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weight

검색결과 2,361건 처리시간 0.031초

간척지 토양에서 바이오에탄올용 단수수 유전자원의 생육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Sorghum Germplasm for Bioethanol Production in Reclaimed Soil)

  • 최용환;문윤호;안승현;윤영미;차영록;구본철;박광근;한희석;김완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84-388
    • /
    • 2012
  • 농업유전자원센터 및 국외에서 수집한 단수수 유전자원 140품종을 대상으로 주요 형질변이를 탐색하여 우리나라 간척지 토양에 알맞는 품종을 선정하고 아울러 단수수 품종 육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척지 토양에서 단수수의 작물학적 생육특성은 간장 175 cm, 수장 26 cm, 절수 9개, 경태 11.6 mm, 생경중 12.1 톤/ha, 출수소요일수 96일이었다. 2. 바이오에탄올 생산에 크게 영향하는 당도 범위는 5.7~23.5 Brix였고, 평균 14.1 Brix였으며, 20 Brix를 초과하는 고 당도 품종은 Sugar Drip Cane Seed(23.5 Brix), Indiana Amber(21.4 Brix), Dwarf Blackhull Kafir(21.7)이었으며, 고 당도 품종육성에 유망한 유전자원이었다. 3. 생경중의 범위는 20~50 톤/ha이었고, 평균 12.1 톤/ha이었으며, 생경중 30톤/ha 이상으로 높은 품종은 Honey (50.3 톤/ha), IS8012(36.6 톤/ha), Dwarf Blackhull Kafir(35.3 톤/ha) 등 이었다. 4. 주요 형질간의 상관관계는 간장과 수장, 절수, 경태, 생경중, 출수소요일수 간에, 절수와 경태, 생경중 간에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5. 생경중은 간장, 절수, 경태, 출수소요일수와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안개에 기인하는 무우(Raphanus sativus L.)의 잡초경합(雜草競合) 및 제초제반응(除草劑反應) 특이성(特異性) (Specifics in Weed Competition and Herbicide Response of Radish(Raphanus sativus L.) Under Foggy Condition)

  • 구자옥;김상철;국용인;천상욱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97-205
    • /
    • 1995
  • 본 연구는 무우(Raphanus sativa L.)를 공시작물로 하여 안개 및 비안개조건하에서의 생육 차이를 밝히고, 전형적인 잡초종(피를 비롯한 7종의 밭잡초)과의 경향양상과 한계수준을 구명하는 동시에 상이한 수종제초제에 대한 약해 및 약효반응차이를 밝혀 안개상습지에서 무우의 잡초방제 체계 확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안개제조장치가 설치된(Auto foggy system: SAE KI RTN Co.) 온실내 tray 시험으로 수행되었으며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안개조건하에서 각 공시품종(Long skirt, Delicious altari, Green mascot)의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생육초기(파종 후 8-38일)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파종 후 55일에 증가하였다. 지하부 생체중은 Green mascot 품종에서만 안개조건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엽록소 함량은 전 공사품종의 안개조건에서 높았다. 2. 안개조건하에서 초장 및 지상부 생체중은 무경합구(0)와 20일 경합구에서 증가하고, 지하부 생체중은 0, 20, 35일 경합구에서 증가하였으나, 50일 이상의 경합구에서는 안개와 비안개조건간에 차이가 없었다. 3. 각 공시약제(Napropamide, Alachlor, Linuron) 처리 후 초장과 지상부 생체중에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Alachlor는 파종 후 65일에 안개조건에서 지하부 생체중이 감소하였다. 4. 각 공시약제의 방제효과는 안개와 비안개간에 차이가 없엇으나, 자귀풀의 방제효과는 안개조건에서 낮았다.

  • PDF

간척지 재배 근채류의 최대 엽장과 엽폭을 이용한 지하부 생체중 추정용 회귀 모델 결정 (Determination of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Root Fresh Weight Using Maximum Leaf Length and Width of Root Vegetables Grown in Reclaimed Land)

  • 정대호;이평호;이인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4-213
    • /
    • 2020
  • BACKGROUND: Since the number of crops cultivated in reclaimed land is huge, it is very difficult to quantify the total crop production. Therefore, a non-destructive method for predicting crop production is needed. Salt tolerant root vegetables such as red beets and sugar beet are suitable for cultivation in reclaimed land. If their underground biomass can be predicted, it helps to estimate crop productivit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maximum leaf length and weight of red beet, sugar beet, and turnips grown in reclaimed land, and to determine optimal model with regression analysis for linear and allometric growth models. METHODS AND RESULTS: Maximum leaf length, width, and root fresh weight of red beets, sugar beets, and turnips were measured. Ten linear models and six allometric growth models were selected for estimation of root fresh weight and non-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llometric growth model, which have a variable multiplied by square of maximum leaf length and maximum leaf width, showed highest R2 values of 0.67, 0.70, and 0.49 for red beets, sugar beets, and turnips, respectively. Validation results of the models for red beets and sugar beets showed the R2 values of 0.63 and 0.65, respectively. However, the model for turnips showed the R2 value of 0.48. The allometric growth model was suitable for estimating the root fresh weight of red beets and sugar beets, but the accuracy for turnips was relatively low. CONCLUSION: The regression models established in this study may be useful to estimate the total production of root vegetables cultivated in reclaimed land, and it will be used as a non-destructive method for prediction of crop information.

담수산어류의 혈청단백질에 미치는 환경수의 영향(I) (The Effect of External Medium on Serum Protein of Fresh Water Fish(I))

  • 이용억;김익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8-32
    • /
    • 1965
  • It is well known that many kinds of chemical or metalic agent which were ionized or undissociated at toxified external medium and remarkable effect occurred to the fresh water fish. The effects of hydrogen ion concentration on serum protein of fresh water fish, (phycephalus argus CANTOR) had not been reported yet. In this point, authors attempted to study the changes of A/G ratio, total protein, hemoglobin, hematocrit, RBC , liver and kidney weight of snake head in the above environment. 95 snake heads were subjected to external medium with PH-4.5 and A/G ratio,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RBC, and liver & kidney weight were measured at 32.80, 15202000 and 272 hours respectively. In whole experimental period, L 1 and L2 globulin increased, on the other, albumin decreased as compare with control . Hence, the A/G ratio decreased remarkably . Though, total protein increased prominently through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hematocrit, hemoglobin, RBC, increased only at 80 hours, and then decreased as compared to the control. Liver weight revealed distinctive increase at 80 hours, but no remarkable change could be seen there after. Hence, kidney weight revealed continuous rise. By these results, it may be said that as snake head were subjected to external medium with PH-4.5, this environmental factor influenced protein metabolism , blood component and organs.

  • PDF

V. A. Mycorrhizae가 미국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on The Growth of American Ginseng)

  • Thomas, S.C.Li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73-76
    • /
    • 1995
  • Newly sprouted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m L.) seedlings were transplanted to forest pots with mycorrhizae-infested soil and grown in screenhouse for 2 years. Growth patterns, mortality rate and fresh root weight were investigated. Plants in VAM soil had lower mortality rales than control. In soils infested with two species of mycorrhizal fungi (Glomu deseyicola, frappe, Bloss and Merge and G. intraradices, Schenck and Smith), 28-35% of plants produced 3-prongs in the second season and significantly increased fresh root weight by 41 to 43%.

  • PDF

국내 자생 엽채류 번행초의 우수 유전자원 기초 선발 (Preliminary screening of leafy vegetable New Zealand spinaches (Tetragonia tetragonioides) native to Korea)

  • 김인경;이가연;김성기;김병운;최원영;이긍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39권4호
    • /
    • pp.515-523
    • /
    • 2012
  • Recent development and enlargement of reclaimed lands along the sea shores required to explore alternatives to existing crops, which are suitable to grow well and to declare higher profi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yield-related parameters for development of new leafy vegetables, and to screen some candidates among New Zealand spinach genotypes which were collected in Korea. Initially all the collected genotypes were grown for 7 weeks in a greenhouse of the experiment field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then transplanted into the field to measure morphological or physiological parameters (plant height, branch number, stem diameter, chlorophyll content, and maximum canopy diameter), and yield-related parameters (leaf number, leaf length, leaf width, fresh weight and dry weight). Those parameters were quantitatively measured at 1, 5 or 9 weeks after transplanting (WAT). Parameters exhibi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accessions were plant height, branch number, maximum canopy diameter,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length. In contrast to highly correlated parameters with fresh and dry weight obtained in salt-affected soil in the earlier report, fresh weigh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leaf length (r=0.72), leaf width (r=0.64), and canopy diameter(r=0.66), while dry weigh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plant height (r=0.46), leaf length (r=0.72), leaf width (r=0.73), fresh weight (r=0.79), chlorophyll content (r=0.47), and canopy diameter (r=0.87). Based on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yield parameters, the candidate accessions which were ranked in top statistical groups include CNU06A01, CNU06A13, CNU06A26, CNU06A35, CNU06A38, and CNU06A55. In order to be cultivated in reclaimed lands, it is necessary to screen out salt tolerant accessions among the above high-yielding genotypes.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의 파종방법과 종근중에 따른 생육과 수량 (Growth and Yield by the Different Seeding Methods and Cultivating Root Weight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김수용;권오흔;조지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3-188
    • /
    • 2004
  • 백출의 재배체계확립시험의 일환으로 노지육묘시 점파(5${\times}$5 cm, 5${\times}$10 cm, 10${\times}$10 cm, 10${\times}$15 cm)와 조파(15 cm)등의 파종방법과 종근중의 무게에 의한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파종방법별 출아기와 초장은 비슷하였으나 엽수와 지상부 생체중은 육묘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증가 하였으며, 지하부의 근경장과 근경직경도 재식거리가 넓을수록 컸으며 주당 생근중도 5${\times}$5cm의 10.4g에 비해 2.9∼8.7g이 더 무거웠으나 10g 당 생근중은 5${\times}$5 cm에서 1,012kg으로 가장 높았다. 10a 당 종근의 생산량은 재식밀도가 좁은 5${\times}$5 cm와 조파(15cm)에서 많았으나 16g 이상 종근의 생산량은 10${\times}$10 cm에서 가장 높았으며 5${\times}$5 cm에 비해 35% 증가 되었다. 종근중이 무거울수록 출아기는 1∼3일 빨라졌으나 출아율은 비슷하였고, 경장, 경수, 화뢰수 및 생체중에서는 종근이 무거울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병해는 비슷하였다. 지하부의 생육에서는 근경장, 근경직경이 종근중이 무거울수록 증가하였으며 10 a 당 건근경 수량도 5 g이하 134.6kg에 비해서 6g 이상에서 27∼112% 정도로 증수되었다.

제지(製紙) 스럿지 퇴비(堆肥)의 농업적(農業的) 이용연구 - II. 당근에 대(對)한 시용효과 (Agricultural Utilization of Paper Mill Sludge Manure Compost - II. Effects on the Growth of Carrot(Daucus carota L.))

  • 장기운;김상덕;최우영;이규승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5-159
    • /
    • 1992
  • 제지(製紙)스럿지 숙성퇴비(熟成堆)의 비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중량(生重量) 기준으로 18%의 돈분(豚糞)과 8% 정도의 톱밥을 포함한 숙성퇴비 1(SMC-1)과 톱밥을 넣지 않고 돈분을 총량의 3분의 1 포함한 숙성퇴비 2(SMC-2)를 준비하여, 화학비료만을 시용한 대조구(對照區)(S-0), 화학비료에 숙성퇴비 1을 10,000kg/ha 더해준 처리구 (S-1구) 및 숙성퇴비 2를 10,000kg/ha 더해준 처리구 (S-2구)의 3가지 처리를 하여, 당근을 공시작물로 하여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근의 생육(生育)에 대한 제지스럿지 숙성퇴비의 시용(施用)은 무시용구(無施用區)와 비교해서 당근 1개당 생근중량(生根重量), 단위면적당 수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었으며, 질소, 인, 칼륨 및 칼슘 함량은 시용구에서 높았다. 제지스럿지 숙성퇴비 사이의 차이는 생엽중(生葉重), 근경(根徑), 생근중량(生根重量) 및 단위면적당 수확량에 있어 S-2구가 S-1구보다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당근중의 함량은 칼륨>칼슘, 질소, 인>마그네슘의 순이었고, 알루미늄, 아연 구리 및 크롬 함량은 식물체 생육에 독성(毒性)을 나타내는 수준보다 낮았으며, 납과 카드늄 함량은 미량(微量)이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부터 당근에는 무시용구(無施用區)보다는 제지(製紙)스럿지 시용(施用)이 생육에 효과가 있었으며 SMC-2 시용이 SMC-1 시용보다 유리(有利)하였다.

  • PDF

보관조건에 따른 수삼의 중량과 유리당 조성 변화 (Effects of Storage Conditions on Weight Loss and Free Sugar Composition of Fresh Ginseng)

  • 장진규;김천석;노길봉;조병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9권2호
    • /
    • pp.113-118
    • /
    • 2005
  • 본 연구는 수삼의 저장용기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상자의 통기구 비율 즉 개공율이 수삼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개공율을 밀폐(0), 1, 3, 5, 및 $10\%$로 설정하여 실온에서$(19\~23^{\circ}C,\;RH\;40\~61\%)$ 10일간, 냉장으로$(4\~9^{\circ}C,\;RH\;72\~92\%)$ 30일간 저장하면서 이 화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온에서 외관변화는 밀폐구에서 4일 부터 곰팡이 발생이 관찰되며 10일째는 부패하였고, $1\%$는 8일부터 곰팡이 발생이 관찰되었다. $5\%$$10\%$ 개공율은 4일부터 시들기 시작하였다. 중량감모율은 개공율이 높을수록 많이 나타나 $5\%$$10\%$개공율에서 4일후 $10\%$이상 나타났다. 유리당은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maltose와 sucrose가 감소하였는데 개공율이 낮을 수록 많이 감소하였다. 냉장에서 곰팡이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중량모율은 $5\%$$10\%$ 개공율에서 12일부터 약 $10\%$를 보이면서 시들기 시작하였으며, 밀폐와 $1\%$는 30일간 저장기간에서도 양호한 외관상태를 보였다. 유리당중 maltose는 감소, sucrose는 감소하였다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보관상자의 개공율을 조절하여 수삼의 저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육지의 토양염분농도에 대한 갈대 ( Phragmites communis Trin. ) 개체군의 적응 (Adapt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rin. Population to Soil Salt Contents of Habitas)

  • Lee, Ho-Jo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1호
    • /
    • pp.63-74
    • /
    • 1993
  • The ecotypic variation of Phragmites communis Trin. was studied from Aug. 1989 to March 1992 in three populations of salt marsh, estuary and fresh water areas of the western coastal regions in Korea. The length growth and aboveground total dry weight of Phragmites communis Trin. From three habitates were measured monthly and the seeds from them collected. Chlorophyll contents, bud number and width of Phragmites communis Trin. populations after their seeds were sown in seedbeds, and the growth of seedlings according to salt contents were also determined. The results l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height and basal diameter of shoot, leaf length and width, and total dry weight of Phragmites communis Trin. we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ir natural habitats. The bud number of seeds was increased as sample sites moved from estuary to fresh water areas and salt marsh. The but the bud diameter turned out to be in reverse proportion to the bud number. The chlorophyll content of the population from fresh water was $8.6901{\mu}g/ml$, whereas that from estuary and salt marsh was $9.61801{\mu}g/ml$ and $10.3160{\mu}g/ml$, respectively. The average length growth and total dry weight of seedlings grown at different salt contents were compared. Those of fresh water area decreased at salt contents lower than 0.5% in culture solution and those of estuary at higher than 0.5%, but the population of salt marsh was shown to be capable of sustaining itself at 1.0%. All of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populations of Phragmites communis Trin. in the we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have undergone ecotypic variations: fresh water type, estuary type and salt marsh ty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