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s Quality

검색결과 803건 처리시간 0.029초

열풍처리에 따른 조생 온주감글의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Storage Quality of Early Harvested Satsuma Mandarin as Influenced by Hot Air Treatment)

  • 이현희;홍석인;손석민;김동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04-312
    • /
    • 2004
  • 감귤의 수확 후 저장, 유통과정에서 부패 억제 및 품질유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환경친화적 방법으로서 중-고온 예조처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조생종 온주 감귤의 열풍처리에 따른 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45$^{\circ}C$에서 2, 4, 6시간 동안 열풍을 가한 다음, 충분히 냉각시킨 감귤을 통기성 천공 LDPE 필름에 포장하여 5$^{\circ}C$에서 3주, 18$^{\circ}C$에서 1주간저장하면서 호흡률, 과실내부 기체조성,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과피 표면색, 생체 중량 감소율, 경도, 부패과 발생률, 관능특성 등을 평가하였다. 열풍처리 직후 초기 호홉률은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았으나 처리시간과는 유의적 상관성이 없었고, 저장 중처구 감귤의 호흡률은 감소하여 21일째는 무처리구와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과실내부 기체조성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과즙의 pH, 산도, 가용성 고형분 함량 및 과실의 생체 중량감소와 경도, 과피 표면색 역시 열처리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한편 부패과 발생률에 있어서는 4시간 이상의 처리구가 꼭지 썩음 현상과 곰팡이 발생정도, 검은 썩음병인 표피 흑변 정도에서 저장 중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관품질 및 체감품질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는 열풍처리구와 무처리구 사이에서의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45$^{\circ}C$, 4-6시간의 제한적 열풍처리는 조생 온주 감글의 저장 중 부패과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서 수확 후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중-고온 예조처리 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기낙엽이 참다래 '헤이워드' 과실 바람들이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 (Fruit Quality and Fruit Locule Air Hole of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cv. Hayward) Affected by Early Defoliation)

  • 곽용범;김홍림;최영하;이재한;김진국;이용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9-234
    • /
    • 2012
  • BACKGROUND: The fruit quality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Kiwifruit (A. deliciosa cv. Hayward) in the following year is known to be affected by the extent and timing of defoliation of the current year. In korea, the production of kiwi, which is a perennial, straggling deciduous warm-temperate fruit, is often restricted by wind damage due to typhoons resulting to defoliation at the middle season of its growing period. In this paper, we report the effect of the different timing of defoliation and severities at the current season to the kiwifruit quality. METHODS AND RESULTS: Twenty seven-year-old 'Hayward' trees grown under polyethylene film rain-shelter were defoliated in different days from August to September at seven day-intervals. In each day, 0, 25, 50, 75 and 100% of leaves were removed from the trees. Fruits from each treatment were classified into four floating types (L: lying in bottom, S: standing on bottom, F: floating and SF: floating at the surface of water) by submerging them into tap water. Defoliation of kiwifruit trees in August and September caused air holes in locules of inner pericarp. Increased number of air hole in locules of a fruit was observed in floating types F and SF, and most of the air holes were located in stem end. The defoliation of trees in August significantly reduced the ratio of L-floating type fruits, which have the least number of locule air holes. The extent of defoliation also affected the distribution of the four types, the more leaves removed, the less L-floating type fruits harvested. The weight of fruits from trees defoliated in August was lower than that of fruits from September. Soluble solids content decreased as the number of locule air holes increased.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tent of defoliation and the weight and soluble solids content of fruits. CONCLUSION: Early defoliation effect on kiwifruit locule air hole occurrence and fruit quality were more severe in August than in September. And also if the defoliation severity is over 25%, severe fruit quality reduction expected to happen due to increase of fruit locule air hole in the inner pericarp.

1-Methylcyclopropene (1-MCP) 처리에 따른 사과와 복숭아 과실의 품질 및 에틸렌 생성 변화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hange in Quality and Ethylene Production between Apple and Peach Fruits Treated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 최성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11-515
    • /
    • 2005
  • 쓰가루 사과 과실과 백향 복숭아 과실에서 1-MCP 처리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쓰가루 사과는 수확 직후 1회의 1 또는 5 ppm의 1-MCP처리에 의하여 2주간의 저장 기간 중 품질의 지표인 과육의 경도와 적정 산도의 저하가 크게 억제되었다. 또한 1-MCP의 처리는 지속적으로 과실의 호흡을 억제하였으며 에틸렌 생성의 개시 시점을 늦추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백향 복숭아에서는 수확 후 반복적인 1-MCP의 처리에 의해서만 약간의 연화 억제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호흡 또는 에틸렌 생성 억제 효과는 일시적이었다. 이는 백향 복숭아의 에틸렌에 대한 반응성이 1-MCP처리 후 빠르게 회복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백향 복숭아에서 1-MCP처리에 의해 과실의 저장성을 향상하려면 반복적인 처리가 요구되며 처리 중에 에틸렌의 축적을 회피하기 위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귤류를 첨가한 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Properties of Surimi with Added Citrus Fruits)

  • 양미옥;조은자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63
    • /
    • 2007
  • To develop a new type of surimi with added citrus fruits, we examined the colors,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s of surimi after production. In the folding test, all samples had good flexibility, which suggested that addition of citrus fruits did not influence the flexibility of surimi. The pH in surimi samples was, in increasing order: lemon(Citrus limon), citron(Citrus junos), tangerine(Citrus unshiu), cumquet(Fortunella japonica var. margarita), and control. The pHs of each citrus fruits and the surimi with added citrus fruits were similar. Lightness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lemon, cumquet, control, citron, and tangerine surimi. Redness was high in the following order: tangerine, cumquet, control, citron, and lemon surimi. Yellowness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tangerine, cumquet, citron, lemon, and control surim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emon and control surimi. The hardness of surimi was highest in lemon, followed by citron, tangerine, cumquet, and control surimi. Although control surimi was the low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In terms of springness, it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tangerine, citron, control, lemon, and cumque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amples. In sensory evaluation, overall acceptability de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cumquet, tangerine, control, citron, and lemon. Surimi containing cumquet got the best score in colors, textural properties, and taste except flavor. All samples got positive results in sensory ova luations, except for textural properties and taste of lemon and citron. Here, we confirm that surimi can be made with added citrus fruits, although we should examine in detail the quantities of added lemon and citron in a later study.

  • PDF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on quality of new mid-season Asian pear 'Changjo' during simulated marketing

  • Choi, Jin-Ho;Lee, Ug-Yong;Lee, Ju-Hyun;Choi, Jang-Jeon;Chun, Jong-Pil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32-33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1-MCP), a known ethylene action inhibitor, on fruit quality and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during a simulated marketing period in new mid-season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Changjo'. Flesh firmness of untreated control fruits was maintained with a hardness of 20.2 N until day 14 of simulated marketing but decreased rapidly to 6.2 N at day 21 of simulated marketing; losing its commercial quality. However, the firmness of 1-MCP treated fruits remained high (> 20.7 N) during the same period. Quality indices such as soluble solids content and titratable acidity in 'Changjo' pea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simulated marketing period regardless of 1-MCP treatment. For the difference in skin color, redness ($a^*$) tended to increase as simulated marketing period became longer, and 1-MCP treatment delayed this change by 7 days compared to the untreated fruits. No decrease occurred in ethylene production level with 1-MCP treatment in 'Changjo' pear. Meanwhile, 1-MCP treated pear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espiration rate compared to the untreated fruits. Also, 1-MCP treatment effectively reduced the incidence of physiological disorders including internal flesh browning and mealiness symptoms during simulated marketing periods of 21 and 14 days, respectively. Therefore, we conclude that the use of 1-MCP is recommended for quality maintenance and for prevention of physiological disorders during simulated marketing periods of ${\geq}7days$ for mid-season Asian pear 'Changjo'.

과채류(果菜類) 중(中) 농약잔류(農藥殘留) 수준조사연구(水準調査硏究) (Investig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류홍일;서윤수;김인기;김학엽;전성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66
    • /
    • 1987
  • 수종(數種)의 과채류(果菜類)에 대(對)한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류(菜蔬類)(무우, 배추, 오이, 도마토)에서의 MEP, Malathion이 검출(檢出)빈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Parathion, Capta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으며 검출(檢出)된 농약(農藥)의 잔류량(殘留量)도 낮은 수준(水準)으로서 허용기준(許容基準)의 $\frac{1}{3}{\sim}\frac{1}{66}$이었다. 2. 과실류(果實類)(포도, 복숭아)에서는 MEP, PAP, Parathion의 검출(檢出)빈도가 높았고 Diazinon, Capta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다. 검출(檢出)된 농약잔류량(農藥殘留量)은 극히 낮은 수준(水準)으로서 허용기준(許容基準)의 $\frac{1}{8}{\sim}\frac{1}{500}$이었다. 3. 국내생산(國內生産) 과채류중(果菜類中)의 농약잔류량(農藥殘留量)은 국내외(國內外)의 잔류허용기준(殘留許容基準)에 훨씬 미달(未達)되는 수준(水準)이었으며 그 잔류량(殘留量)도 세정(洗淨)이나 조리과정(調理過程)에서 상당한 량(量)이 제거(除去)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제로 인체에 섭취(攝取)되는 잔류농약(殘留農藥)의 량(量)은 적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수확 후 품질에 미치는 저장온도 및 1-MCP 처리의 영향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1-MCP Treatment on Postharvest Quality in Plumcot Hybrid cv. Harmony)

  • 임병선;윤석규;남은영;천종필;조미애;정대성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2호
    • /
    • pp.203-210
    • /
    • 2013
  • 본 실험은 자두와 살구의 종간잡종인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수확 후 적정저장 온도를 구명하고 에틸렌작용 억제제인 1-MCP 처리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과실은 숙기를 3가지로 구분하여 수확 후 각각 0, 5, 10 및 $20^{\circ}C$의 온도에 저장하였고, 1-MCP($1{\mu}L{\cdot}L^{-1}$) 처리는 $10^{\circ}C$에서 24시간 처리 후 $10^{\circ}C$에 저장하였다. 온도가 낮은 저장조건일수록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호흡량을 현저히 낮추었고 온도가 높을수록 호흡량의 증가와 함께 품질이 빨리 저하되었다. 저장온도 $20^{\circ}C$는 과실의 부패가 빠르게 촉진되어 유통조건으로 부적합하였다. 숙기에 따른 품질은 30-50% 정도의 붉은 착색 과실이 양호하였는데 특히, $10^{\circ}C$에 저장할 때, 식미가 가장 양호하였다. 1-MCP는 플럼코트 '하모니' 과실의 연화, 색도 변화, 산도 변화 등 전체적인 품질의 변화를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수송 및 유통온도에 따른 '원황' 배 품질 및 생리장해 발생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Temperatures Affect Fruit Quality and Physiological Disorders in 'Wonhwang' Pears)

  • 오경영;이욱용;문승주;김영옥;육홍선;황용수;천종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434-441
    • /
    • 2010
  • 본 실험은 만개후 120일, 130일에 수확 후 과실의 숙도별 적정수송온도 및 유통온도의 설정을 위하여 유통기간 중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조사하여 상온보구력을 측정하였다. 미숙과는 유통 21일까지 처리구에서 경도를 유지하였으나 적숙과는 $25^{\circ}C$ 유통온도에서 과육이 분질되어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생리장해 발생은 적기수확과가 조기수확과에 비해 장해발생이 심하였고 이는 호흡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유통기간 중 수송온도 보다 유통온도가 상온보구력에 큰 영향을 주었고 수송온도 또한 낮은 온도가 유리하였다. 과실의 품질과 생리장해 발생을 고려한 결과 조기수확과는 유통 21일까지 상품성을 유지하였으나 적기수확과는 7일 이내로 판단되었다.

토마토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 - 색 및 공동(空胴) 현상을 중심으로 - (Quality Evaluation of Raw Tomato Fruits - With special reference to color and puffiness -)

  • 이미순;김건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35-338
    • /
    • 1986
  • 토마토의 색도를 측정하기 위해 색소의 sequential extraction을 이용한 spectrophotometric technique을 시도하였다. 파장 480nm 와 660nm에서 각기 80% acetone과 chloroform으로 추출된 용액의 흡광도를 합한 다음 두 파장에서의 총 흡광도 차이를 구한 결과 토마토의 숙성(ripening) 정도가 잘 반영되었다. 이러한 측정방법은 토마토 색소의 객관적 측정을 위한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법으로 간주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