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ze-drying matter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쇠뜨기(Equisetum arvense L.)의 수용추출액이 몇가지 식물의 캘러스 생장, 종자발아, 유묘생장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queous Extracts on the Callus Growth, Seed Germination, and Growth of Some Plants and Antibacterial Activity by Equisetum arvense L.)

  • 이중호;이승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0-26
    • /
    • 1999
  • 쇠뜨기에 다른식물의 생장을 저해하는 물질이 생성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용추출액으로 몇가지 식물의 캘러스 생장, 종자발아, 유묘생장 및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용 추출액의 첨가농도가 높은 배지에서 벼와 배추의 캘러스 유기 및 발달을 억제하였으며, 8$0^{\circ}C$ 추출액이 $25^{\circ}C$ 추출액보다 유의하게 캘러스 유기 및 생장을 억제하였다. 20%추출액 첨가배지에서 공시식물의 캘러스 생장은 추출온도에 관계없이 도라지, 참깨, 배추, 벼 순으로 억제되었다. 냉동건조한 수용추출액 고형물은 저농도에서는 영향이 적었으나, 처리농도에 비례하여 벼, 참깨, 배추의 종자발아를 억제하였고, 특히 배추는 2,000$\mu\textrm{g}$/mι농도에서 대조구의 28.3%로 급격한 발아억제를 보였다. 유식물 생장은 500$\mu\textrm{g}$/mι의 저농도에서는 대조구보다 초장이 약간 촉진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특히 근장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추출액 고형물의 항균활성은 500$\mu\textrm{g}$에서 E. carotovora에서만 약간의 억제대를 형성하였으며, X. oryzae pv. oryzae와 E. coli에 대해서 는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삼백초의 유효성분 함량, 항산화능 및 색도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Content of Active Compon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Color Values of Saururus chinensis Bail)

  • 김민자;김인재;남상영;이철희;윤태;송범헌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3
    • /
    • 2006
  •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을 구명하고자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건조시킨 후 건조방법별 유효성분 함량과 선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조방법별 건조시간은 양건에 비해 열풍건조와 동결건조시 $88{\sim}93%$ 단축되었다. 건물수율은 동결건조 > 양건 > 열풍건조 순으로 높았고, 건조후 수분 함량은 양건 > 열풍건조 > 동결건조 순으로 높았다. 2.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높았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감소되었다. 항산화 활성은 동결건조에서 가장 높았고, 열풍건조와 양건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열풍건조후 볶음 또는 건조전 증자 처리를 함으로써 증가하여 총페놀성 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과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3. 적색도 (a)는 동결건조 < 열풍건조 < 양건 순으로 낮았다. 4. 열풍건조시 부위별 총페놀성화합물과 quercetin 관련물질 함량은 꽃 > 잎 > 세절 > 줄기 순으로 높았으며, 항산화 활성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위별 적색도는 잎 < 세절 < 꽃 < 줄기 순으로 낮았다. 5. 삼백초의 유효성분과 선도유지에 적합한 건조방법은 세절하여 동결건조하거나 잎과 꽃만을 열풍건조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쑥의 건조 방법에 따른 품질 변화 (Influence of Dry Methods on Qualities of Artemisia sp.)

  • 박성옥;김충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08-118
    • /
    • 2006
  • This study is on different dry methods for Artemisia sp. which were not affected by the dry matter percent. Essential oil components such as 1,8-cineol and terpineol were highly affected by the dry method. 1,8-cineol and terpineol components were decreased by adaptation of the heated oven-drying method and the freeze-drying method. Borneol components were increased through shady sun-drying, sun-drying and freeze-drying. Heated oven drying method decreased the vitamin C content. Vitamin C content was decreased in oven-drying about 50% during this period, but only 10% decreased in the freezing dry method. Qualities were changed by different drying methods. Therefore, different dry methods of Artemisia sp. were applied to the flavorgen.

  • PD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 최은영;안봉전;이창언;정수현;장민정;천순주;성지연;강보연;조우아;정연숙;최향자;백욱진;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5-101
    • /
    • 2006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Methods : Folium Perillae, which had been extracted, concentrated, and freeze drying with water and ethanol, have been used for the experiment. The effects on electronic donating ability, SOD-like activity, xanthine oxidase inhibition, whitening effec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e cosmeceutical activity measurement of function experiment. Results :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showed relatively high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more than 70% at over 500ppm. Also, SOD like activit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tter of more than 80% at 5,000ppm, while tyrosinase showed insufficient inhibitory rate. Xanthine oxidase showed a meaningful inhibitory effect of 72.4% in water extract and 55.3% at 1,000ppm in ethanol extract. The addition of $Fe^{2+}ion\;and\;Cu^{2+}ion$ showed relatively high oxidizing inhibitory effect of 57% and 41%, respectively, at 500ppm in water extract and, when $Fe^{2+}$ ion was added in ethanol extract, the effect of 64% at 1,000ppm was achieved. Also, higher oxidizing inhibitory effect was shown against $Fe^{2+}$ rather than $Cu^{2+}$ in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For human cancer cells, relatively high growth inhibition ability was shown against melanoma G361 in bo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Conclusion :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could be used in functional cosmetics.

  • PDF

수침목재유물보존처리 폐액의 재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of waste fluids of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aterlogged wooden artifacts)

  • 양석진;김종화;송주영;이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8-115
    • /
    • 2012
  • 수침목재유물은 해저, 호저, 저습지등에서 발견되며 물속에서 외부로 아무런 조치 없이 나오게 되면 수축과 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보존처리는 목재내부의 물을 화학약품과 치환하고 강도와 치수의 안정화를 이루는 것이다. 이중 EDTA와 PEG는 수침목재유물 보존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품중 하나이다. EDTA는 발굴출토된 목재의 흑화현상의 원인인 타닌산제2철에서 Fe-EDTA의 형태로 흑화현상을 제거한다. 보존처리 후 발생하는 폐 EDTA 용액으로부터 HCl을 첨가하여 Fe-EDTA에서 $Fe^{3+}$를 분리해 내고 강산성에서 EDTA가 석출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EDTA의 침전물을 획득하여 재활용하였다. PEG는 수침목재유물의 강화처리에 사용되며 목재 내에서 추출되는 착색유기물에 의해 용액의 색이 검은색으로 변화하게 되며, 폐 PEG 용액을 $H_2O_2$를 이용한 산화작용으로 용액 내에 존재하는 착색유기물을 분해하고 색을 되돌려 재활용하였다.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