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dom of Expression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일본의 만화표현의 자유 규제 연구 (A Study on Freedom Constraints of Comics Expression of Korea & Japan)

  • 윤기헌;김병수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4호
    • /
    • pp.1-13
    • /
    • 2008
  • 무한한 상상력과 소재의 다양성, 그리고 표현의 자유는 만화의 기본적인 요소이다. 만화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 덕목인 언론출판의 자유와 맞닿아 있으나, 공권력과 사회적 압력, 그리고 자율규제로 인해 아직까지도 표현에 제약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만화표현의 규제에 관한 사례를 연구대상으로 하고 문제점과 바람직한 표현의 자유에 대해 밝힌다.

  • PDF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저해하는 사례 연구 - 미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Preliminary Study on Intellectual Freedom in American Libraries)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1-162
    • /
    • 2001
  • 본 연구는 도서관의 철학적 기초를 이루고 있는 지적자유의 근간이 되는 표현의 자유에 관한 서구의 제이론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표현의 자유가 어떻게 규제되는지를 음란물의 판단 기준에 대한 미국 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판례가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살펴보고, 도서관에서의 지적자유를 지키기 위한 노력과 또한 상충되는 판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인터넷에서의 음란물의 규정과 이를 규제하기 위한 검열기능인 PICS의 배경과 이를 뒷받침하는 통신품위법II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ight to be forgotten in Digital Information Societies

  • Gu, Hyung-K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151-157
    • /
    • 2017
  • In the case of uploading privacy information of an information owner in the Internet, the information owner may want to deliver the privacy information itself or remove such information from the search list in order to prevent third parties from accessing the privacy information of the information owner. Such a right to be forgotten may collide with the freedom of expression of a third party. The right to be forgotten, which originates from the self-determination right on privacy information based on Article 10 and 17 of the Constitution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which is based on Article 21 thereof are all relative basic rights and are both limited by Item 2 under Article 37 of the same law, which is the general limitation provision for the basic rights. Therefore, when the right to be forgotten and the freedom of expression collides, it is not possible to give priority to one of the those unilaterally. It depends on the nature of the case at hand to find a natural balance for the harmonious solution for both parties. The criteria can be the sensitivity to the privacy of the information owner caused by the disclose of the privacy information, the public benefits such information may serve, the social common good that could be expected by the disclosure of the privacy information and the damages suffered in terms of the personal interest caused by the disclosure of the information, in a comprehensive manner.

국내외 허위정보 연구동향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n Disinformation between Korea and Abroad)

  • 김희섭;강보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291-31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허위정보에 관한 연구동향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학문 분야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연구기간의 제한이 없이 국내논문 104편과 국외논문 861편에 나타난 저자가 부여한 영문키워드를 수집하였다. 국내논문에서 수집된 283개 영문키워드와 국외논문에서 수집된 3,551개 영문키워드는 NetMiner V.4를 사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주제의 양적 측면에서 국내의 경우는 'Freedom of Expression', 'Fact Check', 'Regulation', 'Media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로 순으로, 국외의 경우는 'Social Media', 'Post Truth', 'Propaganda', 'Information Literacy', 'Journalism'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의 영향력 측면에서 국내의 경우는 'Fact Check', 'Freedom of Expression', 'Hoax' 순으로, 국외의 경우는 'Social Media', 'Detection' 순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주제의 확장성 측면에서 국내의 경우는 'Fact Check', 'Polarization', 'Freedom of Expression', 'Commercial'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키워드에서 낮은 빈도를 보였던 'Commercial'이 'Media Literacy', 'Freedom of Expression' 등을 매개하며 상대적으로 매개역할정도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외의 경우는 'Social Media', 'Detection', 'Machine Learning'이 주요 연결다리로 나타났다.

세계 게임심의제도의 추세 및 함의점 (Trends and Implications of Global Game Rating Systems)

  • 박태순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93-104
    • /
    • 2011
  • 세계적인 게임심의제도의 추세를 찾아보기 위해 전 세계의 16개 게임심의제도를 찾아 검토하였으며, 주로 표현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이들 제도들의 추이 및 함의점을 찾고자 하였다. 게임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게임전문심의기관의 증가, 민간자율심의기관의 증가, 게임에서의 표현의 자유의 확대라는 추세를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추세는 게임자체의 발전 양상과 맞물려 필연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이며, 우리도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신속한 변화와 혁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사이버명예훼손행위와 형사법적 대응방안 (The Regulations by Criminal Law against any Libel in Cyberspace)

  • 유인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177-183
    • /
    • 2012
  • 익명성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사이버공간에서는 다양한 범죄가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표현의 자유라는 이유로 타인에 대한 명예훼손행위가 가장 심각하다. 즉 사이버공간에서 일어나는 명예훼손은 그 침해가 순간적이고 광범위하며 피해자가 대응할 시간적 여유가 없다는 점에서 오프라인에서 발생하는 명예훼손과 비교할 때 피해의 충격성과 심각성은 매우 크다고 아니할 수 없다. 그러나 표현의 자유도 중요하지만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존중하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는 헌법 제21조 제4항에 규정된 것처럼 언론 출판은 타인의 명예나 권리 또는 공중도덕이나 사회윤리를 침해해서는 안 된다. 표현의 자유 못지 않게 개인의 명예보호도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이며, 개인의 명예나 인격을 침해하는 행위까지 표현의 자유영역에 포함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명예훼손죄는 표현의 자유의 최소한의 한계라고 보아야 한다.

헌법상의 방송의 자유와 방송규제의 법리 (Freedom of Broadcasting and on the Structure Restricting of Broadcasting in the Constitution)

  • 차수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64-172
    • /
    • 2008
  • 다른 여타의 나라와 마찬가지로 한국의 방송법과 방송규제 시스템의 중심은 TV 방송이라 할 수 있다. 이는 TV방송이 다른 매체보다 민주주의 정치 구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수단인 여론 형성에 봉사하는 중차대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헌법상에서 논의되는 방송의 자유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과 동시에 국가의 방송규제의 법리에 대한 세부적 논의를 전개 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헌법질서 하에서의 방송의 자유와 방송규제에 대한 의미를, 표현의 자유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과 독일에서의 방송의 자유와 그 규제 법리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언론중재법과 표현의 자유 그리고 허위·조작 정보의 규제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ss Arbitration Act, freedom of expression, and regulation of false and manipulated information)

  • 김재영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1권4호
    • /
    • pp.71-97
    • /
    • 2021
  • The meaning of the amendment to the Media Arbitration Act in our society is not limited to media companies. And it's not just a problem for a specific group. It expresses public value because it is an issue that can affect members of society as a whole and furthermore, it becomes a bill that can infringe or strengthen individual freedom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but makes different arguments. Freedom of speech is not achieved in a day and should not be easily lost by someone. Although it is not a frequent problem, fatal threats arising from wrong media reports take away an individual's present and future. It is because of this problem that the responsibility is important. Freedom of speech and control are heading in different directions, but they are the same as the front and back of the coin. The freedom pursued is different, but it consists of one body. If freedom and responsibility of speech made up of one body criticize or ignore each other, the results are scattered into a distorted On the other hand, the flexion of responsibility without freedom serves as a speaker that conveys the ideology of some classes or represents the interests of a particular group. The fact that the media should act as the air of society means that it should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majority, make them aware of the rights of unfair or marginalized members, and be their strength.

Freedom of contract in the digital age and its implementation in modern technologies: theory and practice

  • Davydova, Iryna;Bernaz-Lukavetska, Olena;Tokareva, Vira;Andriienko, Iryna;Tserkovna, Ole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544-548
    • /
    • 2021
  • Scient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 as well as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contracts, which do not have their expression in current legislation, force us to explore the issues of contract law to adapt to change. In this context,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s fundamental, which states that each person has the right to enter into a contractual relationship at his discretion. However, such freedom is not absolute, because the freedom of one person should not violate the freedom of another. Together with the conflict of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these phenomena are a field for the study of topical issues of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n practice. Research methods are philosophical, general scientific, and special scientific methods, in particular, system-structural, formal-legal, hermeneutic; methods of analysis, synthesis, etc.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principle of freedom of contract, its role for private law regulation of contract law are given;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restriction of contract freedom are analyzed; typical examples and means of such restrictions are identified; demonstrated how contract freedom is embodied in the use of IT tools, which types of contracts are most common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Citizens' Freedom of Expression and Trust in Public Agency to use Social Media in Post-Communist Countries: The Case of Mongolia

  • Erdenebold, Tumennast;Kim, Suk-Kyoung;Rho, Jae-Jeung;Hwang, Yoon-Mi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1호
    • /
    • pp.41-56
    • /
    • 2021
  • Purpose - This empirical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post-communist countries sociol-political factor of freedom of expression preconditioning, and trust in agency, mediating performance expectancy of social media users representing the citizens' behavioural intention to utilize social media in a post-communist country, the case of Mongolia.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research collected 403 valid survey data from citizens those who use social media in Mongolia. The study used Partial Least Squire (PLS) analysis with the research conceptual model founded on the UTAUT model. Findings - The study shown that citizens in post-communist, they strongly willing freedom of expression, which driving as a positive precondition factor, and this has an indirect positive influence, and trust in agency mediates to enhance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effort expectancy factors have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of social media systems in the public sector domain of Mongolia.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research proposed a new model to test citizens' intention to use social media as a communication tool to engage with public organizations in the pre-adoption stage of post-communist countries. Theoretically, this research builds up to the unique theoretical contribution with social media by examining a new social media-based third-party intercommunication medium, incorporating intent to utilize for citizens with government in post-communist countries. Practically, this article lays out the directions to aid social media usage for government sector with concerning citizens intentions in the post-communist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