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ee Water

검색결과 3,584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 P.V.C.의 생물학적 안정도 및 적합성에 대한 실험적 고찰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iological safety and compatability of P.V.C. made in Korea)

  • 선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57-166
    • /
    • 1984
  • These biologic test procedures are designed to test the suitability of P.V.C. made in Korea intended for parenteral preparation, which were based on the U.S. Pharmacopeia XIX "Biologic Test-Plastic Container", Official from July 1, 1975. Healthy adult human blood and rabbits weighing 2\ulcorner.2Kg were used for test materials. Sample P.V.C. were sampled from the medical equipments made in Korea randomly and Control P.V.C. were sampled from the standardized Cobe and Polystan P.V.C. tubes. P.V.C. extract was prepared from a homogeneous P.V.C. samples by incubating 60 square centimeters of the sample per 20 millimeters of sterile pyrogen-free saline at 70\ulcorner for 72 hours or autoclaving at 120\ulcorner for 1 hour. The Implantation Test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action of living tissue to the plastic by the method of the implantation of the Sample itself into animal tissue. The Systemic Injection Test, the Intracutaneous Test, and the remainders were designed to determine the biological response of animals to plastics by the single-dose injection of specific extracts prepared from a Samp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Implantation Test -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reactions was noted between the Sample treated animal and the Control after 72 hours of implantation. 2.Systemic Toxicity Injection Test - No sign of toxicity and/or death immediately after injection and at 4, 24, 48 hours respectfully after injection. 3.Intracutaneous Test - None of the animals treated with the Sample showed a significantly greater reaction than the observed in the animals treated with Blank. 4.Pyrogen Assay-Only one animal treated with the Sample showed the maximal rise of rectal temperature about 0.2\ulcorner after 3 hours of injection, but remainders showed no change. 5.Hemolytic Index - The positive Control tube of distilled water exhibited complete hemolysis while the negative Control tube and P.V.C. extract were negative demonstrating no hemolysis. 6.Cell Morphology of Erythrocytes and Leukocytes on Stored, Heparinized Human Blood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orphology of either the Control or Sample extract. 7.Clotting Mechanism of Human Blood in vitro - After allowing to the P.V.C.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5 Hours and at 10\ulcorner for 24 hours, there was no appreciable difference in Prothrombin Time under these conditions. 8.Clotting Mechanism of Rabbit in vivo - At the termination of 5 days after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he P.V.C. extract, no significant changes in Clotting Time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V.C. made in Korea was acceptable for parenteral preparation, especially treated with physiologic saline and/or human blood.man blood.

  • PDF

알루미나 중공사 한외여과막 제조 및 특성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umina Hollow Fiber Ultrafiltration Membrane)

  • 김여진;김성중;김정;조영훈;박호식;이평수;박유인;박호범;남승은
    • 멤브레인
    • /
    • 제28권1호
    • /
    • pp.21-3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sol-gel법을 이용하여 균일하고 결함을 최소화한 세라믹 한외여과막을 제조하였다. 알루미나 중공사 정밀여과막 지지체의 기공 크기를 줄이기 위해, 합성된 boehmite sol과 sol-ethanol 혼합 용액을 사용하여 dip coating법으로 지지체 표면 위에 ${\gamma}$-알루미나 활성층을 형성시켰다. pristine sol을 이용하여 4회 이상 코팅했을 경우 박막층의 두께가 상당히 증가하여 균열 및 박리현상을 야기시키고, 3회 코팅을 진행하였을 경우 표면 결함이 최소화된 최적의 시료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소결 온도가 ${\gamma}$-알루미나 활성층의 기공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소결 온도가 $1000^{\circ}C$일 때 가장 높은 순수 투과도 값을 보였으며, 10 nm 크기의 dextran 분획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 (MWCO) : 51 kDa)이 관찰되었다. 600, $800^{\circ}C$에서 소결한 막의 경우, 12 kDa MWCO (dextran 5 nm)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코팅 용액의 조성은 박막층의 두께에 큰 영향을 주었고, 소결 온도에 따라 분획분자량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사과의 삼투압처리 후 열풍 및 동결건조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t-Air and Freeze Dried Apples Slices after Osmotic Dehydration)

  • 김기창;이선영;김경미;김영;김진숙;김행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48-852
    • /
    • 2011
  • 연구는 삼투압 전처리와 열풍, 동결건조의 방법이 최종제품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농도(20, 40, $60^{\circ}Brix$)와 시간별(2, 4, 8시간)로 삼투압처리를 하여 물질이동 특성을 조사하고, 이후 열풍과 동결 건조방법을 거쳐 최종 시료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삼투압 처리 중 시료의 중량감소, 수분손실, 고형분 증가는 삼투압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삼투처리의 농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고려된다. 최종 건조를 거친 시료의 수분함량은 $40^{\circ}Brix$ 당 용액 침지 후 동결건조에서 가장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열풍건조에서 삼투건조 처리의 유무, 농도, 시간은 최종 수분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시료의 변색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삼투압처리의 L, a, b값이 처리를 하지 않은 것보다 낮은 값을 보여 삼투압처리가 갈변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였고, 열풍건조에서는 삼투압처리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L값이 감소하였다. 경도(hardness)의 경우 열풍 건조와 동결건조 모두 삼투압처리 당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의 함량에 있어서는 삼투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이 증가할수록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증가하고 sucrose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당 용액의 농도와 침지시간의 증가가 삼투효과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삼투압처리 후 동결건조의 방법이 열풍 건조보다 더 높은 유리당의 함량을 보여 동결건조의 방법이 최종 제품의 단맛을 증가시켜 기호성을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

Assembly processes of moss and lichen community with snow melting at the coastal region of the Barton Peninsula, maritime Antarctic

  • Kim, Seok Cheol;Kim, Jun Seok;Hong, Bo Ram;Hong, Soon Gyu;Kim, Ji Hee;Lee, Kyu Song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0권1호
    • /
    • pp.55-65
    • /
    • 2016
  • Background: In this article, it was analyzed how snow melting affects the assembly of lichen and moss communities in a small area of the coastal region of Barton Peninsula, which is in maritime Antarctic. In the small area, even though there is a huge gap of difference of the environment between the snow-filled area and snow-melt one, the latter did not have distinctive environmental gradients. Results: Depending on the snow melting time, coverage and species diversity of lichens and mosses tend to increase remarkably. For species with significant changes depending on the snow-covered period, there are Andreaea regularis, crustose lichens, Placopsis contortuplicata, Usnea aurantiaco-atra, and snow algae. In this area, the process of vegetation assembly process has shown the directional development in the order of snow algae${\rightarrow}$crustose, lichen sub-formation${\rightarrow}$fruticose lichen, moss cushion sub-formation (Andreaea sociation)${\rightarrow}$fruticose lichen, and moss cushion sub-formation (Usnea sociation), according to the order of snow melting. These directional development stages are shown in gradual change in small area with the snow melting phenomena. However, in the snow-free area, where water is sufficiently supplied, it is expected that moss carpet sub-formation (Sanionia sociation) will be developed. Vegetation development in the small area with the snow melting phenomena, depending on differences of resistance on snow kill and moisture settled by species in according to the time of snow melting, tolerance model to form community is followed.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s explain the development of vegetation in the Antarctic tundra and its spa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period for growth of lichens and mosses in the summer time by differences of snow melting in the small area. In the future, if research for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 in a large scale will be done, it will be helpful to figure out temporal and spatial dynamic of vegetation in the Antarctic tundra where snow and glaciers melt rapidly due to climatic warming.

방풍통성산의 동시분석 및 항산화 효능 연구 (Simultaneous Analysis of Bangpungtongseong-san and Its Antioxidant Effect)

  • 서창섭;김온순;신현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3-143
    • /
    • 2013
  • Objectives : We carry out the simultaneous quantification for quality control of four components in Bangpungtongseong-san (BPTSS) sample. In addition, we assessed the antioxidant effects of BPTSS sample. Methods : The used column for separation and analysis of four compounds was Luna C18 column and column ove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40^{\circ}C$. The mobile phase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consisted of two solvent systems, 1.0% acetic acid in water and 1.0% acetic acid in acetonitril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HPLC-PDA) method for analysis was performed at a flow rate of 1.0 mL/min with PDA detection at 254 and 280 nm. The injection volume was 10 ${\mu}L$.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PTS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n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The inhibitory effects on low-density lipoprotein (LDL) oxidation were evaluated by the forma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lative substances (TBARS) and relative electrophoretic mobility (REM). Results : Calibration curves were acquired with $r^2{\geq}0.9999$. The values of limit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were 0.06-0.29 ${\mu}g/mL$ and 0.20-0.98 ${\mu}g/mL$, respectively. The amounts of geniposide, liquiritin, baicalin, and glycyrrhizin in BPTSS were 5.06, 7.33, 27.56, and 7.81 mg/g, respectively. The BPTSS showed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concentration required for 50% reduction (RC50) against ABTS and DPPH radicals were 72.51 ${\mu}g/mL$ and 128.49 ${\mu}g/mL$. Furthermore, GMGHT reduced the oxidation properties of LDL induced by CuSO4. Conclusions : The established HPLC-PDA method will be helpful to improve quality control of BPTSS. In addition, BPTSS has potentials as therapeutic agent on anti-atherosclerosis.

HPLC에 의한 뱀장어 (Anguilla japonica) 혈장중의 acethylsalicylic acid (aspirin)과 salicylic acid의 측정 (Determination of Acethylsalicylic acid (Aspirin) and Salicylic acid in Eel (Anguilla japonica) Plasm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동완;구재근;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9-145
    • /
    • 2007
  • 인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Aspirin (ASA)을 양식 뱀장어 (Anguilla japonica) 약욕 또는 경구 투여한 다음 혈장 중의 ASA와 salicylic acid (SA)의 양을 HPLC로 측정하였다. 뱀장어 혈장은 0.2 M HCl과 0.2 M orthophosphoric acid로 산성화시킨 다음 acetonitrile과 혼합하여 ASA와 SA를 추출하였다. 2약제의 정량은 Novapak C18과 UV detector (237 nm)가 장착된 HPLC로 측정하였다. 이 때 이동상은 740 ㎖의 증류수, 900 ㎕의 orthophosphoric acid와 180㎖의 acetonitrile을 사용하였다. ASA, SA 및 내부 표준물질로 사용한 2-methylbenzoic acid (MBA)의 retention time은 각각 4.8분, 8.4분 및 11.4분이였으며, 측정한계 농도는 ASA가 0.05 ㎍/㎖, SA는 0.01 ㎍/㎖였다. 혈장으로 부터의 평균회수율은 ASA가 70.8-99.6%, SA는 95.2-100.3%였다. 뱀장어에 ASA를 약욕 (20 ppm) 또는 경구투여 (50 ㎎/kg BW) 한 다음 채취한 혈장을 시료로 이 방법으로 ASA와 SA의 양을 측정한 결과 단지 SA만 검출되어졌고, ASA는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ASA가 혈장내에서 신속히 SA로 분해되기 때문으로 판명되었다. 또 ASA에 약욕시킨 경우에는 약욕 후 3시간후에 혈장내의 SA양이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경구투여 한 경우에는 7일후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한편 ASA를 투여한 다음 ASA 무첨가 수조에 수용한 결과 2투여 경로 모두 48시간 이후에는 SA가 0.02-0.03 ㎍/㎖이 검출되어 잔류의 문제도 거의 없었다. HPLC를 이용한 혈장내의 ASA와 SA의 검출법은 신속하며 정확한 방법으로 뱀장어 이외의 어류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염/고방사성 폐액 내 Cs 제거를 위한 복합 흡착제 합성 및 특성 연구 (Study of Composite Adsorbent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for the Removal of Cs in the High-salt and High-radioactive Wastewater)

  • 김지민;이근영;김광욱;이일희;정동용;문제권;현재혁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염/고방사성 폐액 내 함유된 주요 고방사성핵종인 Cs 제거를 목적으로 고효율의 복합 흡착제(potassium cobalt ferrocyanide (PCFC)-loaded chabazite (CHA)) 합성 및 이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복합 흡착제는 Cs을 비롯한 다른 입자를 수용할 수 있는 CHA를 지지체로 선정하였으며, $CoCl_2$$K_4Fe(CN)_6$ 용액의 단계적인 함침/침전을 통해 PCFC를 CHA 세공 내에 고정화함으로써 합성하였다. 복합 흡착제의 합성 시 평균 입자크기가 $10{\mu}m$ 이상의 CHA를 지지체로 사용할 경우, PCFC 입자는 안정적인 형태로 고정화되었다. 또한, 합성 시 복합 흡착제의 정제를 증가시키는 세척 방법을 최적화함으로써, 복합 흡착제의 물리적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최적의 합성법을 통해 얻은 복합 흡착제에 의한 Cs 흡착 시, 담수(무염조건) 및 해수(고염 조건)에서 모두 빠른 흡착 속도를 보였으며, 염 농도와 무관하게 비교적 높은 분배계수 값($10^4mL{\cdot}g^{-1}$ 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합성한 복합 흡착제는 CHA 및 PCFC가 각각 가지고 있는 물리적 안정성과 Cs에 높은 선택성 등을 고려하여 촤적화한 소재이며, 고염/고방사성폐액에 함유되어 있는 Cs을 고효율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보리곡립의 성숙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of maturing barley kernels)

  • 석호문;김정상;홍희도;김성수;김경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49-455
    • /
    • 1993
  • 출수 후, 경시별로 보리곡립을 채취하여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보리가 성숙됨에 따라 회분 및 조섬유의 함량은 점차 감소한 반면 조지방, 조단백질, 전분, AIS(알콜 불용성고형물) 및 ${\beta}-glucan$함량 등은 증가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출수 후 $31{\sim}36$일 이후에는 더 이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반면 수분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유숙기인 출수 후 $31{\sim}36$일경에는 $40{\sim}50%$수준이었다. 보리의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raffinose, maltose 및 kestose 등이 존재하였으며 전 성숙 기간을 통하여 maltese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이들 유리당 중 glucose, sucrose 및 kestose는 성숙이 진전됨에 따라 점차 감소한 반면 raffinose는 증가경향을 나타내었고 출수 후 43일경에는 건물량으로서 sucrose 0.62%>raffinose 0.46%>kestose 0.33%,>glucose 0.19%>fructose 0.17%,>maltose 0.04%의 순이었다. 보리의 무기원소는 K>P>Mg>Ca>Na>Fe>Zn>Mn>Cu의 순으로 그 함량이 높았으며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수 후 31일 이후에는 더 이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비타민 $B_1$ 함량의 경우에도 성숙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지만 출수 후 36일경 건물량으로서 $350\;{\mu}g/100\;g$을 나타낸 뒤 더 이상의 큰 변화는 없었다.

  • PDF

Parboiling처리가 미숙보리곡립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rboiling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mmature barley kernels)

  • 석호문;김정상;홍희도;김성수;김경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56-462
    • /
    • 1993
  • 벼의 수확 후 저장손실 또는 도정시 영양성분의 손실 방지수단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지방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는 parboiling기법을 성숙단계별로 보리곡립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성숙단계별 보리곡립의 parboiling시 호화도 측정결과 수분함량이 40% 이상인 출수 후 36일 이전의 보리인 경우에는 40% 이상의 호화도를 보여 parboiling처리시 전분의 호화를 위한 별도의 수침공정은 필요치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수 후 31일 이후의 보리의 경우에는 parboiling처리에 의해 외관이 크게 변형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리의 유리당 중 환원성당은 parboiling처리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비환원성인 sucrose와 raffinose는 큰 변화가 없었고 maltose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유숙기의 보리로 조제한 parboiled 보리의 도정수율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회분함량은 모두 정백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으며 P, K, Mg, Ca 등 무기원소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유리당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나 maltose의 경우에는 증가 후 다소 감소하였다. 비타민 $B_1$ 함량에 있어서는 도정하기전 보리에서는 건물량으로 $340\;{\mu}g/100\;g$ 정도이었고 정맥수율이 낮아짐에 따라 점차 감소하기는 하지만 도정수율 50%에서도 $260\;{\mu}g/100\;g$을 보여 parboiling 처리에 의해 비타민 $B_1$의 도정시 손실을 크게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cid Phytase를 생산하는 Pseudomonas fragi의 분리와 phytase의 생산조건 (Isolation of Phytase Producing Pseudomonas fragi and Optimization of its Phytase Production)

  • 김영진;장은석;인만진;오남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291-298
    • /
    • 2003
  • 축산폐수가 방류되는 단위동물 밀집사육장 인근의 하천수로부터 phytase를 생산하는 세균들 중 활성이 가장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Pseudomonas fragi Y9451로 동정, 명명하였다. 탄소원으로 fructose를 첨가할 경우에 phytase의 생산능이 가장 우수하였고, 배지에 7% 첨가할 경우에 72시간 배양 후 효소활성이 1,078 mU/ml로 최대의 phytase 생산능을 보였다. 또한, 질소원으로는 nutrient broth(NB)가 적합하였으며, NB를 3%의 농도로 첨가할 경우에 96시간 배양 후 효소활성이 1,425 mU/ml까지 향상되었다. 인산원인 $KH_2PO_4$, phytate는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phytase 생산은 억제되었으며, 무기염으로 $MgSO_4$$CaCl_2$를 첨가하는 경우는 첨가농도와 상관없이 phytase의 생산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산업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scale-up에 있어서의 통기교반 효과는 phytase의 생산량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