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uel Quality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32초

ISO/TC197/WG12의 수소품질 국제표준화 동향 (International Standards trend on Hydrogen fuel quality)

  • 조성국;조창애;이택홍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9-743
    • /
    • 2009
  • Japan is leading standards for the hydrogen fuel quality on the PEMFC(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vehicle at ISO/TC197/WG12. However, it has many problems to solve the standard of measurement and the test method. because the standard of measurement which was proposed in Japan is too high to reach the technique for many countries. it might not control standards for the hydrogen fuel quality on the PEMFC vehicle in Korea. So we need to develop the study of standards and the technique of measurement continuously for the International Standards Meeting.

  • PDF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 및 성능 평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Quality for Power Bio-Fuel Oil)

  • 하종한;장은정;권용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8-598
    • /
    • 2015
  • 최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 의무화 제도(RFS)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PS)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으며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의 일환으로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과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중유의 성능평가기준(안) 마련을 위해 중유와 바이오중유의 연료품질 특성 및 산업용 보일러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먼지, 배출가스의 양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 중유를 사용할 경우 먼지와 황산화물 등 유해배출가스가 현저히 저감 되는 것이 밝혀졌다.

엔진오일 내 연료성분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Fuel in Engine Oil)

  • 임영관;김지연;나용규;김종렬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714-719
    • /
    • 2017
  • 연료가 혼합된 엔진오일은 차량의 문제(엔진마모, 화재, 급발진 등)를 초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료가 혼합된 엔진오일의 다양한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료혼합 엔진오일은 인화점, 유동점, 밀도, 동점도, 저온 겉보기점도가 낮아졌다. 사구법 내마모성능시험에서는 연료가 혼합된 엔진오일이 열악한 윤활성으로 마모흔(wear scar)이 증가하였다. 또한 우리 연구팀은 ASTM D2887 방법을 적용한 고온모사증류시험(SIMDIST, simulated distillation)을 통해 엔진오일 내 연료성분을 분석하였다. SIMDIST 분석결과 연료는 엔진오일보다 짧은 머무름시간을 보였으며, 엔진오일 내 연료성분의 정량분석이 가능하였다. 이 SIMDIST 분석방법을 통해 기존 많은 분석장비, 시료양, 분석시간이 필요한 물성분석법을 대신하여 엔진오일 내 연료 오염여부 및 정도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Estimated CO2 Emissions and Analysis of Solid Recovered Fuel (SRF) as an Alternative Fuel

  • Kim, Sang-Kyun;Jang, Kee-Won;Hong, Ji-Hyung;Jung, Yong-Won;Kim, Hyung-Ch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7권1호
    • /
    • pp.48-5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_2$ emission factor for refuse plastic fuel (RPF) combustion facilities, and calculate the $CO_2$ emissions from these facilities. The $CO_2$ reduction from using these facilities was analyzed by comparing $CO_2$ emission to facilities using fossil fuels. The average $CO_2$ emission factor from RPF combustion facilities was 59.7 Mg $CO_2$/TJ. In addition, fossil fuel and RPF use were compared using net calorific value (NCV). Domestic RPF consumption in 2011 was 240,000 Mg/yr, which was compared to fossil fuels using NCV. B-C oil use, which has the same NCV, was equal to RPF use. In contrast, bituminous and anthracite were estimated at 369,231 Mg/yr and 355,556 Mg/yr,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duction in $CO_2$ emissions due to the alternative fuel was analyzed. $CO_2$ emissions were reduced by more than 350 Mg $CO_2$/yr compared to bituminous and anthracite. We confirmed that using RPF, an alternative fuel, can reduce $CO_2$ emissions.

토양오염 원인자 판단을 위한 항공유 분석 (Analysis of Jet Fuel for the Judgment of Soil Polluter)

  • 임영관;정충섭;한관욱;장영주
    • 공업화학
    • /
    • 제25권1호
    • /
    • pp.27-33
    • /
    • 2014
  • 석유누출 사고로 인해 토양과 지하수 오염이 점차 증가되면서, 토양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늘고 있다. 토양오염은 다른 환경오염에 비해 많은 정화비용과 긴 정화기간이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토양오염이 발생되면, 어떤 오염물질에 의해 토양이 오염되었으며, 토양정화의 책임이 있는 오염자가 누구인지 법적 분쟁이 많이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오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항공유에 대한 물성 분석과 함께 항공유 내의 특정 첨가제를 분석함으로써 등유와 항공유의 구분법을 찾아내었다. 특히 발색제에 의해 등유 내 화학적 식별제만 발색되었으며, GC-MS 분석결과 항공유에서만 산화방지제와 금속불활성제가 분석되었다. 이는 추후 항공유에 의한 토양오염 야기 시, 어떤 석유제품에 의한 오염인지 쉽게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포플러 목재칩을 이용한 농산촌 마을 집단난방시 연료품질, 비용,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Heating in Rural Villages Using Poplar Wood Chips on Fuel Quality, Cost, and Atmospheric Environment)

  • 안병일;고경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4권2호
    • /
    • pp.57-69
    • /
    • 2022
  • This study analyzes the fuel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effects of converting heating in rural villages that rely on fossil fuels into wood fuel. In particular, we tried to derive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when using wooden chips as fuel in aging agricultural villages where various variables such as weather, facility characteristics, fuel quality, and maintenance capabilities work. Above all, an experiment was conducted by comparing it with oak trees to determine whether Italian poplar, a representative attribute water created to supply fuel wood in Korea, is suitable for heating fuel. Through experiments, 1) Even though the supply of poplar wood chips during 10 hours of operation was 60.74 kg less than that of hardwood chips, the production of hot water was 140 kWh higher. 2) The higher the exhaust gas temperature, the proportional (increase) oxygen concentration and inversely (decrease) PM and CO emissions. 3) Poplar has twice as much ash content as hardwood and three times more fine dust has been detected, but it meets all the standards for wood quality at the Korea Forest Science Institute. 4)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water content (7.7%), hardwood cost 1.13 times more wood chips per 1 MWh than poplar, and even if the water content is corrected equally, hardwood cost 1.05 times more per 1 MWh than poplar. 5) In conclusion, it was proved that the fuel possibility, economic possibility, and environmental possibility of poplar wood chips are sufficient.

소결 베드 연소 수치해석의 확장 - 가스 연료 주입 및 배가스 재순환 공정 적용 (Numerical Analysis of Sintering Bed Combustion; Applying Supplying Gaseous Fuel and Flue Gas Recirculation Processes)

  • 이영헌;양원;조병국;최상민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2년도 제45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9-13
    • /
    • 2012
  • In the iron ore sinter process, temperature distribution pattern in sintering bed is related wi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intered ore. Evenly heat distribution make the uniform quality of sintered ore but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 upper part of bed has lack of heat and scarce quality of sintered ore, thus yeild rate is decreased and productivity is diminished. Therefore, using the additional fuel for increasing quality and flue gas recirculation for increasing productivity are considered and effect of both processes are discussed.

  • PDF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ulfur-Free Odorant for LPG Fuel)

  • 김재곤;임의순;정충섭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52-59
    • /
    • 2014
  • 일반적으로 황분계 부취제는 연료가스로 인한 가스중독, 발화, 폭발 등의 사고를 방지하고, 배출가스에 의해 연료 가스 누출의 즉각적으로 손쉽게 검출할 수 있도록 LPG, 그리고 도시가스와 같은 연료가스에 첨가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황을 함유한 가스용 부취제를 대체하여 연료의 저황분화와 금속 부식성을 낮출 수 있는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 개발을 위하여 실험하였다. 비황분계 부취제는 황을 함유하지 않는 12개의 부취물질을 선정하였으며, 직접 관능법에 의한 취질과 취기 평가를 실험하였다. 최종 선정된 혼합 부취물질은 methyl isovalerate, methyl acrylate, 2-ethyl-3-methyl pyrazine이며, 이때 조성비는 50% : 40% : 10% 이다. 최종 비황분계 부취제(K-Petro S-Free)는 LPG 연료에 40 wt ppm 혼합하여 품질평가, 금속 부식성 평가 그리고 장기 안정성 평가를 실험하였다. 이 때 LPG 연료용 비황분계 부취제는 국내 LPG 연료의 품질기준을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금속에 대한 부식성에는 영향이 없으며, 60일간의 장기 안정성 평가에서 LPG연료의 조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최종 선정된 비황분계 부취제(K-Petro S-Free)는 LPG 연료의 첨가제로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가정용 연료전지 시스템의 계통연계 시 수용가 및 배전계통에서의 고조파 영향 평가 (An Assessment on Harmonics Effect in Customer and the Distributed Power System during Grid Connection of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 박찬엄;정진수;한운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6호
    • /
    • pp.1280-1285
    • /
    • 2011
  • Recently, due to the use of fossil fuels for electric power production, carbon emissions increased excessively. Thereby, in order to replace fossil fuels, many studies about fossil fuels such as solar and fuel cell energy source are progressing. Fuel cell system has high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Also, fuel cell system is environmentally friendly system because the carbon emission is almost not occur. Therefore, the fuel cell system is considered as the core technology of in the fields of the future energy and environmental. Fuel cell system has an effect on distribution power system because another power source of other than large power plants. So, fuel cell system can be degradation reason of power quality in the power system. In this paper, we constructed the system for an assessment on harmonics effect. The system is composed with power source, harmonics generation and linear load, fuel cell system. we also performed assessment on harmonics effect in customer and the distributed power system during grid connection of residential fuel cell system. An assessment cases are divided into three. A Case 1 is state that residential load and fuel system are connected to grid, Case 2 is state that residential load and harmonics load are connected to grid, and Case 3 is state that all loads are connected to grid. As a output of fuel cell system is increase, analysis results based on assessment system showed that power quality became more aggravation as effect of harmonics.

한국형 기동헬기 연료량 지시계 이상시현 현상 설계개선 (Design Improvement for Abnormal Display of Fuel Indicator Mounted on the Korean Utility Helicopter)

  • 김정훈;김창영;장중진;장인기;전병규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707-712
    • /
    • 2014
  • 항공기의 연료량 지시계는 비행동안 잔여 연료량을 시현해주는 장치로 비행 중에는 정상적으로 성능을 발휘해야 한다. 한국형 기동헬기 연료량 지시계는 비행 중에 결함코드 "8888"을 시현하여 잔여 연료량을 확인하지 못해 비행안전에 영향을 끼쳤으며 고장탐구과정에서 개발과정 시 미흡하게 설계된 EMI/EMC 성능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비행 중 결함코드를 시현하는 원인인 전자기 외란에 의한 전원 불안정 및 CAN 통신 오류를 확인하고 이와 연관된 연료시스템의 개선 및 설계 적합성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