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fraction

검색결과 998건 처리시간 0.03초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and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 Xie, Cong-Ying;Jin, Xian-Ce;Deng, Xia;Xue, Sheng-Liu;Jing, Zhao;Su, Hua-Fang;Wu, Shi-Xi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129-6132
    • /
    • 2012
  • Objective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and efficacy of simultaneous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SMART) and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asopharyngeal carcinoma. Methods: Forty-one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by SMART with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Daily fraction doses of 2.5 Gy and 2.0 Gy were prescribed to the gross tumor volume (GTV) and clinical target volume (CTV) to a total dose of 70 Gy and 56 Gy, respectively. Paclitaxel of $45mg/m^2$ was administered concurrently with radiation therapy every week. Adjuvant chemotherapy was given four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radiotherapy (RT) if the tumor demonstrated only a partial response (PR). Results: All patients completed the radiotherapy (RT) course. Adjuvan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12 patients due to PR. The CR (complete remission) rate was 82.9% three months after RT. Thirty-nine (95.1%) patients completed the concurrent weekly chemotherapy with paclitaxel, and two patients skipped their sixth course. Seven patients had a 15% dosage reduction at the fifth and sixth course due to grade 3 mucositis. The median follow-up was 30 (range, 14-42) months. The three-year overall survival (OS), metastases-free survival (MFS), and local control rates were 77.0%, 64.4%, and 97.6%, respectively. No correlation between survival rate and T or N stage was observed. Grade 3 acute mucositis and xerostomia were present in 17.1% and 7.1%, respectively. Conclusion: SMART with concurrent weekly paclitaxel is a potentially effective and toxicity tolerable approach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NPC.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 에탄을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Ethanol Elrtract from Cordyceps militaris)

  • 김미남;오상화;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9-117
    • /
    • 2001
  • 번데기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L. ex fr.) Link)의 수소전자공여능 및 항돌연변이원성을 살펴본 결과 부탄을 분획물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수소전자공여능이 다른 시료에 비해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항돌연변이원성 실험결과에서는 직접변이원인 MNNG, 4NQO 그리고 간접변이원인 B($\alpha$)P, Trp-P-1에 대해서 유의성 있는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보였다. MNNG(0.4 $\mu\textrm{g}$/plate)의 경우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서는 시료농도 200 $\mu\textrm{g}$/plate에서 에탄을 추출물이 78.1%인데 반해 부탄을, 물 분획물에서는 각각 90.4%와 87.6%로 매우 높은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4NQO(0.15 $\mu\textrm{g}$/plate)에 대한 S. typhymurium TA98 균주의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80.4%였고,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을 분획물이 88.6%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또한 간접변이원의 경우 B($\alpha$)P(10 $\mu\textrm{g}$/plate)을 사용한 경우 에틸 아세테이트와 부탄을 분획물은 시료농도 200 $\mu\textrm{g}$/plate에서 85% 이상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Trp-P-1(0.15 $\mu\textrm{g}$/plate)에서는 TA98 균주의 경우 200 $\mu\textrm{g}$/plate 농도에서 핵산 분획물과 부탄을 분획물이 각각 90.2%, 87.6%로 높은 억제율을 보여주었고, TA100 균주에 대해서는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90.1%로 억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부탄올과 물 분획물에서 각각 87.0%와 75.4%의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번데기동충하초 에탄을 추출물 및 분획물은 시료 농도증가에 따라 TA98과 TA100 균주 모두에서 각 변이원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도 증가하였다.

  • PDF

고위험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High-risk Breast Cancer)

  • 이경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4호
    • /
    • pp.312-318
    • /
    • 2001
  • 목적 : 고위험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후 국소 재발율, 생존율 및 예후인자를 후향적 분석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4년부터 1995년까지 유방암으로 변형 근치적 유방절제술 후 종양의 크기가 4 cm 이상이거나, 4 cm 미만이나 액와 림프절의 전이가 있는 환자 중 방사선치료를 완료한 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앙 연령은 47세 ($31\~79$세)이었으며, 종양의 크기가 2 cm미만 1명, $2\~5\;cm$ 15명, 5 cm이상이 32명이었다. 액와림프절에 전이된 환자는 32명이었다. 흉벽과 국소림프절에 방사선치료받은 환자는 42명, 흉벽만 받은 환자는 6명이었으며 방사선량은 1일 1회(1.8 Gy)로 총 선량은 50.4 Gy이었다. 48명 중 18명$(38\%)$은 5-FU를 기본으로 하는 항암화학요법을 방사선치료 전 혹은 후에 투여하였다. 중앙 추적기간은 61개월이었다. 결과 : 국소 재발율은 $8\%$, 원격전이율은 $14\%$이었다.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63\%$, 무병생존율은 $62\%$이었으며 중앙생존기간은 67개월이었다.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IIB는 $70\%$, IIIA는 $58\%$이었으며, 생존율에 미치는 예후인자는 병기이었다(p=0.0076). 결론 : 고 위험군의 유방암 환자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는 국소재발율은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병기이었다.

  • PDF

1997~2005년 제주시 지역 강수의 산성화 및 중화 특성 연구 (Study on Acidification and Neutralization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in JejuCity between 1997 and 2005)

  • 강창희;홍상범;김원형;고희정;이순봉;송정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7-498
    • /
    • 2006
  • Total 438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in Jeju City between 1997 and 2005, and their major ionic components were analyzed. The comparison tests using ion balance, electric conductivity and acid fraction were performed. It was found their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in the range of 0.977$\sim$0.994, indicating the good quality of collected dam. The volume-weighted mean pH and electric conductivity were 4.8 and 23.0 $\mu$S/cm, respectively. with the ionic strength of 0.23$\pm$0.20 mM. The marine ($Na^+$, $Mg^{2+}$, and $CI^-$), anthropogenic (nss$SO_4{2-}$, $NO_3^-$, and $NH_4^+$) and soil (nss-$Ca^{2+}$) species have contributed to the ionic components of precipitation samples with 43$\sim$74%, 16$\sim$37% and $\sim$5%, respectively. The seasonal variations of $NO_3^-$ and nss-$SO_4^{2-}$ showed a distinct seasonality with higher concentrations in winter than summer, indicating an increase of fossil fuel consumption and a possibility of long-range transport of those pollutants from continental area along the dominant winter westerly. The levels of nss-$Ca^{2+}$ also were appeared the highest in winter and increased comparatively in spring season. possibly due to the soil influences including the Asian Dust. The acidification contribution of nss-$SO_4^{2-}$ and $NO_3^-$ showed 88$\sim$96%, and the free acidity was in the range of 6.0$\sim$40.1%. Interestingly, the backward trajectories for the case of upper 10% nss-$SO_4^{2-}$ and $NO_3^-$ levels have passed through the China continent before their arrival to Jeju. The precipitation of pH below 4.5 has been occurred frequently when the trajectory's path lied over the China continents. On the other hand, the air masses from the North Pacific area were characterized by lower 10% of nss-$SO_4^{2-}$- and $NO_3^-$ concentration, which demonstrated that air mass from the North Pacific was the cleanest among air masses moved to Jeju.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iple Negative Breast Cancer at a Tertiary Care Hospital in India

  • Dogra, Atika;Doval, Dinesh Chandra;Sardana, Manjula;Chedi, Subhash Kumar;Mehta, Anura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4호
    • /
    • pp.10577-10583
    • /
    • 2015
  • Background: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characterized by the lack of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progesterone receptor and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 is typically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The majority of TNBCs show the expression of basal markers on gene expression profiling and most authors accept TNBC as basal-like (BL) breast cancer. However, a smaller fraction lacks a BL phenotype despite being TNBC. The literature is silent on non-basal-like (NBL) type of TNBC.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defining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BL and NBL phenotypes. Objectives: i) Identify the TNBCs and categorize them into BL and NBL breast cancer. ii) Examine the behavioral differences between two subtypes. iii) Observe the pattern of treatment failure among TNBCs. Materials and Methods: All TNBC cases during January 2009-December 2010 were retrieved. The subjects fitting the inclusion criteria of study were differentiated into BL and NBL phenotypes using surrogate immunohistochemistry with three basal markers $34{\beta}E12$, c-Kit and EGFR as per the algorithm defined by Nielsen et al. The detailed data of subjects were collated from clinical records. The comparison of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between two subgroups was done using statistical analyses. The pattern of treatment failure along with its association with prognostic factors was assessed. Results: TNBC constituted 18% of breast cancer cases considered in the study. The BL and NBL subtypes accounted for 81% and 19% respectively of the TNBC group.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as seen between prognostic parameters and two phenotypes. Among patients with treatment failure, 19% were with BL and 15% were with NBL phenotype. The mean disease free survival (DFS) in groups BL and NBL was 30.0 and 37.9 months respectively, while mean overall survival (OS) was 31.93 and 38.5 months respectively. Treatment failur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age (p=.023) among prognostic factors. Conclusions: Disease stage at presentation i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fluencing the treatment failure and survival among TNBCs. Increasing tumor size is related to lymph node positivity. BL tumors have a more aggressive clinical course than that of NBL as shown by shorter DFS and OS, despite having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ognostic parameters. New therapeutic alternatives should be explored for patients with this subtype of breast cancer.

Influenza Virus Type A 감염 MDCK세포에 있어서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 변동 (Changes of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MDCK Cells with Influenza Virus Type A)

  • 김병렬;박남표;윤종국;전태원;이상일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9-28
    • /
    • 2000
  • 농도와 기간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및 항바이러스제인 amantadine병행 첨가 시 Maddin Darby canine kidney (MDCK) 세포 내의 free radical 해독계 효소인 glutathione S-transferase (GST)와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활성 변동을 상호비교 관찰하였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MDCK세포는 감염 3일 후 1 TCID$_{50}$ 군은 80%이상, 10 TCID$_{50}$ 군은 거의 대부분의 단층세포가 탈락되는 병변 효과가 나타났다. Amantadine cytotoxic dose %가 증가함에 따라 MDCK 세포 내의 GST 및 LDH 활성은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감염배지 내 LDH 활성은 대조군 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type A 접종농도와 기간에 따른 MDCK세포 내의 GST및 LDH활성은 1 및 10 TCID$_{50}$ 감염군에서 감염 3일 후부터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감염배지 내의 LDH활성은 10배 이상 증가되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type A 100 TCID$_{50}$ 감염과 amantadine병행 첨가 시 GST 및 LDH 활성은 바이러스만 감염한 군 보다 MDCK세포 내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율이 낮았고, 감염배지 중 LDH 활성 역시 증가율이 낮았다. 또한 바이러스 감염 후 amantadine 90 $\mu\textrm{g}$/ml 첨가 시에 세포 내와 감염배지 중에서 가장 낮은 감소와 증가를 나타냈다.

  • PDF

동해의 용존유기물 형광특성 및 아미노산 조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Organic Matter and Amino Acids Composition in the East Sea)

  • 박용철;손승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1-354
    • /
    • 1995
  • 동해의 8개 정점에서 해수 및 추출된 용존 유기물의 형광특성과 아미노산 조성이 연구되었다. C-18 Sep-Pak cartridge에 의해 추출된 시료는 3차원 형광특성 분석에 따 라 생거대물질과 지구거대물질로 구분되었다. 전 조사 정점을 통하여 생거대물질(ex : 280 nm/em : 330 nm)은 표층이 높고 수온약층 아래에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이는 표층혼합층의 생물 활동에서 기인된 분해가능한 생거대물질이 수온약층 부 근 및 저층에서 활발한 미생물 분해과정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이와 는 역상관계를 보이는 지구거대물질 (ex : 330 nm/em : 430 nm)은 표층은 낮고 수온약 층 아래에서 증가하였는데 이는 표층에서 생성된 생거대물질 및 입자유기체가 생물 분 해 후 재축합 과정을 거쳐 난분해성의 지구거대물질로 전환된 것으로 사료된다. HPLC 를 이용하여 해수와 추출된 유존유기물의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Glycine, serine 그리고 alanine등이 우점하였으며, 전체 농도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수중의 용존 자유아미노산 농도는 표층이 0.7∼1.8um 범위로 저 층 0.2∼0.4um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추출된 유기물중 alanine의 D/L racemice ratio 측정결과 저층보다 표층이 상대적으로 낮은 값을 보였으며 이는 표층의 생거대물질이 연령이 젊고 재순환이 빠르며 생물 분해가능성이 큰 물질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전작잡초(田作雜草)로부터 생리활성물질(生理活性物質) 탐색(探索) (Identification of Phytotoxic Compounds and Allelopathic Effects of Various Upland Weeds)

  • 백경환;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83-290
    • /
    • 1988
  • 개비름, 쇠별꽃, 쇠무릎, 며느리배꼽, Galinsoga ciliata 등(等)으로부터 추출용매(抽出溶媒)에 따른 상치 발아억제현상(發芽抑制現像)과 penol, 지방산(脂肪酸) 및 유기산(有機酸) 등(等)을 분리(分離) 동정(同定)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추출용매제(抽出溶媒劑)로는 ethanol과 ether 추출액(抽出液)에서 상치의 발아억제(發芽抑制)가 가장 강(强)하게 나타났다. 총(總) phenol 함량(含量)은 Galinsoga ciliata에서 27.5 mg/10 g으로 가장 많았고, 며느리배꼽이 18.1 mg, 쇠별꽃 17.0 mg, 개비름 12.9 mg, 쇠무릎 12.8mg 순(順)이였다. Diphenol함량(含量)은 free fraction에서 Galinsoga ciliata가 9.4 mg/10g, 며느리배꼽 5.1 mg, 쇠별꽃 4.8 mg, 개비름 2.2 mg 및 쇠무릎 1.8 mg 순(順)이었으며 대체로 수용(水溶) 및 alcohol 추출(抽出)에서 강(彈)하게 억제현상(抑制現像)을 보인 종(種)들이 많은 phenol 함량(含量)을 함유(含有)하고 있었다. Phenol 물질(物質)로는 개비름에는 p-cresol, hydroquinone, ferulic, caffeic, p-cl-benzoic, p-coumaric, catechol 산(酸) 등(等)이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고, 쇠별꽃, 쇠무릎, 며느리배꼽 및 Galinsoga ciliata 등(等)에는 ferulic, caffeic, 7-OH-cumarin, protocatechuic 산(酸) 등(等)이 공통(共通)으로 많이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지방산(脂肪酸)으로는 개비름에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인 palmitic산(酸)이, 쇠별꽃, 쇠무릎, 며느리배꼽 및 갈린소가 등(等)에는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 oleic산(酸)이 다량함유(多量含有) 되어 있었다. 유기산(有機酸)은 Galinsoga ciliata를 제외(除外)한 모든 식물종(植物種)에서 oxalic산(酸)을 많이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14~22 mg/g 정도이었다.

  • PDF

앵두(Prunus Tomentosa Thunberg)씨의 지방질 조성 및 단백질 패턴 (Lipid Composition and Protein Pattern of Prunus Tomentosa Thunberg Seed)

  • 윤형식;박진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48-252
    • /
    • 1985
  • 비이용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앵두씨의 지방질 조성 및 단백질 패턴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 중 조지방질과 조단백질의 함량은 각각 40.38% 및 26.59%였다 앵두씨의 지방질은 중성지방질이 95.4%인 반면에 복합지방질은 4.51%에 불과하였으며, 중성지방질의 성분으로는 트리-글리세리드가 89.86%로서 대부분이었고. 스테롤 4.14%. 모노-글리세리드 2.98%, 스테롤 에스테르 1.77%. 유리지방산 1.07% 및 디 -글리세리드 0.18% 였다. 지방산 조성은 총 지방질, 중성지방절 및 트리 글리세리드에서 올레산(65.06$\sim$66.05%)와 리놀레산(26.56$\sim$28.40%)이 주된 구성 지방산이었고, 당지방질파 인지방질의 경우에는 올FP산(40.55$\sim$51.46%)의 함량이 다른 획분의 함량에 비해 적은 반면, 팔미트산(17.64$\sim$21.43%)과 스테아르산(4.14$\sim$8.07%) 의 함량이 높았으며, 소량의 라오르산도 함유되어 있었다. 염용해성 단백질의 추출율은 약 60%였으며, 분획된 주단백질의 수득율은 약 46.5% 였고 전기영동 결과 7개의 밴드가 확인되었다.

  • PDF

헛개나무의 Angiotensin 전환 효소 저해 및 항산화 활성 (Inhibitory Activity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Cortex Extract)

  • 이승은;방진기;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9-84
    • /
    • 2004
  • 식물 유래 기능성 식품 소재발굴을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헛개나무 수피의 항고혈압, 항산화 활성과 총페놀화합물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헛개나무 수피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의 ACE 효소 저해 활성은 $4,000\;{\mu}g\;m{\ell}^{-1}$의 농도에서 각각 81.1% 및 75.8%였으며, 용매별 분획물중에서는 에테르 분획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각각 66.6% 및 75.9%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은 메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200\;{\mu}g\;m{\ell}^{-1}$의 농도에서 모두 99.5%이상의 활성을 보여 매우 우수하였으며,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테르 분획이 90.8% 및 85.3%로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RC_{50},\;30.9{\mu}g\;m{\ell}^{-1})$이 실험된 조추출물 및 분획물들 중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사람 저밀도지단백질 (LDL)의 산화에 대해 헛개나무 수피 조추출물은 $50\;{\mu}g\;m{\ell}^{-1}$이상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25\;{\mu}g\;m{\ell}^{-1}$의 농도에서 반응 5일째까지 메탄을 추출물이 ${\alpha}-tocopherol$보다 더 우수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함량은 메탄올 및 물 추출물이 7.2% 및 3.6%를, 분획물 중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이 60.8%로 조추출물 및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