 그 형태가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2. 수중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광원쪽에서 더 많이 모이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간보다 야간에 다소 많이 모였다. 3. 집어율이 최대가 되는 수중조도(적정조도)는 298.56 lux(188.44~444.96 lux)로써 주야간에 같았으며, 최대집어율은 주간에 47.30%, 야간에 50.43%로써 야간에 더 높았다. 4. 조명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집어율은 증가하거나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계속 불안정하게 변동했으며 주야간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 PDF

색광에 대한 까치복의 반응 (Response of Striped Puffer , Fugu xanthopterus to the Colored Lights)

  • 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0권2호
    • /
    • pp.78-85
    • /
    • 1994
  • The author carried out an experiment to find out the response of Striped puffer. Fugu xanthoperus (Temminck et Schlegel) to the color lights. The experimental tank (300L$\times$50W$\times$50Hcm) was set up in a dark room. Six longitudinal sections with 60cm intervals are marked in the tank to observe the location of the fish. Water depth in the tank was kept 50cm level. Light bulbs of 20W at the both ends of the tank projected the light horizontally into the tank. Two different colored filters were selected from four colors of red, blue, yellow, and white, and the were placed in front of the light bulbs to make different colors of light. Light intensity was controlled by use of auxiliary filiters intercepted between the bulb and the filter. The fishes were acclimatized in the dark for 60 minutes before they were employed in the experiment. Upon turning on the light,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in 30 second intervals, and the mean of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counted 40 times in 30 second intervals, and the mean of the number of fish in each section was given as the gathering rate of the fish. The colors favourited by the fish was found in order of blue, yellow, white and red in the daytime, and blue, white, yellow and red at night. The difference of the average distribution on two different colors of light was 13.12%(4.10-26.55%), and the difference in the daytime(14.79%) was larger than at night (11.45%). Constantly the gathering rate of fish on illumination period was fluctuated with instability. As the gathering rate of fish on illumination period was fluctuated with instability. As the gathering rate on one color of light increased, the gathering rate on the other color of light decreased. The difference of the gathering rate on two different colors of light was comparatively distinct and the difference in the daytime was larger than at night.

  • PDF

가열조리가 복어 추출물 함질소화합물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the Composition of Nitrogenous Compounds in Globefish Meat Extracts by the Cooking Method)

  • 양영;한영실;변재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5-96
    • /
    • 1990
  • Globefish, Fugu xanthopterus, known to have a severe toxin, is one of the favorite food in Korea and Japan when the toxic part is removed. In this paper, the effect of cooking on the composition of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extractives from globefish cooked investigated and the changes of the taste compounds originated from the nitrogenous components in the extractives were discussed. When the sample fish was analysed for general composition, drip amount and pH by the different methods of thawing, the method effective method was the running water thawing. Total nitrogen content in raw globefish and the frozen globefish was not different, and the nitrogen content was increased with the heat treatment. It seemed that the nitrogen content was higher in the extract from the boiled globefish than that of the steamed globefish. Taurine, lysine, glycine and alanine were occupied about 70%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extracts from the frozen sample than those from the raw sample. The amount of free amino acids was increased when the globefish soup cooked under the direct-heat cooking than in the microwave oven-heat cooking. Among nucleotides in the extracts from the thawed and cooked fishes, IMP and inosine contents were increased, and the both components were decreased with the heating time and by the heating method. Tne content of total creatinine-nitrogen were 50% of the total nitrogen content of the extracts, but the concentration of glycinebetaine, TMA and TMAO were only a few amoun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otal creatinine components, including free amino acids such as taurine, lysine, glycine and alanine, and IMP might be the important components contributing to the taste of the cooked globefis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