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ying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33초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 이희해;고봉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4
    • /
    • 2002
  • 가공저장하지 않은 단감을 씨와 꼭지만 제거하고 껍질 체로 동결 건조하여 60 mesh 이하로 분쇄하여 감가루를 제조하고, 이를 첨가하여 매작과를 조리하였다. 중심합성 계획법에 따라서 감가루의 첨가량과 튀김 온도 및 시간의 세 가지 변수가 조절되어 매작과가 조리되었으며 각 매작과의 품질 특성은 관능 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첨가한 25% 이내의 감가루 함량일 때, 매작과의 색은 첨가된 감가루 함량보다는 튀김 시간과 온도에 따라서 더 영향을 받았다. 매작과의 품질에 대한 전체적인 선호도와 질감의 관계는 점착성이 적고 바삭함이 클수록 선호도가 높았다. 점착성은 감가루의 함량에 대한 영향이 다른 관능 특성에 비하여 크지만, 감가루의 함량이 많더라도 튀김 시간 및 튀김온도가 높을 때는 점착성이 적었으므로 튀김 시간과 온도를 이용하여 조정 할 수 있다. 바삭함은 선호도에 가장 높은 상관도를 나타내므로 바삭할 수록 품질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튀김 온도가 가장 중요한 반응 변수이며 튀김 시간과 감가루의 함량은 비슷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단단한 정도 또한 튀김 온도의 영향이 크며 감가루의 함량과 튀김 시간에 따른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감가루 첨가에 따른 단맛의 상승 효과는 함량이 높을때는 그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지만, 첨가량이 적어질수록 감의 첨가량보다는 튀김온도에 따른 영향이 크게 나타나 튀김에 의한 고소한 맛이 단맛의 상승작용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매작과의 뒷맛 또한 감가루의 첨가량에 따라서 가장 큰 영향을 받지만 높은 온도에서 튀김시간이 길어지면 튀김으로 인한 뒷맛이 강하였다. 감가루를 첨가한 매작과의 선호도는 높은 온도에서 튀길 때는 짧은 시간에 제조하며 낮은 온도에서 튀길 경우는 튀기는 시간이 길수록 선호도가 증가되는 경향으로 튀김 조건에 대한 영향이 크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의 중심점인 감가루 함량 15% 일때 145$^{\circ}C$에서 4분간 튀겼을 때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목적인 감가루의 소비를 위해 함량을 늘일 경우는 최대 20%까지 첨가하면 155$^{\circ}C$에서 3 분간 튀겼을 때 가장 선호도가 높은 감가루 함량이 적은 시료와 선호도의 차이가 같았다. 따라서 감가루 매작과의 관능적 품질 특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최적 조건은 감가루의 함량을 고정하였을때, 색과 바삭거림과 전체적인 선호도가 겹치는 지점인 튀김 온도가 131~14$0^{\circ}C$에서 5~6분간 튀겼을때 가장 적당하였다.

열처리 조리방법이 마늘의 항산화 활성과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Methods with Different Heat Intensitie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arlic)

  • 조혜리;서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2호
    • /
    • pp.1784-1791
    • /
    • 2016
  • 한국인이 마늘을 섭취할 때 주로 사용하는 조리방법으로 8종의 마늘을 준비하여 조리 조건이 마늘의 항산화 활성과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열처리 강도가 높은 조리법일수록 마늘의 수분 손실이 컸으며, 명도는 낮아지고 황색도는 높아지는 전형적 갈변 현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명도가 가장 낮았던 프라잉과 팬 프라잉으로 조리된 마늘에서는 수용성 고형분 함량 역시 유의적으로 낮아 조리온도가 높을수록 수용성 저분자 물질로부터 불용성 고분자 중합물질을 형성하는 비효소적 갈변반응이 더 가속화되었음을 시사해주었다. 한편 조리된 마늘은 생마늘보다 thiosulfinates 함량이 낮았으며, 이는 열처리에 의해 thiosulfinates가 polysulfides로 분해되었거나, 열전달 매체를 사용한 삶기, 프라잉, 팬 프라잉으로 조리된 마늘에서는 이들 물질이 열전달 매체로 용출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전자레인지로 조리된 마늘은 다른 마늘보다 유기산과 thiosulfinates, 플라보노이드 성분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보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에너지가 낮고 조리시간이 짧은 전자레인지 가열방식에 의해 마늘 속 열에 약한 성분들이 상대적으로 덜 분해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높은 온도에서 조리된 마늘들은 총 환원력과 금속 소거능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색도 결과에 의해 시사된 것과 같이 환원력을 지닌 갈변반응의 중간물질과 최종물질들이 고온 조리 시 더 활발히 생성된 결과로 해석되었다. 물과 기름을 열전달 매체로 하여 조리된 마늘에서는 총 환원력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생마늘과 조리된 마늘에서 측정된 총 환원력과 플라보노이드 정량 결과는 DPPH 라디칼 소거능 결과와는 다소 일치하지 않았다. 이는 환원성 물질들의 총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지닌 일부 열에 불안정한 플라보노이드와 페놀 화합물들이 조리 중 감소하였을 가능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조리 중 마늘 내부에서 분해 혹은 새로이 생성될 수 있는 개별 환원성 물질들의 조성과 항산화 활성 비교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조리방법에 따른 쇠고기 안심스테이크의 이화학적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eef Tenderloin Steak by Cooking Methods)

  • 김천제;채영철;이의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4-322
    • /
    • 2001
  • 본 실험은 조리방법(Grilling, Pan-frying, Oven-roasting, Microwaving)에 따른 쇠고기 안심 스테이크의 이·화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pH, 근원섬유 소편화지수, 색도, 가열감량, 물성(Rheology) 및 관능검사(Panel test)를 실시하였다. 조리방법에 따른 일반 성분은 microwaving 방법에서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낮은 수분함량과 높은 지방함량을 나타냈다. pH는 조리후 다소 상승하였으나 조리방법에 따른 pH 차이는 없었으며, 육색의 변화에 있어서 L*과 b* -값은 microwaving과 pan-frying방법에서 grilling이나 oven-roasting 방법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리방법에 따른 근원섬유 소편화도는 oven-roasting 방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조리방법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가열감량은 microwaving 방법에 의한 조리육에서 가장 많았다. 조리육이 물성에 있어서 경도와 부서짐성은 다른 조리방법에 비하여 microwave oven을 이용한 조리방법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응집성은 microwaving 방법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탄력성은 모든 조리방법들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에 있어서 grilling, pan-frying과 oven-roasting 방법은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microwaving은 전 항목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다.

  • PDF

감압 튀김 방법이 감자튀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ying Methods under Reduced Pressures on the Quality of French Fries)

  • 이보배;이진원;박장우;이현주;정윤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60-65
    • /
    • 2013
  • 압력별(760, 560, 360, 160 mmHg)에 따른 감자튀김의 품질변화를 호화도, 수분 지방 함량 변화, Texture 측정, 관능평가를 통해 알아보았다. 압력별(760, 560, 360, 160 mmHg)에 따라 감자튀김의 호화도는 각각 60.0, 60.0, 60.0 및 58.0%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수분 함량은 네 압력 조건에서 모두 감소하는 반면, 지방 함량은 약 2.5배 이상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직감에서는 경도(Hardness)가 5.5 N으로 160 mmHg가 가장 좋았으며, 상압인 760 mmHg가 3.3 N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점착성(adhesiveness)과 탄력성(springiness)에서는 네 압력 모두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지만, 부서짐성(fracturability)에서는 160 mmHg가 3.64값으로 다른 압력과 비교해 큰 차이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갈색도), 맛, 바삭한 정도의 조직감에서 160 mmHg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압력이 낮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감압 상태로 감자를 튀김 조리하였을 때, 튀김의 호화 정도나 수분 지방 함량에 있어서는 일반 상압 조건 하의 튀김과 유사하면서 관능적인 측면에서 기호도가 높기 때문에 제품으로 적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이를 위해서는 영양적인 성분 변화에 대한 연구도 더 진행되어야 하고, 경제적인 측면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조리방법에 따른 삼겹살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in Pork Bellies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s)

  • 양종범;고명수;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7-93
    • /
    • 2009
  •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삼겹살을 삶기, 찌기, 굽기 및 튀기기의 방법으로 가열조리한 후, 물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열조리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수분 양은 감소하고 지질 양은 증가하였는데, 이에 따른 가열감량, 탈수량 및 탈유량은 튀기기와 삶기 처리구에서 높았다. 시료의 pH는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고,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질의 산가와 굴절율은 튀기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경도, 점착성 및 저작성은 삶기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으나 튀기기 처리구에서는 크게 감소하였고, 탄력성은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응집성은 찌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CIE $L^*$값은 찌기 처리구에서는 크게 증가하였지만 튀기기 처리구에서는 크게 감소하였고, CIE $a^*$값은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삶기 처리구에서 가장 많이 감소하였으며, CIE $b^*$값은 삶기와 찌기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지만 굽기와 튀기기 처리구에서는 증가하였다. 생 삼겹살 지방을 구성하는 지방산에는 oleic acid(42.4%), palmitic acid(23.9%)와 linoleic acid(16.1%)가 많았으며, 포화지방산에 대한 단일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1.190 그리고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0.466 이었다. 가열조리 방법에 따른 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튀기기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삼겹살을 먹을 때 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조리방법은 삶기라고 판단된다.

감자 튀김의 가열 온도와 시간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및 기호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ying Time and Temperature on Formation of Acrylamide and Sensory Evaluation in French Fries)

  • 김진만;최지훈;최윤상;한두정;김학연;이미애;정혜경;김천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71-475
    • /
    • 2009
  • 본 연구는 후렌치 후라이의 가열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과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가열 온도와 가열 시간의 변화에 따라 아크릴아마이드 생성 함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후렌치 후라이는 160-$180^{\circ}C$ 온도에서 2-5분간 가열하는데 아크릴아마이드의 생성은 가열 온도 및 시간에 크게 영향을 받으므로 이를 조절함으로써 식품 내 아크릴아마이드 생성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아크릴아마이드 생성량을 줄이면서 관능적으로 우수한 후렌치 후라이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후렌치 후라이 제조를 위해 $165^{\circ}C$에서 2분 30초 동안 가열하는 것이 아크릴아마이드의 생성을 저감화하면서 크리스피 및 관능적 측면에서 우수한 후렌치 후라이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nhancement of Antioxidant Quality of Green Leafy Vegetables upon Different Cooking Method

  • Hossain, Afzal;Khatun, Mst. Afifa;Islam, Mahfuza;Huque, Roksan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3호
    • /
    • pp.216-222
    • /
    • 2017
  • Antioxidant rich green leafy vegetables including garden spinach leaf, water spinach leaf, Indian spinach leaf, and green leaved amaranth were sele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water boiling and oil frying on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reducing power (RP), and antioxidant capacity.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PC, TFC, and RP in all the selected vegetables indic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oking process on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leafy vegetables. Both cooking processes enhanced significantly (P<0.05) the radical scavenging ability, especially the oil fried samples showed the highest values. There is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vitamin C content in all the vegetables due to boiling and frying except in the Indian spinach leaf. However,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boiling and frying can be used to enhance the antioxidant ability, by increasing the bioaccessibility of health-promoting constituents from the four vegetables investigated in this study.

감자의 조리방법에 따른 물성 변화 (A Study of Rheology with Cooking Methods of Potato)

  • 이정숙;황영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85-97
    • /
    • 2003
  • This study is an attempt that Rheology changes are occurred by boiling, frying, and boiling potatoes with soy bean sauce. Three different methods are tested for chemical analysis, fine potato starch grain structural change, sensory evaluation. 1) Alkaline number and acidity number are changed (+)2.17 in raw, decreased (+)1.76 by boiling, increased (+)2.38 by frying, and (-)2.22 by boiling with soy bean sauce. 2) Potatoes are completely dissolved into the gelatinization when they are boiled at 10$0^{\circ}C$ for 15minutes(PB III), fried at 18$0^{\circ}C$ for 3 minutes(PF IV), and boiled with soy bean sauce l0$0^{\circ}C$ for 30 minutes(PS III). 3) The pectin content ratio is decreased according to frying (31.78$\mu\textrm{g}$/$m\ell$), boiling(44.20$\mu\textrm{g}$/$m\ell$), boiling soy bean sauce(36.37 $\mu\textrm{g}$/$m\ell$), Hemicellulose content ratio is decreased according to frying(1.19%), boiling(1.17%), boiling soy bean sauce(0.92%). And the contend of cellulose and lignin is still regardless of any cooking method. 4) The sensory evaluation conducted by 30 university students as panelists showed that there a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samples in appearance, flavour, texture. As a result, the optimum cooking condition for potatoes is that potatoes are boiled l0$0^{\circ}C$ for 15minutes, fried at 18$0^{\circ}C$ for 3minutes, and boiled with soy bean sauce at 1$0^{\circ}C$ for 30minutes.

  • PDF

매생이(Capsosiphon fulvescens)를 이용한 김부각의 제조 및 품질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Using Capsosiphon fulvescens)

  • 김아현;홍도희;류아라;조종락;김정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39-145
    • /
    • 2017
  • W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bugak prepared using a microwave oven or the oil-frying puffing method with different contents (0%, 15% and 30%) of Capsosiphon fulvescens in dried laver. Microwave-processed Kimbugak had lower crude fat content but higher levels of crude ash, crude protein, and minerals than that prepared by oil-frying; it also had higher hardness values. The redness of Kimbugak containing 30% C. fulvescens processed using either method was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sensory evaluations, participants preferred Kimbugak containing 30% C. fulvescens puffed by oil-fry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imbugak puffed using the oil-frying method has the best quality characteristics.

팬 프라잉(Pan-frying)이 찰흑미 첨가 화전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n-frying on Anthocyanin Content in Hwajeon with Varying Proportion of Glutinous Black Rice Flour)

  • 서정희;고은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78-384
    • /
    • 2014
  • Hwajeon, pan-fried rice cake, containing glutinous black rice flour at different proportions (0, 5, 10, 20, 30, or 50% of glutinous rice flour) was cooked to investigate the cooking effect on anthocyanins, color, and texture. Two anthocyanins, cyanidin-3-glucoside and peonidin-3-glucoside, were detected in both hwajeon dough and pan-fried hwajeon. The hwajeon retained up to 60% of anthocyanins in the dough after pan-frying. The lightness (L) of dough and hwaje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black rice flour rice flour. Interestingly, the lightness (L) of hwaje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unterpart dough, indicating that the color of hwajeon resulted not only from anthocyanins, but also from the browning reaction occurring during pan-frying. The redness (a) of hwajeon initially increased by adding glutinous black rice flour, and decreased at higher than 10% of black rice flour.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hwajeon (0% black rice flour), the black rice-added hwajeon showed lower hardness, whereas it had higher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resulting in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umminess and chewiness among the hwaje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wajeon enriched with glutinous black rice flour can be developed as a functional food containing health-promoting anthocyan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