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sh Water Inflow

검색결과 53건 처리시간 0.022초

해수침투 저감을 위한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시험 (Fresh Water Injection Test in a Fractured Bedrock Aquifer for the Mitigation of Seawater Intrusion)

  • 신제현;변중무
    • 자원환경지질
    • /
    • 제43권4호
    • /
    • pp.371-379
    • /
    • 2010
  • 연안지역 염수와 담수가 혼재하는 전이대에서 해수침투 피해개선을 목적으로 균열암반을 통한 담수주입시험을 수행하고 그 효과를 모니터링하였다. 담수주입은 절대적으로 그 지역의 지질학적, 수리학적 특성에 따라 좌우되며, 특히 파쇄대나 투수성 미고결 지층 등의 특성 파악이 중요하다. 연구 지역의 염담수 분포특성을 고려하여 두 개의 주요 연안 대수층인 충적층과 균열암반 구간을 통한 담수주입이 가능하도록 시추공을 설계 및 굴착하였으며, 균열암반 대수층 내 담수주입을 위하여 현장에서의 시험 준비, 이동, 조립 및 장비의 유지보수가 간단하도록 착탈식인 모듈화되어 있는 주입시스템을 제작하여 적용하였다. 시추공영상화검층을 통해 전체적인 균열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주입공 및 관측공 간 투수성 파쇄대의 확인을 위한 구간별 담수주입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담수주입 구간을 선정하였다. 담수주입시험 결과, 관측공의 일정 심도에서 담수가 유입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부 구간의 전기전도도도 점진적으로 감소함을 보였으며, 담수주입 중단 및 패커를 해지한 후에도 유입된 심도에서 점진적으로 전기전도도값이 증가하기는 하지만 그 증가폭이 전체적으로 낮아 담수주입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장기적으로 전기전도도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담수주입의 효과가 수개월 후에도 지속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담수주입에 의해 일정 정도의 해수침투 피해에 대한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omparison of Water Quality According to Seasonal Variation in Mokpo and Wando Costal Areas

  • Kim, Woo-Hang;Lee, Young-Si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9-273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phytoplankton. This study was done by the comparison to two costal areas Mokpo, which inflow fresh water, and Wando. In August, salinity of the sea water decreased by 3.5-4.5%o in Mokpo coastal area, but was not nearly decreased in Wando coastal area. This suggests a lot of fresh water inflow in Mokpo coastal area. DIN and DIP were decreased by water temperature increasing in Wando. However, in Mokpo, DIN and DIP were increased greatly during the summer season. Nitrogen was limited to a 10 NIP ratio especially during the summer season in Wando coastal area while phosphorus in Mokpo coastal area was limited with over 28 N/P ratio in all the seasons.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between DIP and Chl.-a was 0.91 in Mokpo coastal area. On the other h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between Chl.-a and DIN, DIP were 0.93 and 0.89, respectively, in Wando coastal area. These results suggest DIP in Mokpo and DIN and DIP in Wando might be limited at the increase of phytoplankton.

득량만의 해수 교환 및 물질 순환에 관한 연구 1 . 해수의 수송량 및 교환 시간 (Study on the Water and Material Exchange in Deukryang Bay 1. Volume Transport and Turnover Time of Sea Water)

  • 조규대;이충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311-320
    • /
    • 1998
  • The volume transport and turnover time of the Deukryang Bay. located at the southern area of Korea,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meter(RCM-7,ACM 16M) data observed at the three gateways of the tegrating observed data and then averaging on time. dangdo and Kogumdo. The total water volume transports through three entrances of the bay in May and October were $3.9{\times}10-2Sv, 3.4{\times}10^{-2}Sv(1Sv=10^6m^3s^{-1}$) and turnover time were 0.97day, 1.12day, respectively. Semidiurnal tides were predominant (70~85%). The water volume transports by residual currents were 2~4% of total water volume transports . The average fraction of fresh water calculated by tidal prism method using salinity difference between inflow current and outflow current through three entrances In Deukryang Bay was about 0.06% of total volume and the flushing time of fresh water was estimated as 0.97day.

  • PDF

홍수기 낙동강 하천플륨의 3차원 거동해석 (Three-Dimensional Behavior of Nakdong River Plume during the Flood Period in Summer)

  • 이종섭;윤은찬;백승우;이재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49-561
    • /
    • 2003
  • Behavior of the Nakdong River plume was studied by the analysis of the observed CTD data and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ree-dimensional Princeton Ocean model (POM) in which the river discharge, tides and winds were considered. During the flood season of summer the 30 psu isohaline expands northward to Daebyeon and southwestward to Samcheonpo. The model results show that the isohalines are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bottom slope, which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pwelling induced by the topographic effects. Northwesterly wind expands the river plume to the offshore direction so that the inflow of fresh plume water into Jinhae Bay through the Gaduk Channel is constrained, then the coastal upwelling seems to be caused by the wind-driven current at the southern edge of Gaduk Island. Southwesterly wind expands the river plume toward Daebyeon, and the inflow of fresh water into Jinhae Bay is also constrained.

The Inflow Path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into the Ulleung Basin in July 2005

  • Shin, Chang-Woong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53-161
    • /
    • 2006
  • To investigate inflow path of the East Sea Intermediate Water (ESIW) into the Ulleung Basin, hydrographic data surveyed in July 2005 were analyzed. The ESIW was characterized by the Salinity Minimum Layer (SML) within a depth range of 100 to 360 meters. Averaged potential temperature and salinity of the SML were $1.835^{\circ}C$ and 34.049 psu, respectively. Mean potential density $({\sigma}_{\theta})$ of the SML was 27.221 with a standard deviation of 0.0393. On isopycnal surfaces of 27.14 and 27.18 $({\sigma}_{\theta})$ which correspond to upper layers of the ESIW, the coastal low salinity water was separated from the offshore low salinity water by the relatively warm and saline water which might be affected by the Tsushima Warm Current Water. Relatively cold and fresh water, however, intruded into the Ulleung Basin from the region of Korean coast on isopycnal surfaces of 27.22 and 27.26 which was lower layer of the ESIW. The salinity distribution in the isopycnal layer of $27.14{\sim}27.26$ with acceleration potential on 27.22 up surface also showed clearly that the low salinity water flowed from the coastal area and intruded into the Ulleung Basin. This implies that the ESIW flows ken the north to the south along the east coasts of Korea and spreads into the Ulleung Basin in summer.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Microbial Population in the Gangjin Bay Ecosystem)

  • 김기성;이우범;주현수;이제철;조재위;전순배;이성우;바공천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85-291
    • /
    • 2000
  • 강진만 수역에서 이화학적 요인과 미생물군집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영양염류, 수온, 투명도, 염분도, DO, COD 및 종속영양세균, 균류 그리고 분변성 대장균을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사기간 동안 분변성 대장균군과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 변화는 각각 16.1~166.0 CFU/ml 과 $5.0{\times}10^3$~$13.1{\times}10^3$CFU/ml의 범위를 보였다. 또한 이들 세균군집의 정점별 평균값은 다른 정점보다 담수유입 수역인 1번 정점에서 매우 높은 밀도를 보였다. 이화학적 조사와 미생물학적 조사 결과를 고찰했을 때 강진만 생태계는 계절에 따라 2~4개 요인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으로 보이며, 주로 담수유입, 영양염류, 염분도 그리고 수온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들 결과로 볼 때 강진만의 생태계에서 환경 요인의 영향은 다른 만 (광양만, 진해만, 마산만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목포해역의 해수유동 및 담수확산 예측시스템 (Prediction System of Hydrodynamic Circulation and Freshwater Dispersion in Mokpo Coastal Zone)

  • 정태성;김태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3
    • /
    • 2008
  • 연안해역의 부영양화, 빈산수괴 형성 그리고 유해적조류 출현과 같은 수질오염은 하계 담수의 대량유입에 의해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연안해역의 수질오염 현상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담수가 해수유동에 의해 이송-확산되어 해역수질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범위에 대한 예측 및 분석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연안해역 해수유동과 담수 확산을 쉽게 예측하고, 그 결과를 효과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3차원 유한요소모형을 사용하여 조석에 의한 해수유동을 계산하였고, 담수 확산 계산에는 통계학적인 개념을 이용하여 담수 입자의 운동을 묘사하는 2차원 Random-Walk 모형을 사용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목포해역의 2차원 조류 분포와 담수 확산을 모의하였다. 사용한 입자추적모형의 검증을 위해 다른 이송확산 수치해석 방법에 의한 결과 및 1, 2차원 해석해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예측시스템은 GUI 환경에서 작동되므로 누구나 쉽게 자료의 입력 및 수정이 가능하며, 계산된 모형결과를 그래픽을 이용해 효과적으로 가시화 하여 계산결과를 누구나 쉽고 정확하게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안해역으로 유입되는 담수의 확산 범위를 수시로 예측하여 신속하게 대책을 수립한다면, 오염된 담수유입으로 인한 인근해역의 환경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2016년 하계 한국연안의 수온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by Spectral Analysis in Coast of Korea in 2016)

  • 서호산;정용현;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해, 서해 및 남해안에서 하계 수온의 단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2016년 하계 조위관측소의 수온, 기온, 조위 및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Power spectrum 분석 결과, 평균조차가 100 cm 이상인 서해안(인천, 평택, 군산 및 목포)과 남해안(완도, 고흥, 여수, 통영 및 마산)에서는 수온, 조위가 동일한 주기에서 peak가 나타났다. 반면에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해 평균조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동해안(묵호, 포항 및 울산)과 부산에서는 수온의 주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Coherence 분석에서 서해안과 남해안의 3개 정점(완도, 고흥, 통영)은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완도와 통영에서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은 반일주기에서 0.96으로 높았다. 여수는 조석과 담수의 유입이 수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산의 수온은 남풍의 바람 영향이 가장 크지만 조석과 담수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동해안은 조차가 작고 해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온에 대한 조석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 요인의 시계열그래프를 비교한 결과, 수온과 조위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정점은 창조 시 비교적 저수온의 외해수가 유입되고 낙조 시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주기의 수온 변화는 조석의 영향이 크지만 전체적인 수온의 상승과 하강은 기온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유빙이 점유한 남극 마리안 소만의 하계기간 수층 구조와 부유물질 분산 (Water Column Structure and Dispersal Patter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in a floating ice-dominated fjord, Marian Cove, Antarctica during Austral Summer)

  • 유규철;윤호일;강천윤;김부근;오재경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4호
    • /
    • pp.295-304
    • /
    • 2000
  • 수리적인 환경 요인(조석, 바람 등)에 따른 하계 서남극 킹조지섬 마리안 소만의 수층 특성과 부유물질 분산을 이해하기 위해 내만에 유빙이 점유했던 시기에 30분 간격으로 CTDT연속 관측을 수행하였고 공간적인 표층 해수의 특성(수온과 염분)과 부유물질농도가 측정되었다. 소만 중앙의 수층은 탁도의 관점에서 크게 1)저온 ${\cdot}$ 저염 ${\cdot}$ 고탁도의 표층 플름과 2)고온 ${\cdot}$ 고염 ${\cdot}$ 저탁도의 맥스웰 만 유입수로 나누어진다. 소만 안쪽의 빙벽 앞과는 달리 빙하기저부 유출에 의한 담수성 수층이 나타나지 않았다. 고온의 맥스웰 만 표층수와 조수빙하/유빙의 열적 융빙은 표층 혼합층을 발달시키며 특히 소만 내 유빙의 점유와 거동으로 인해 맥스웰 만 유입수의 수층 특성이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수층의 불안정으로 인해 조석주기에 따른 맥스웰 만 유입수와 표층 플름의 거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소만 북부 연안에 나타나는 표층 플름에 비해 고온 ${\cdot}$ 고염 ${\cdot}$ 고탁도 표층 플름은 강한 북서풍 계열의 바람으로 위버 반도 서부 연안을 따라 중앙 분지로 유입되는 연안류이다. 표층 플름의 육성기원 쇄설물은 주로 급경사 연안의 빙벽 가장자리와 일부 해안가의 융설수류로부터 유입되며 조석과 바람에 의해 분산되고 조절된다. 특히 대조차 시기의 북서풍은 고탁도의 표층 플름을 내만에 체류시키며 소만 분지에 육성기원 쇄설성입자의 퇴적을 증가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