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gu obscuru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산 참복속 어류 1 미기록종 Fugu flavidus (First Record of Fugu flavidus, from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19-23
    • /
    • 1989
  • 1985년 2월부터 1989년 6월까지 전북 군산과 전남 목포 연안에서 수집된 참복과 어류 가운데 체장 101.5-258.2 mm의 8 개체는 우리나라에서 알려지지 않은 Fugu flavidus Li, Wang et Wang으로 동정되었다. 본 종의 어린 개체는 황갈색 바탕에 흰반점이 산재하나 성체에 가까울수록 흰반점은 희미해지며, 완전한 성체가 되면 몸 전체가 황갈색을 띤다. 모든 개체는 입에서 꼬리지느러미 기부에 까지 황색띠가 뚜렷한 점 등 유연종인 복섬 Fugu niphobles과 잘 구분되고, 또 어릴 때와 성체에서 반문의 차이가 뚜렷하여 황복 Fugu obscurus과도 잘 구분되어 채집된 표본의 계수 계측치와 형태적 특징을 기재하고, 국명으로는 "황점복"으로 명명한다.

  • PDF

인도네시아산 흰 밀복 및 중국산 황복의 조직별 독성 (Anatomical Toxicity of Pufferfishes, Chinese Fugu obscurus and Indonesian Lagocepalus wheeleri)

  • 김동수;이화정;이명자;이문조;김현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1-365
    • /
    • 1996
  • 인도네시아산 흰밀복 10마리와 중국산 황복 9마리의 근육, 껍질, 간장, 내장 및 난소 등의 조직별 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간장 독소성분을 Bio-gel P-2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분리하여 TLC, 전기영동, HPLC로 분석하였다. 흰 밀복의 간장은 무독하였고 내장은 무독 내지 약독으로 나타났고, 평균 독력은 각각 5.5$\pm$0.9와 11.8$\pm$4.2 MU/g이었다. 그리고 근육과 껍질부위의 평균독력은 각각 3.0$\pm$0.8과 2.2$\pm$0.1 MU/g이었다. 황복의 부위별 독성은 담즙, 난소, 정소 및 간장이 각각 9~200, 40~133, 13~186 및 6~210 MU/g으로 나타났다. 껍질 및 근육부위는 3~34 MU/g와 2~44 MU/g으로 비식용부위 보다는 낮았다. 각 부위의 유독개체 출현율은 난소(100%), 내장(100%), 담즙(89%), 간장(78%), 껍질(67%), 정소(33%) 및 근육(11%)의 순서로 나타났다. 흰 밀복과 황복의 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독소는 TLC로 분석한 결과 TTX 및 anhydro-TTX로 동정되는 2개의 TTX spot을 검출하였고, 전기영동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다. 또한, HPLC의 분석결과와 TTX와 anhydro-TTX와 같은 위치의 피크를 나타냈다. 황복은 표준물질 TTX, 4-epi-TTX 및 anh-TTX의 세 피크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