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xinus

검색결과 363건 처리시간 0.031초

국내산 몰푸레나무속 수종 수피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bark of domestic Fraxinus species)

  • 이상극;배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20권1호
    • /
    • pp.42-52
    • /
    • 2001
  • 국내에 자생하는 몰푸레, 쇠몰푸레 그리고 들메나무의 수피를 채취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한 후 동결건조시켜서 분말로 제조하였고 Sephadex LH-20 및 TSK 40F로 충진한 칼럼 상에서 메탄올, 에탄올 그리고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용이용매로 상요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키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NMR스펙트럼을 상용하여 정확한 구조규명을 하였고 FAB-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쿠마린 유도체들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소량의 ester형태의 화합물들도 단리 되었다. 물푸레와 쇠물푸레에서는 aesculetin, aesculin 및 fraxetin과 같은 쿠마린 화합물들과 ligstroside와 oleuropein과 같은 ester형태의 화합무들이 모두 단리 되었으며 들메나무에서는 ester형태의 화합물만 단리 되었다.

  • PDF

물푸레 추출물의 식중독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Fraxinus rhynchophyll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s)

  • 배지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7-28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천연 항균성 물질을 검색하기 위해 예로부터 민간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 온 물푸레를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식중독 유발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보았다. 물푸레를 methanol로 추출한 후, petroleum ether, chloroform,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각각 용매별로 계통 분획하고, 열수추출물을 얻은 후, 9종의 식중독 유발세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tidis, Shigella flexneri,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higella dysenteriae, Pseudomonas aruginosa, Shigella sonnei) 대하여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물푸레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 활성 검색에서는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가장 큰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S. aureus와 S. dysenteriae가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균주였다.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과 쇠비름의 ethyl acetate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균력을 측정해 본 결과 두 추출물을 섞어 첨가했을 경우가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 보다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물푸레의 ethyl acetate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 aureus 및 S. dysenteriae의 배양액에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을 각각 4,000 ppm 농도로 첨가했을 때, S. aureus의 생육이 24시간 이상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고, S. dysenteriae의 생육도 36시간까지 지연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물푸레의 ethyl acetate추출물은 S. aureus와 S. dysenteriae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메타세콰이어, 카담, 물푸레나무 세포내강의 액체이동 (Capillary Flow in Different Cells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Anthocephalus cadamba, and Fraxinus rhynchophylla)

  • 전수경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7
    • /
    • 2018
  • A study was carried out to observe the 1% aqueous safranine solution flow speed in longitudinal and radial directions of softwood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diffuse-porous wood Anthocephalus cadamba and ring-porouswood Fraxinus rhynchophylla. In radial direction, ray cells and in longitudinal direction, tracheids, vessel and wood fiber were considered for the measurement of liquid penetration speed at less than 12% moisture contents (MC). The length, lumen diameter, pit diameter, end wall pit diameter and the numbers of end wall pits determined for the flow rate. The liquid flow in the those cells was captured via video and the capillary flow rate in the ones were measured. Vessel in hardwood species and tracheids in softwood was found to facilitate prime role in longitudinal penetration. Anatomical features like the length and diameter, end-wall pit numbers of ray parenchyma were found also responsible fluid flow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vessel and fiber structure affected the longitudinal flow of liquids. Therefore, the average liquid penetration depth in longitudinal tracheids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as found the highest among all cells considered in Anthocephalus cadamba and Fraxinus rhynchophylla In radial direction, ray parenchyma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was found the highest depth and the one of Fraxinus rhynchophylla was the lowest. The solution was penetrated lowest depth in the wood fiber of Fraxinus rhynchophylla. The large vessel of Fraxinus rhynchophylla was found the lowest depth among the vessels. The solutin was penetrated to the wood fiber of Anthocephalus cadamba higher than the one of Fraxinus rhynchophylla.

  • PDF

한국 특산 생약의 약효성분 및 약리활성 -Fraxinus spp.의 약효 성분- (The Chemical Constituents and Their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Endemic Medicinal Plants in Korea -Pharmacologically Active Constituents of Fraxinus Species-)

  • 김일혁;김창종;육창수
    • 생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7-202
    • /
    • 1993
  • Three components, fraxetin-8-glucoside, esculetin-6-glucoside and mannitol, were isolated from the stem bark of Fraxinus chiisanensis var. stenophylla, F. japonica var. intermedia and F. densata. The MeOH extract of the cortex of F. densata had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n the carrageenin-induced paw edema in rat. The MeOH extracts of the cortex of all three Fraxinus spp. have the potent analgesic activity on the HOAc-induced writhing syndrome in mouse and the hepatoprotective activity on the $CCl_4-induced$ fatty liver in rat: protection of ballooning formation and inhibition of sGPT and sGOT increased by $CCl_4$.

  • PDF

Lignan Derivatives from Fraxinus rhynchophylla and Inhibitory Activity on Pancreatic Lipase

  • Ahn, Jong-Hoon;Shin, Eun-Jin;Liu, Qing;Kim, Seon-Beom;Choi, Kyeong-Mi;Yoo, Hwan-Soo;Hwang, Bang-Yeon;Lee, Mi-Kyeong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8권2호
    • /
    • pp.116-120
    • /
    • 2012
  • Pancreatic lipase digests dietary fats by hydrolysis, which is a key enzyme for lipid absorption. Therefore, reduction of fat absorption by the inhibition of pancreatic lipase is suggested to be a therapeutic strategy for obesity. We previously reported coumarins and secoiridoids of Fraxinus rhynchophylla as inhibitory constituen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Further investigation on F. rhynchophylla led to the isolation of lignan derivatives such as lignans (1 - 10), sesquilignans (11 - 14) and coumarinolignans (15 - 17). Among them, coumarinolignans and sesquilignans were first reported from Fraxinus species. Among the constituents isolated, sesquilignans showed the significant inhibition on pancreatic lipase, whereas lignans and coumarinolignans exerted weak effects.

한국산 물푸레나무속(屬) 주요 수종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ajor Korean Ash Species)

  • 황원중;권구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95-101
    • /
    • 2002
  • 물푸레나무속 주요 수종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물리 및 역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물푸레나무와 쇠물푸레의 생재함수율은 변·심재간 차이가 없었으나, 들메나무 심재부의 생재함수율은 변재부보다 다소 높았다. 들메나무의 생재밀도와 전건밀도는 다른 두 수종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쇠물푸레 변재부의 수축·팽윤율은 물푸레나무보다 다소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쇠물푸레의 종압축강도와 종압축탄성계수는 다른 두 수종보다 다소 낮았으며, 쇠물푸레 방사·접선단면의 전단강도는 다른 두 수종보다 높게 나타났고, 세 수종 모두 방사단면 전단강도가 접선단면보다 높았다. 세 수종 모두 우수한 휨 특성을 나타냈다. 물푸레나무와 들메나무간에 있어서 충격휨흡수에너지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국산 물푸레나무속(屬) 주요 수종의 해부학적 특성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Major Korean Ash Species)

  • 황원중;권구중;박완근;배영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79-86
    • /
    • 2002
  • 물푸레나무속의 물푸레나무, 들메나무 및 쇠물푸레의 해부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법과 화상분석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공시 수종간에 연륜 경계의 명확성을 비롯한 도돤 요소의 직경, 축방향유조직의 배열상태, 구성세포의 비율에서 차이가 있었다. 구성요소의 방사방향 변이에 있어서, 목섬유 길이, 도관 요소 직경 및 길이는 수심 부위에서 작고 약 10~15 연륜까지 증가한 후 안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물푸레나무속 세 수종의 식별자료 및 성숙재와 미성숙재를 구분하는 재질 지표치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충북 민주지산 물들메나무 분포 및 군락구조 특성 (Characteristics of Fraxinus chiisanensis Dist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Mt. Minjuji on Chungcheongbuk-do)

  • 최동석;안지영;오충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32-643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북도 민주지산의 물들메나무 분포 및 식물군락구조 특성을 밝히고자 시행되었다. 민주지산 내 8개의 조사구(단위면적 400m2)를 설치하여 물들메나무 우점군락을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는 8개 군락 모두 물들메나무 (35.19%; 26.07~42.74%)가 우점하고 있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흉고직경급별 분석 결과 물들메나무는 2~43cm까지 비교적 다양한 직경급으로 생육하고 있으며, 개체수가 많아 교란이나 급격한 환경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지속적으로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종다양도(H')는 0.8498~1.0261, 균재도(J')는 0.8160~0.9256, 우점도(D)는 0.0789~0.1840, 최대종다양도(H'max)는 1.0414~1.2041로 분석되었다. 물들메나무의 연륜 및 생장량 분석 결과 평균 29.1년(22~58년)의 수령을 보였으며, 연평균 생장량은 군락 G가 5.84mm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 B가 2.80mm로 가장 낮았다. 유사도 분석 결과 군락 B와 E, 군락 C와 F, H 간의 유사도지수가 69.0%로 가장 높았으며, 군락 E와 F 간의 유사도지수가 29.6%로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인 물들메나무군락지는 분포지가 매우 협소하고, 개체군 크기가 작아 산림유전자원보호지역으로 보전하는 것이 필요하다.

Comparative Height Growth and Forest Structure of Fraxinus Spaethiana and Pterocarya Rhoifolia in Natural Reforestation Stands in Steep Valleys of Central Japan

  • Ann, Seoung-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2호
    • /
    • pp.1119-1124
    • /
    • 2006
  • Height-growth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orest structure and compare Pterocarya rhoifolia and Fraxinus spaethiana growth characteristics within and between each species in two P. rhoifolia-dominant and two F. spaethiana established contemporaneously in the sere, species vertical stratification 25 years after stand initiation was such that P. rhoifolia dominated the overstory but F. spaethiana the understory, including that P. rhoifolia grew about 4 times more rapidly Similarly, F. spaethiana dominated the overstory but not the understory, in a stand where it established mainly by itself, 25 years after Initiation. However, comparing the two different stands, P. rhoifolia overstory heights were about two times greater than F. spaethiana. This suggests that in a disturbance regime, forest regeneration is affected by height-growth patterns such that P. rhoifolia's ability to achieverapid height growth allows it to dominate where lights growth allows it to dominate where light resources are continuously abund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