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ying

검색결과 416건 처리시간 0.021초

인천지역 시판 튀김음식의 산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ncidity of Commercial Deep Frying Foods in Incheon)

  • 우경자;홍성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47-154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ancidity of deep frying foods (cuttlefish and swetpotato) in Incheon city. The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snack corners in market, and at 10, 14 and 18 o'clock. The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of the fried products were determin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also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nge of Acid Value was 0.73~1.91 on cuttlefish and 0.33~1.03 on sweetpotat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mples by times and places. 2. The range of Peroxide Value was 3.26~8.23 on cuttlefish and 3.45~11.63 on sweetptat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amples by times and places. 3. the range of TBA Value was 50.03~132.27 on cuttlefish and 30.63~112.83 on sweetpotato. The TBA Value of the products in department store at 18 o'clock more less than mat at 10 o'clock. 4. The Acid Value and TBA Value of sweetpotato was more less than those of cuttlefish. 5. In sensory evaluation, m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imes but significant difference by places on all items. 1) In greasy taste, the first one among cuttlefish products was mat of department store and last one was market product which was much more greasy taste. Among sweetpotato products, the products of department store and near-college were more less greasy man market product. 2) In flavor and overall quality, the product of department store was better than near-college and market products on all samples, 3) In color, the products of department store and near-college were more light man market products on all samples. 4)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color and flavor, and overall quality flavor. The flavor and color of products have the effect on the overall quality of products.

  • PDF

닭고기 냉동저장과 조리법이 지질의 산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ozen Storage and Cooking Methods on Lipid Oxidation in Chicken White and Legs Meat)

  • 최재희;이숙미;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9-56
    • /
    • 1993
  • The effect of frozen storage and cooking methods on lipid oxidation in chicken meat was studied. Chicken meats were stored 0, 30, 60, 90, 120 days at $-18^{\circ}C$ and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cooking. 1. The crude fat content of chicken meat is the highest thigh meat with skin in microwaving. Fat content was increased duting 30 days of frozen storage, and then after. 2. Peroxide value, acid value and TBA value was increased during the days of storage because lipid autoxidation was processed cooking and during frozen storage time. The peoxide value and acid value were higher compared to sample cooked by other methods. 3. The fluoresence units were increased with frozen storage, and initial levels of fluoresent after processing. 4.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meat fats is mainly palmitic acid and oleic acid, and the effect of frozen storage and meats part is not significantly change but fatty acid significantly change according to frying that linoleic acid was increased during frozen time. From al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 that lipid autoxidation of the chicken meat frozen storage at $18^{\circ}C$ was consistantly processed, and breast meat oxidation was increased than thigh meat because chicken breast meat include many polyunsaturated fatty acid. Fry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highest than other cooking methods.

연근, 김, 깻잎 부각의 산화방지 활성, 폴리페놀 화합물과 토코페롤 함량 (In Vitro Antioxidative Activity and Polyphenol and Tocopherol Contents of Bugak with Lotus Root, Dried Laver, or Perilla Leaf)

  • 정이진;송영옥;정라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67-773
    • /
    • 2014
  • 찹쌀풀과 생참기름을 이용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산화방지활성과 산화방지 성분을 평가하였다. 깻잎 부각이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을 보였으며 연근 부각의 활성이 가장 낮았는데 부각 원료인 데친 연근, 김, 깻잎의 활성과 동일한 순서이었다.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연근, 김 부각보다는 깻잎 부각에서 더 높았고, 부각의 토코페롤은 대부분 튀김유인 참기름에서 유래하였다. 부각의 산화 방지 활성은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토코페롤 함량과의 상관관계는 매우 낮아 폴리페놀 화합물이 부각의 산화 방지 활성에 더욱 긴밀하게 기여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고등학생의 김치이용 태도 및 급식 메뉴 개발 연구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 about Kimchi and Development of Kimchi as a Menu Item for Meal Service)

  • 문정민;김희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8-606
    • /
    • 2010
  • Kimchi is the most well-known Korean traditional food, but it is also the main leftover of school lunch and dinner menus. This study aimed to familiarize teenagers with kimchi through school meals and to increase their daily kimchi intake, ultimately by appealing to the young generation's tast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Ansan area to examine student's acceptability of kimchi and their attitudes toward kimchi. Approximately 65% of males and 67% of female students liked the moderately fermented and pungent taste of kimchi. Kimchi served in school meals was regarded as nutritional but cheap. Approximately 72% of male and 82% of femal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liked menu items using kimchi. Approximately 48% of students responded that menu items using kimchi in schools are not diverse. Students preferred meat as an ingredient in kimchi. The preferred cooking methods were stir-frying and frying, whereas boiling was the least favorite.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en kimchi menu items had been developed. The suitability of the menu was evaluated by students and cooks. Six kimchi items, including Kimchi mixed with rice, chicken, soybean sprouts, Kimchi cheese rice, stewed beef ribs with kimchi, rice topped with kimchi curry, kimchi cheese meat roast, and kimchi udong we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school meals, whereas kimchi kangchong, kimchi topokki, kimchi stew with surimi, and frozen Pollack kimchi soup were not suitable as menu items. Kimchi topokki was not accepted by students, while kimchi kangchong was not accepted by cooks. Cooks judged the suitability of a menu item by the cooking process and cooking times, whereas students judged an item by its sensory preference. Approximately 63% of students responded that kimchi intake has increased by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kimchi dishes.

Statistical Optimization of Biosurfactant Production from Aspergillus niger SA1 Fermentation Process and Mathematical Modeling

  • Mansour A. Al-hazmi;Tarek A. A. Moussa;Nuha M. Alhazm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9호
    • /
    • pp.1238-1249
    • /
    • 2023
  • In this study,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optimization of biosurfactants by soil fungi isolated from petroleum oil-contaminated soil in Saudi Arabia. Forty-four fungal isolates were isolated from ten petroleum oil-contaminated soil samples. All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and biosurfactant screening showed that thirty-nine of the isolates were positive. Aspergillus niger SA1 was the highest biosurfactant producer, demonstrating surface tension, drop collapsing, oil displacement, and an emulsification index (E24) of 35.8 mN/m, 0.55 cm, 6.7 cm, and 70%, respectively. This isolate was therefore selected for biosurfactant optimization using the Fit Group model. The biosurfactant yield was increased 1.22 times higher than in the nonoptimized medium (8.02 g/l) under conditions of pH 6, temperature 35℃, waste frying oil (5.5 g), agitation rate of 200 rpm, and an incubation period of 7 days. Model significance and fitness analysis had an RMSE score of 0.852 and a p-value of 0.0016. The biosurfactant activities were surface tension (35.8 mN/m), drop collapsing (0.7 cm), oil displacement (4.5 cm), and E24 (65.0%). The time course of biosurfactant production was a growth-associated phase. The main outputs of the mathematical model for biomass yield were Yx/s (1.18), and µmax (0.0306) for biosurfactant yield was Yp/s (1.87) and Yp/x (2.51); for waste frying oil consumption the So was 55 g/l, and Ke was 2.56. To verify the model's accuracy, percentage errors between biomass and biosurfactant yields were determined by experimental work and calculated using model equations. The average error of biomass yield was 2.68%, and the average error percentage of biosurfactant yield was 3.39%.

강원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의 조리활동에 필요한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king and Food Preparation Skills of 5th and 6th Graders in Gangwon Province)

  • 정경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4-220
    • /
    • 2011
  • 본 연구는 강원지역 어린이 건강요리 경연대회에 참가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의 '건강요리계획서' 총 310개를 토대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의 기초 조리능력은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된 썰기 방법, 조리방법, 조리기구 및 가열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사되었다. 썰기 방법은 팔모썰기(79.4%), 채썰기(11.3%), 다지기(6.5%) 등의 순서로 나타나 '팔모썰기'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다른 썰기 방법이 요리에 사용된 빈도는 매우 적었다. 조리방법은 볶기(76.8%), 삶기/데치기(24.2%), 굽기(22.6%), 지지기(21.0%), 튀기기(18.7%), 찌기(12.3), 끓이기(5.8%) 등의 순서로 조사되었고, '끓이기'는 2008년 4.5%, 2010년 10.0%로 유의하게 증가한 (p=0.044) 반면, '튀기기'는 2008년 21.8%, 2010년 10.9%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27). 조리기구는 칼과 도마(100.0%), 접시(92.9%), 후라이팬(91.3%), 젓가락(40.3%), 숟가락(38.7%), 냄비(33.2%), 볼(33.2%), 주걱(30.0%), 뒤집개(30.0%) 등의 순서로 많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열기구는 가스레인지(97.4%), 오븐(12.3%), 전자레인지(11.0%)의 순서로 많이 사용되었다. 초등학생들의 식품준비 능력은 건강한 음식을 만들기 위해 선택한 식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된 식품의 종류는 모든 요리에 사용된 쌀을 제외하면 당근(67.1%), 양파(61.9%), 계란(41.6%), 파프리카(27.7%), 김치(25.2%), 피자치즈(22.9%), 햄(21.9%), 피망(20.6%) 등의 순서였다. 건강요리에 사용된 자연식품의 개수는 전체 평균 $6.60{\pm}1.79$개, 가공식품의 개수는 $1.34{\pm}1.10$개였으며, 전체 식품 중에서 각각이 차지하는 비율은 $83.24{\pm}13.18%$$16.76{\pm}13.18%$로 대략 80:20의 구성비를 보였다. 전체 식품 중에서 각 식품군이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고기 생선 계란 콩류는 2008년 $24.44{\pm}13.27%$, 2009년 $24.61{\pm}13.10%$, 2010년 $20.84{\pm}10.59%$로 2008년과 2009년에 비해 2010년에 유의하게 감소한(p<0.05) 반면, 채소류는 2008년 $44.38{\pm}15.65%$,2009년 $45.73{\pm}16.49%$, 2010년 $50.64{\pm}14.0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들의 기초 조리능력 및 식품준비 능력을 분석하였을 때 썰기 방법의 경우 다양한 썰기 방법을 구사할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조리과정에서는 제한된 썰기 방법만을 사용하였으며, 적합한 조리기구를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다소 미흡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반면 영양의 균형을 고려하여 식품을 선택하는 식품준비 능력에 있어서는 학교교육과정 또는 다른 매체를 통해 습득하여 알고 있는 지식을 조리활동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국내산 고구마의 품종 및 조리방법별 비타민 C 함량 (Vitamin C Quantification of Korean Sweet Potatoes by Cultivar and Cooking Method)

  • 황인국;변재윤;김경미;정미남;유선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55-9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비타민 C 분석법을 검증하고 국내산 고구마 22품종과 조리방법에 따른 고구마의 비타민 C 함량을 분석하였다. 비타민 C 분석법을 검증하기 위해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정밀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직선성의 상관계수 값이 0.9999이었으며, 검출한계는 $0.03{\mu}g/mL$, 정량한계는 $0.10{\mu}g/mL$, 정밀성의 상대표준편차는 5%이하, 정확성인 회수율은 95%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고구마 품종별 AA, DHA 및 TA 함량은 각각 37.76(신율미)~89.25(주황미), 23.37(신자미)~63.94(신율미) 및 68.52(신자미)~115.95(주황미) mg/100 g 범위로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고구마의 평균 AA, DHA 및 TA 함량은 각각 $56.98{\pm}12.53$, $36.46{\pm}9.03$$93.44{\pm}12.00mg/100g$이었으며, 대부분 품종의 AA 함량은 40~70 mg/100 g 범위에, DHA 함량은 20~40 mg/100 g 범위에, TA 함량은 70~90 mg/100 g 범위에 존재하였다. 그리고 육질색 종류에 따른 평균TA 함량은 일반고구마와 주황색고구마가 자색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teaming, baking 및 frying 처리에 따른 AA, DHA 및 TA 함량은 조리 처리 후 10.61~58.41, 2.57~52.81 및 14.54~49.92% 범위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baking 처리가 steaming 및 frying 처리에 비해 함량 감소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고구마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 및 조리방법에 따라 변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ook-chill 파전의 관능성 및 안전성 평가 (Assessment of Sensory and Safety Evaluation of Cook/Chill Pajeon)

  • 류은순;정동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74-680
    • /
    • 2005
  • 국내 단체급식소에 파전의 활용을 높이기 위해 cook-chill 처리한 파전을 개발시켜 이를 1일, 3일, 5일간 $4^{\circ}C$에서 냉장저장시켰다. 이 제품은 후라이 팬, steam/convection oven,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재가열한 후 관능평가를 수행하여 단체급식소에서 적용할 수 있는 재가열 방법을 평가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가열 방법에 따른 관능평가 결과에서, 1일 냉장저장 후에는 전자렌지에서 재가열한 파전이 맛, 냄새, 색에서 가장 관능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3일 냉장저장 후에는 steam convection oven과 전자렌지에서 재가열한 파전이 맛, 질감에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나타냈다. 5일 냉장저장 후에는 steam convection oven과 전자렌지에서 재가열한 파전이 냄새와 질감에서 즉석에서 조리한 파전보다 유의적 (p<0.05)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후라이팬에서 재가열한 파전은 냄새에서만 즉석에서 조리한 파전보다 유의적 (p<0.01)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여 cook-chill파전은 후라이팬에서 재가열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재가열 방법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차이에 대한 결과를 살펴보면, 후라이팬에서 재가열한 cook-chill 파전은 즉석에서 조리한 파전보다 맛, 색, 질감에서 저장 3일까지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 5일에서는 맛에서 유의적(p<0.01)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Steam convection oven에서 재가열한 cook-chill파전은 즉석에서 조리한 파전보다 맛, 냄새에서 저장 1일부터 유의적 (p<0.01)으로 낮은 평가 점수가 나타났으나 색, 질감에서는 저장 5일에서 유의적 (p<0.01)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다. 전자렌지에서 재가열한 cook-chill 파전은 즉석에서 조리한 파전보다 저장 1일부터 맛과 냄새에서 유의적(p<0.01)으로 낮은 관능평가 점수를 보였으나 색과 질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을 살펴 볼 때 , cook-chill 파전은 실험한 세가지 재가열 방법에서 냄새에 대한 관능평가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파전 특유의 냄새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또한 단체급식소에서 많이 이용하는 가열방법인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재가열한 파전의 관능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나 현재 우리나라 급식소에서는 주로 전 종류 가열시 후라이팬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cook-chill 파전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경우 급식소에서 쉽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 단체급식소에서 steam convection oven을 활용하여 대량으로 재가열하는 방법을 예측할 때 맛과 냄새 등을 개선시키는 조리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Cook-chill파전의 안전성 평가에서, 파전을 조리한 직후와 5일간 냉장저장 후 총균수, 저온성균수, 대장균군수를 측정하는 미생물학적인 방법과 산가와 과산화물가를 측정하는 화학적 방법에 의해 파전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냉장 저장하는 5일 동안 실험 결과 총균수는 검출되지 않은것에서부터 시작하여 후라이팬을 이용하여 만든 파전에서 3일간 배양한 후 측정된 것에서 최고 $5.2\times10^2$ CFU/g까지 나타났다. 대장균군과 저온성균은 실시된 모든 실험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산가인 경우 후라이팬에서 조리한 것 이 steam/convection oven에서 조리한 것보다 높게 나왔지만 1.90에서 4.03의 범위로 안전성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산화물가에서는 냉장 저장 중 2.63배까지 증가하였으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cook-chill system을 이용한 저장기간 동안 파전의 안전성은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바이오디젤/디젤 혼합 연료유의 연소 특성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Biodiesel/Diesel Fuel Blends)

  • 송영호;하동명;정국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5-40
    • /
    • 2008
  •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the drastic increase of vehicles becomes one of the social major concerns, the method of reducing the harmful exhaust emission is being the subject of interest. Utilization of used frying oil as a raw material for biodiesel production is helpful not only for the stable supply of raw materials but also costing down the biodiesel price.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measurement the combustion and thermal characteristics with mixing ratio of biodiesel/diesel fuel. In this study, flash points and fire points were measured by using Tag Closed cup apparatus and Cleveland open cup apparatus. As the result, flash points, fire points and AIT increased with percentage of more contained biodiesel.

  • PDF

"주방문(酒方文)"의 조리(調理)에 관(關)한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nalytical Study on the Cooking in Zu Bang Moon)

  • 김귀영;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35-349
    • /
    • 1986
  • 'Zu Bang Moon', a book of cooking, was written in Korean in the 17th century by Mr. Hwa. Various cooking methods of traditional foods were described in this book. The kinds of cookingfoods were Wine 28, Guksu (noodle) 3, Side dish 23, Seasoning 10, and Dessert 10. The materials used in the cooking foods were cereals, vegetables, fishes, meats, etc. 9 kind of Seasonings used in cooking foods such as salt, and herbs such as black pepper. The cooking methods were different and complicated. The way of heating were also different such as to stew, to boil, to steam, to pan-boil, to frying, etc. Utensils and table wares used for processing and cooking were poor and specific. The measuring units were not accurate and unscientific. Many of special words and expressions which are not used today in cooking and processing were, review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