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agrance

검색결과 261건 처리시간 0.021초

향수제품 디자인을 위한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 (Cross-Modal Associations between Colors and Fragrances for Commercial Perfume Design)

  • 김유진
    • 감성과학
    • /
    • 제11권3호
    • /
    • pp.427-439
    • /
    • 2008
  • 향수제품의 향에 적합한 색을 향수병과 포장지에 적용함으로써, 제품의 향을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개의 실험연구를 통해 색과 향의 교차-양상 연상관계를 조사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현재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약 200여개 향수병의 색을 분석하여 향의 종류에 따른 차별화된 색채 디자인 패턴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국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향과 색의 대응관계를 조사하였다. 향수병을 볼 수 없는 상황에서 피실험자들에게 세 가지 향수제품의 향을 맡은 후 연상되는 색을 선택하게 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향수제품 모두 차별화된 색상(hue) 대응이 이루어졌고, 선정된 색상은 실제 향수병의 색상과 상당히 유사한 색상 영역에 분포하였다. 또한 향수제품의 세 가지 향 노트(상향, 중향, 하향)에 따라 연상되는 색의 현저한 톤(tone) 변화를 발견하였다. 위의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향수제품에 있어 향과 색 간의 뚜렷한 교차-양상 연상관계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PDF

한의학에서 바라본 향의 인지 과정과 인체 작용 (Recognition Process and Effects of Fragrance(aroma) in Oriental Medicine)

  • 엄지태;김경신;김병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35-941
    • /
    • 2010
  • Fragrance(aroma) have many effects on body. Recently, aromatherapy was used to treat dementia, atopicdermatitis, alopecia areata, perineal disease, lymphatichydrops, and articularrheumatism. And people are interested in physical and mental effects of aroma, especially in mental. People empirically have been known the effects of aroma on soul and used aroma in life from long ago. They have had a meditation and had a sacrificial rites burning incense. Scholars also burned incense when reading books or tasting tea. Until now, there is no physiological study about recognition process and effects of aroma on body, but only many clinical studies using aromatherapy. Fragrance(aroma) is different from smell and good flavors of herbs. And it goes through nose and has effects on body in harmony on So-mun(素問). Also flavors of herbs are spreaded ki of herbs and have many effects on body. Aroma coming through the nose is recognized by co-operation of five-viscera(五臟), especially heart and lung. The nose and pectoral qi(宗氣) are related with lung. The lung opens into the nose, reflect its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Pectoral qi(宗氣) is the combination of the essential qi derived from food with the air inhaled, stored in the chest, and serving as the dynamic force of blood circulation, respiration, voice, and bodily movements. Because of the heart-spirit(心神), Heart is the organ can recognize the aroma, although the nose is the first organ of receiving aroma. Five spirits(五神: ethereal soul(魂), spirit(神), ideation(意), corporeal soul(魄), will(志)) and seven emotions(七情: joy(喜), anger(怒), anxiety(憂), thought(思), sorrow(悲), fear(恐), fright(驚)) are rerated with five-viscera(五臟) and essence-spirit (精神) processing steps and express of emotions. And aroma effects on five-viscera(五臟). So aroma have many effects on body, especially mentally.

인삼씨를 첨가한 베샤멜 소스의 품질 및 관능적 특성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chamel Sauce with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Seed)

  • 홍우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35-143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reduce the oily taste of Bechamel sauce, and improve consumers' acceptability and functionality by adding Ginseng seed inside. This study also performed quantitative description analysis and acceptability test in order to see its unique sensory characterist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viscosity and moisture content decreased as ginseng seeds got added. This may be due to decrease in relative amount of flour. In terms of color, brightness (L) and yellowness (b) tended to decrease as ginseng seeds were added, while redness (a) showed just the opposite propensity. The salinity became higher with more ginseng seed, however, soluble solid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From the result of quantitative and descriptive analysis among the sensory tests, the concentration of Bechamel sauce got higher with more ginseng seed, where the fragrance and the taste of ginseng were sensed strongly, while fragrance of milk, flour, and nuts were considered weak. Also, sense of stuffiness, oiliness, and tenderness has decreased as well. From the acceptability test, adding 30% of ginseng seed got the highest ratings in terms of fragrance, taste, afterward-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refore, adding ginseng seed positively affected Bechamel sauce in taste, smell, after-taste, and general acceptability. Moreover, when the added amount of ginseng seed was 30% compared to the flour, the taste of Bechamel sauce was relatively optimized. From the test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ginseng seed injected in Bechamel sauce improved nutritive facts and the taste acceptability as well, and 30% compared to the flour amount was the right amount to maximize consumers' acceptance of Bechamel sauce.

개인의 감성 분석 기반 향 추천 미러 설계 (Design of a Mirror for Fragrance Recommendation based on Personal Emotion Analysis)

  • 김현지;오유수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1-19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감정 분석에 따른 향을 추천하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자연어 처리 중 임베딩 기법(CounterVectorizer와 TF-IDF 기법), 머신러닝 분류 기법 중 최적의 모델(DecisionTree, SVM, RandomForest, SGD Classifier)을 융합하여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결과를 비교한다. 실험 결과,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는 SVM과 워드 임베딩을 파이프라인 기법으로 감정 분류기 모델에 적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Flask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감정 분석 기반 향 추천 미러를 구현한다. 본 논문은 Google Speech Cloud API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STT(Speech To Text)로 음성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날씨, 습도, 위치, 명언, 시간, 일정 관리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향이 화장품 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Effect of Fragrance on the Quality of Cosmetic Products)

  • 임원철;김해성;한상길;이근수;강기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83-90
    • /
    • 2011
  • 점화효과란 연결된 일련의 사건에 의해서 고정관념과 같은 지식 구조가 일시적으로 활성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그렇게 활성화된 지식구조는 사람들의 판단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최근에는 고정관념과 같은 효과에 대한 연구로서 점화효과에 대한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은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어떤 행동이 일어나기 이전에 준 정보에 의해서 의도하지 않은, 혹은 부정적이거나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는 결과들을 보고하고 있다. 또 다른 연구들은 아주 미미한 관련된 사건이나 물건의 존재 하에서 행동이나 정서적인 반응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점화효과 연구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결과들을 바탕으로 하여 향에 의하여 정서의 변화나 행동의 변화가 유발될 수 있는지를 측정해 보려는 데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피실험자들이 의식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향을 맡게 한 후 화장품 품질 평가를 하게 할 경우 그들의 판단에 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평가하였다. 향 조건은 무취 조건, 향기(일반적인 화장품 향) 조건, 악취 조건(암모니아와 트리에틸 아민의 배합)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각 조건별로 화장품 품질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염화나트륨 농도가 느타리 자실체의 아미노산과 향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chloride on the growth, amino acid content, and fragrance patterns of Pleurotus ostreatus)

  • 이상철;편하영;박윤진;오태석;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0-315
    • /
    • 2021
  • 본 연구는 염화나트륨에 의한 비생물적 스트레스가 생육과정 중의 느타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자실체의 생육특성, 그리고 구성아미노산함량과 향기패턴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농도별로 염화나트륨을 처리한 톱밥배지에서 수확한 느타리 자실체의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처리구별 수량은 무처리구 대비 염화나트륨 0.5%처리구에서의 값은 비슷했으며, 염화나트륨 처리 농도가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서 수량이 확연히 감소하였다. 자실체의 구성아미노산함량 분석결과, 무처리구 대비 모든 염화나트륨 처리구에서 glutamic acid과 proline을 제외한 aspartate, threonine, serine, glycine, alanine, methionine, val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tyrosine, lysine, histidine, arginine의 14종 구성아미노산의 함량이 낮음을 확인하였다. 자실체의 향기패턴 분석결과, 염화나트륨 처리구에서 버섯고유의 향을 나타내는 octane compound로 추정되는 물질의 intensity가 감소하였음을 chromatography상에서 확인하였다.

해안가에 자생하는 순비기나무 열매의 증류추출을 통한 하이드로졸 성분분석 (Analysis of Hydrosol Components through Distillation Extraction of the Sunbigi Tree(Vitex rotundifolia L.f.) Fruit of the Wild Birch Tree Native to the Coast)

  • 정연옥;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1호
    • /
    • pp.5-13
    • /
    • 2022
  • 우리나라 남부와 서해 해안가를 중심으로 자생하고 있는 순비기나무는 자원 활용 측면에서 많은 활용 가치를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민간에서 민간약재로 이용하거나 한약재로 사용되었다. 잎과 줄기에서도 강한 향이 나지만 열매에서도 강한 향이 나서 순비기나무 열매를 이용해 에센스오일을 추출하여 성분을 분석한 연구는 일부 있지만 하이드로졸을 추출하여 이에 대한 향기성분의 연구는 거의 없다. 이유는 열매가 딱딱하여 일반적인 추출방법으로는 함유된 유효 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딱딱한 열매를 고온으로 추출하여 얻은 하이드로졸의 향에 함유된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많은 추출조건은 ethanol로 30.57mg/g 이었고 다음으로 열수추출물로 18.26mg/g, 물 추출물이 가장 낮은 9.69mg/g이었다. 2. 순비기나무 열매를 증류추출한 결과 하이드로졸의 향기는 3-Methyl-2-butenoic acid, cyclobutyl ester, Eucalyptol, L-alpha-Terpineol, 1H-Cycloprop[e] azulen-7-ol, decahydro-1,1,7-trimethyl-4-methylene-, [1ar-(1a.alpha.,4a.alpha.,7.beta.,7a.beta.,7b. alpha.)]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생 방향성 식물 꽃향유의 정유성분 분석 (Analysis of Essential Oil Components using Elsholtzia splendense Nakai, a Fragrant Plant Distributed in Korea)

  • 정재한;박노복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5-12
    • /
    • 2021
  •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를 추출하기 위해 개화한 개체를 채집한 후 생체를 실험에 이용하였다. 재료는 꽃 0.7kg, 잎 + 줄기 1.5kg으로 나누어 부위별로 추출 후 향기패턴 분석에 사용하였고, 정유성분 분석을 위해 전초 5kg을 넣은 후 추출하였다. 정유추출은 Schultz등(1977)이 개량한 SDE 법으로 정유를 추출하였으며, 추출시간은 시료가 끓기 시작한 후부터 1시간으로 하였다. 이렇게 추출한 정유성분을 전자코를 이용하여 향기패턴 분석과 GC-MS로 정유성분의 물질을 분석하였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향기패턴 분석은 꽃에서 추출한 정유성분의 경우 10~20분에 나오는 향의 질이 가장 좋았고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다소 향의 질은 좋지 못했지만 10~40분에 나오는 향이 좋았다. 향의 세기는 꽃만으로 추출한 것은 10~20분에서 가장 강한 향이 나왔고, 30~40분에서도 향의 세기는 높게 나타났다. 줄기와 잎에서 추출한 향은 대체로 향의 세기가 강하지 못하였지만 10~20분에서 높게 나타났다. 2. 꽃향유에 함유된 정유의 종류는 40종을 얻었다. 이중 Mequinol, Benzene, 1,2,3,4-tetramethyl, Elsholtziaketone, Dehydroelsholtziaketone을 확인하였다.

한국삼(韓國蔘)과 중국삼(中國蔘)의 품질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 of Ginseng Radix in Korea and China)

  • 송호준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1-64
    • /
    • 2010
  • Objctive:To clarify the criterion, the characteristic of varaious age of ginseng radix cultivated in Korea and China were studied. Method:The surface of the transverse section of the specimen was made into a slid by the Paraffin Section method, and then dyed by Safranine Malachite Green method. The samples were observed at the power of 400 by an optic microscope(Olympus, Japan). The component and flavor of ginseng radix were analyzed by TLC(Thinlayer Chromatography) and electronic nose(FOX3000, France). Result:Ginseng radix according to the growing district and various age were comparative analyzed by optic microscope, TLC and electronic nose.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external form of Korean ginseng is longer and brightness then Chinese ginseng. 2. The internal form of Korean and Chinese ginseng are similar to each other. 3. The component of Korean and Chinese ginseng in TLC are similar to each other. 4. The fragrance of Korean and Chinese ginseng are clearly different. Conclusion:The results in this study demonstrate that morphology and component of Korean ginseng are similar to Chinese, on the other hand, fragrance of Korean and Chinese ginseng are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