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frozen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37초

반건조 고추의 냉동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mi-dried Red Pepper During Frozen Storage)

  • 성정민;한영실;정진웅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8
    • /
    • 2010
  • 반건조 고추의 냉동조건 설정을 위해 $0^{\circ}C,\;-10^{\circ}C,\;-20^{\circ}C$$-70^{\circ}C$에서 냉동한 후 실험한 결과, $0^{\circ}C$ 저장구의 경우 capsaicin 함량은 저장 30일 후에 초기 함량 대비 40% 이상 감소를 보인 반면, $-20^{\circ}C$ 이하 저장에서는 21%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초기 비타민 C 함량은 1,358.45 mg%으로 30일 경과 후 $0^{\circ}C$ 저장구의 경우 859.55 mg% 수준으로 가장 큰 감소를 보였으며 $-20^{\circ}C$ 저장구의 경우 초기 함량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ASTA 값은 저장온도 및 저장 기간과 관계없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 $-20^{\circ}C$ 이하 온도에서 저장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판단된다. 이에 반건조 고추(SDRP)를 제조하여 $-20^{\circ}C$에 냉동 저장하면서 실험한 결과 초기 capsicinoids 함량은 건조 고추(DRP) 처리구가 55.01 mg% 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저장 기간에 따른 capsaicinoids 함량의 변화는 저장 12개월째 생고추(FRP) 처리구는 초기에 비해 54.0% 수준 감소하여 SDRP 처리구 30.0~33.0% 수준에 비해 더 큰 감소를 보였다. 초기 비타민 C 함량은 721.48~955.25 mg% 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12개월째 FRP 처리구는 45% 감소한 519 mg%으로 약 37% 감소한 SDRP 처리구보다 비타민 파괴 속도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초기 $\beta$-carotene 함량은 FRP 처리구가 259.82 mg%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장 12개월째 DRP 처리구는 초기에 비해 20% 감소하여 가장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 측정 결과, DRP의 a/b값은 1이하로 시료들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SDRP는 1.40 이상으로 붉은 정도가 높았다.

N-Methylacetamide 동결보호제가 오계 동결정액의 생존성, 수정 및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Methylacetamide on the Viability, Fertility and Hatchability of Cryopreserved Ogye (Korean Native Black Fowl) Semen)

  • 최진석;김성우;신단비;고응규;도윤정;김동훈;공일근;박수봉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91-295
    • /
    • 2012
  • 본 연구는 동결보호제로 이용되는 MA가 오계 정액의 생존율과 생산된 종란의 수정 및 부화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재래가금의 동결보존 방법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10수의 오계 수탉에서 채취한 혼합정액을 희석정액을 제조하고 동시에 동일한 희석액으로 준비된 신선정액을 준비하여 각각 20수의 White Leghorn 암탉에 인공수정하였다. 7일 동안 생산된 종란을 각각 114개 및 115개를 회수하여 인공부화기에 입란하였고, 발생 7일째에 검란하여 수정율을 관찰하였으며, 발생 21일째에 부화율과 발육 중지란을 조사하였다.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생산된 종란의 수정율은 66.36%로 관찰되었으며, MA가 함유된 희석액으로 준비한 동일한 농도의 신선 정액을 이용하여 생산된 종란의 수정율은 94.98%로 관찰되었다. 또한, MA 동결보호제가 함유된 희석정액과 동결정액을 이용하여 생산된 종란의 부화율은 모두 90% 이상으로 관찰되어 유의성이 없었으며, Glycerol 동결보호제의 문제점으로 보고된 수정 능력 및 부화 억제 효과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동결정액을 이용한 종란에서 무정란 수는 신선한 희석 정액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약 6.3배로 유의적 높았으나, 동결보호제에 의한 효과로 추정되지는 않았다. 닭 동결정액의 기술의 실용화를 위해서는 조류 정액의 보존 및 동결 연구에는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이 많으며, 특히 품종 간 및 개체 간의 변이가 크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정상 정자 소견을 나타내는 불임 부부에서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병행하는 분할 수정법의 효용성 (Efficacy of the Split Insemination Method Combining Conventional IVF and ICSI in Non-male Factor Infertile Couples with Normal Sperm Parameters)

  • 홍승범;박동욱;신미라;최수진;이선희;송인옥;전진현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4권4호
    • /
    • pp.305-312
    • /
    • 2007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병행하여 시행하는 분할 수정법의 효용성을 정상적인 정자 소견을 나타내는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제일병원 아이소망센터에서 정자 소견상 결함이 없는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에게 분할 수정법을 이용한 505주기의 임상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획득된 난자는 무작위로 나누어 일반적인 체외수정이나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을 이용하여 수정을 시켰다. 수정란은 이식할 때까지 2$\sim$5일간 배양하였고, 잉여의 수정란과 배아는 동결보관하여 동결-융해 이식에 사용하였다. 수정 방법에 따른 임상 결과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획득된 난자의 수정율은 분할 수정법을 시행하였을 때 일반적인 체외수정보다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52.9$\pm$28.0% vs 62.5$\pm$22.3%, p<0.01). 전체적인 수정의 실패는 분할 수정법을 시행한 505주기 중에서 단지 2주기에서만 (0.4%) 나타났으며, 수정 실패와 0$\sim$30% 이하의 수정률을 나타내는 빈도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일반적인 체외수정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1.1% and 7.5% vs 8.5% and 22.0%, p<0.01). 분할 수정주기에서의 신선 배아와 동결-융해 배아이식 후 분만율은 각각 40.0% (185/462)와 35.0% (55/157)였으며, 일반적인 체외수정이나 세포질내 정 자주입술로 얻어진 배아의 착상률과 분만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결론적으로 비남성요인 불임 환자의 보조생식술에서 분할 수정법이 수정 실패와 낮은 수정율을 방지하고 성공적인 임상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Sucrose and Trehalose on the Freezability of Markhoz Goat Spermatozoa

  • Khalili, B.;Farshad, Abbas;Zamiri, M.J.;Rashidi, A.;Fazeli, 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2호
    • /
    • pp.1614-1619
    • /
    • 2009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increased osmolality of basic tris extender supplemented with trehalose and sucrose on post-thawing quality (motility, progressive motility, viability, the rate of acrosome abnormality, total abnormality and membrane integrity) of Markhoz goat spermatozoa. Fresh semen samples were evaluated for motility and sperm concentration. Only semen samples with motility more than 70% and sperm concentration higher than $3{\times}10^{9}$ sperm/ml were used for cryopreservation. In Exp. 1, trehalose (50, 75 or 100 mM) and sucrose (40, 60 or 80 mM) were added to a basic tris diluent.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 1, the goal of Exp. 2 was to investigate the combinational effects of the highest and lowest concentrations ($T_{100}+S_{80}$ or $T_{50}+S_{40}$) of trehalose and sucrose. As the control, semen was diluted and frozen in the tris diluent without trehalose or sucrose. The results in Exp. 1 showed that all evaluated spermatozoa characteristic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freezing and thawing (p<0.05) and at the same time the increase of trehalose and sucrose concentrations in basic extenders was seen, with the best results obtained for extenders containing 70 and 100 mM trehalose and 80 mM sucrose. Comparing these results with those of control diluents,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were significantly (p<0.05) better. In Exp. 2,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T_{100}+S_{80}$ and $T_{50}+S_{40}$ extenders, but the results of $T_{50}+S_{40}$were slightly better than obtained with $T_{100}+S_{80}$ diluent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sperm characteristics in the isotonic control extender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examined extend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goat sperm can tolerate hypertonic trehalose and sucrose solutions better than isotonic control diluents in the freezing period. In particular, these positive effects have been shown for acrosome integrity, which is very important for the fertilization capacity of sperm. The data indicated that addition of trehalose plus sucrose to the freezing extender can be recommended for cryopreservation of goat spermatozoa, but more data is needed on pregnancy rate, acrosome reaction and IVF to ascertain the real effect.

Effects of Cell Status of Bovine Oviduct Epithelial Cell (BOEC) on the Development of Bovine IVM/IVF Embryos and Gene Expression in the BOEC Used or Not Used for the Embryo Culture

  • Jang, H.Y.;Jung, Y.S.;Cheong, H.T.;Kim, J.T.;Park, C.K.;Kong, H.S.;Lee, H.K.;Yang, B.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7호
    • /
    • pp.980-987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ell status of BOEC on development of bovine IVM/IVF embryos and gene expression in BOEC before or after culturing of embryos. The developmental rates beyond morula stage in the BOEC co-cultur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In particular, blastocyst production in the BOEC co-culture group (28.3%) was dramatically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7.2%). I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IVM/IVF embryos according to cell status, the developmental rates beyond morula stage in the primary culture cell (PCC) co-culture group were the highest of all experimental groups. Expression of genes related to growth (TGF-${\beta}$ EGF and IGFBP), apoptosis (Bax, Caspase-3 and p53) and antioxidation (CuZnSOD, MnSOD, Catalase and GPx) in different status cells of BOEC for embryo culture was detected by RT-PCR. While EGF gene was detected in isolated fresh cells (IFC) and PCC, TGF-${\beta}$ and IGFBP were found in IFC or PCC after use in the embryo culture, respectively. Caspase-3 and Bax genes were detect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regardless of whether the BOEC was used or not used in the embryo culture. However, p53 gene was found in IFC of both conditions for embryo culture and in frozen/thawed culture cells (FPCC) after use in the embryo culture. Although antioxidant genes examined were detect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before using for the embryo culture, these genes were not detected after use.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BOEC co-culture system used for in vitro culture of bovine IVF embryos can increase the developmental rates, and cell generations and status of BOEC might affect the in vitro development of bovine embryos. The BOEC monolayer used in the embryo culture did not express the growth factors (TGF-${\beta}$ and EGF) and enzymatic antioxidant genes, thereby improving embryo development in vitro.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 환아의 치과적 치험례 (DENTAL TREATMENT OF A PEDIATRIC PATIENT WITH HOMOZYGOUS PROTEIN C DEFICIENCY: A CASE REPORT)

  • 윤미;김승오;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07-212
    • /
    • 2010
  • 단백 C 결핍증은 항응고인자인 단백 C의 결핍으로 혈전 색전증의 위험성이 높다. 선천성 단백 C 결핍증 중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은 단백 C의 활성도가 측정되지 않을 정도로 낮고 1/25만~50만의 발생 빈도를 가지는 희귀한 질환이다.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의 주요 증상은 자반성 및 괴사성 피부 병변, 반상출혈, 실명, 중추신경계의 혈전증 등이다. 본 증례는 동형접합성 단백 C 결핍증인 만 4세 여아로 치아의 전반적인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본 환아는 와파린 복용 중이었고 치과치료시 합병증의 예방을 위해 소아청소년과에 협진 의뢰하였다. 와파린 복용 중단 시 혈전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이 예상되어 와파린을 적절하게 (INR 3~5) 복용하되 치과 치료 중 과다 출혈 시 신선냉동혈장으로 조절할 것을 권고받았다. 이 환아는 실명을 동반한 중증 장애 아이로 행동조절이 어려웠고 과다 출혈시 신속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전신마취 하에 치과치료를 시행하였다. 저자는 치아의 전반적인 우식을 주소로 내원한 만 4세 단백 C 결핍 환아에 대하여 전신마취 하 치과치료를 시행하였으며 다소의 지견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초고압 및 냉동 처리한 대추술의 품질특성 (Quality of Jujube Wine with Hydrostatic Pressure and Freezing Treatment)

  • 박희정;김광엽;한귀정;장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1호
    • /
    • pp.1444-1450
    • /
    • 2007
  • 대추술의 가열살균으로 인한 품질저하를 개선하고자 초고압(500 MPa, 5분) 및 냉동처리($-20^{\circ}C$에서 3일간 냉동 후 $20^{\circ}C$에서 4시간 동안 해동)를 이용하여 대추술을 살균한 다음 가열처리구($63^{\circ}C$, 10분) 및 시판대추술과 비교하면서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미생물은 초고압 및 시판대추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가열처리구에서는 세균류만이 10 CFU/mL 이하로 검출되었으며, 냉동처리구에서는 $10^2{\sim}10^3CFU/mL$ 수준으로 검출되어 $30{\sim}60%$의 살균효과를 보였다. 초고압, 냉동 및 가열처리는 대추술의 pH, 산도, 아미노산도, 환원당 및 에탄올함량 등의 성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색도에는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변화폭은 초고압 처리가 가장 작았고 다음으로 가열 및 시판, 냉동처리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가열처리 시 신맛 및 화한 맛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품질이 낮아진 데 비하여, 초고압 및 냉동처리 시에는 신맛과 화한 맛이 변하지 않으면서 품질이 유지되었다. 한편 시판 대추술에서는 탄내, 단내 및 단맛이 뚜렷이 증가하고 신내 및 신맛이 감소하면서 가장 낮은 품질을 보였다. 이상으로부터 초고압처리는 살균효과가 우수하고 제품의 성분 및 색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본래 대추술의 관능적인 특성을 최대 유지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비열살균법임을 알 수 있었고, 냉동처리 역시 관능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수준으로 품질이 유지되었으나 불완전한 살균으로 인한 저장성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생선회에 오염원 장염비브리오균에 미치는 저장온도의 영향 (The Storage Temperature Effect on Vibrio parahaemolyticus in Fish Homogenates)

  • 김영만;이명숙;장동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6-140
    • /
    • 1986
  • 생선회에 사용되는 선어육중에 오염된 장염비브리오균이 저장온도와 시간에 따른 균의 증감정도를 파악하여 식중독 예방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가다랭이와 방어의 마쇄육에 Kanagawa현상 양성인 장염비브리오균을 접종하여 $30^{\circ}C,\;18^{\circ}C,\;4^{\circ}C$$-20^{\circ}C$에서 24시간 저장하면서 매 2시간마다 균수의 변화를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다랭이나 방어의 마쇄육에 장염비브리오균을 접종하여 상온에 방치하여 두었을때 처음 2시간까지는 균수감소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후부터 급격한 균의 증식현상이 나타났다. 2. 생선 마쇄육에 장염비브리오균을 $10^3/g$ 정도 오염시켜 $18^{\circ}C$에 10시간정도 보관하여 두었을때 $10^4/g$ 정도로 증가하는데 반하여 $30^{\circ}C$에 같은 시간 보관하였을 경우에는 $10^6/g$인으로 증가하였다. 3. 장염비브리오균을 생선마쇄육에 오염시켜 $-20^{\circ}C$에서 24시간 저장했을 때에 약 $20\%$의 생잔율을 나타내었다. 4. 생선회를 $4^{\circ}C$ 냉장고에 보관했을에 4시간후에는 약 $10\%$ 감소하였고, 24시간 후에는 약 $50\%$ 감소하였다. 5. 용선회를 $4^{\circ}C$에 냉장보관할때 신선한 방어육에 오염된 장염비브리균이 동결해동한 가다랭이육에 오염된 경우 보다 균 감소율이 $10{\sim}15\%$정도 높았다.

  • PDF

동종 반월상 연골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 (Mid to Long - Term Results of Meniscal Allograft Transplantation)

  • 전철홍;권석현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25
    • /
    • 2009
  • 목적: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후 중.장기 추시 결과를 보고하고, 예후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2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신선 동결 동종 연골판을 이식한 24명 환자, 25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 19례, 내측 반월상 연골판 6례였다. 평균 연령은 33.6세 (17~50세)였으며, 추시 관찰은 평균 54.8개월 (6~116개월)이었다. 술 전 방사선 사진에 mm 표시된 전.후방 사진을 얻어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외측 반월상 연골판은 열쇠 구멍 고정 방법으로(Key hole method) 고정하였으며, 내측 반월상 연골판은 양 골 조각 고정술(double bone plug)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전례에서 KASS (knee assessment scoring system)과 Lysholm knee score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평가하였고 Tegner activity scale을 이용하여 스포츠 회복력을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에서 술 전 증상은 호전되었다. KASS score는 술 전 평균 61.7점(34~80점)에서 술 후 평균 83.8점(61~95점)으로 호전되었으며, Lysholm knee score는 술 전 평균 77.7점(48~79점)에서 술 후 평균 87.7점(63~97점)으로 향상되었다.(우수 3례, 양호 17례, 보통 4례, 불량 1례). 통증을 동반한 부종이 2례, 감각 이상 1례, 비흡수성 봉합사에 의한 육아종이 1례 발생하였다. 총비골신경 마비가 1례 발생하였으나 술 후 6주에 회복이 되었다. 결론: 반월상 연골판 아전 또는 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동종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동통을 완화시키고, 슬관절의 기능을 향상시킨다. 술 전 정확한 반월상 연골판의 크기 측정과 술 중 견고한 고정은 좋은 임상적 결과를 위한 중요한 인자로 사료된다.

  • PDF

지연된 출혈로 밝혀진 경증 혈우병 A에 대한 증례 보고 (MILD HEMOPHILIA A DETECTED BY DELAYED BLEEDING: A CASE REPORT)

  • 송제선;최병재;김성오;이제호;손흥규;김형준;최형준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3-76
    • /
    • 2008
  • 만 1세의 남아가 입에서 피가 계속 난다는 주소로 본과에 내원하였으며 지혈을 위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일 후 다시 출혈 양상이 관찰되어 혈액종양과 협진 의뢰 및 임상 병리검사를 시행하여 경증의 혈우병 A 로 진단하였고 FFP를 투여하여 최종 지혈을 얻었다. 경증의 혈우병은 치과 외상을 통해 처음 발견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출혈이 지속되거나 수일 후 재발되는 경우에는 혈액 관련 전문가에게 의뢰하고 병리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