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undation stone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31초

서울 대한의원(사적 제248호) 부속병동 콘크리트 기초의 조성과 강도 특성 (Composition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oncrete Foundation for Affiliated Ward in Seoul Daehan Uiwon (General Hospital))

  • 강산하;김동우;이찬희;김현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99-312
    • /
    • 2016
  • 사적 제248호 대한의원은 서울대학교병원의 전신으로 대한제국시기에 만들어진 초대형 의료기관이다. 대한의원 동1병동의 건축은 1908년 초축 이후 두 차례(1935년, 1954년)의 증축과정을 거쳐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콘크리트 기초에 대한 재료학적 분석 결과, 모든 시기의 기초부는 모르타르와 암석 골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시기별로 골재의 특징과 비율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건축시기별 콘크리트의 배합비를 산출하고 초음파 속도와 반발경도를 이용하여 물성을 산정하였다. 이 결과, 모르타르와 골재의 비율은 1954년의 기초부에서 1:35로 가장 높은 골재 비율을 보였으며, 초음파 속도와 일축압축강도는 1954년 기초부에서 각각 평균 450 m/s와 18.92 MPa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기별 물성 차이는 골재의 배합특성과 공극률에 따라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미지 분석법을 활용한 형상정보의 비교와 객관적 검증결과의 도출사례: 한국은행 본관 정초석 '이토 히로부미 글씨'의 검증 (Comparison of Outlines by Image Analysis for Derivation of Objective Validation Results: "Ito Hirobumi's Characters on the Foundation Stone" of the Main Building of Bank of Korea)

  • 유우식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511-518
    • /
    • 2020
  • 사적 제280호 「서울 한국은행 본관」 정초석의 '정초(定礎)'글자가 조선통감부 초대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쓴 글씨라는 보도가 있었다. 서체 관련 전문가 3인으로 자문단을 구성하여 현지조사를 진행한 결과, 정초석에 새겨진 '정초(定礎)' 두 글자는 일본 하마마츠시(浜松市) 시립중앙도서관 소장자료상의 이토 히로부미의 필적과 운필법 등의 특징으로 그의 글씨임을 확인하였다고 보도되었다. 느낌에 의한 정성적인 판단 보다 객관적인 판단자료를 제공하려면 이미지분석을 통한 글자의 정량적인 비교를 통한 판단의 근거자료의 제시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이토 히로부미의 붓글씨와 정초석의 글자를 겹쳐 육안에 의한 비교와 글자의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미지분석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글자 이미지의 비교분석과 소장자가 기술한 소장경위의 조사를 바탕으로 정초석의 글자가 보도자료의 내용대로 그의 글씨임을 확인하였다. 글자간의 유사성의 비교에 있어서 이미지분석법을 활용한 정량화를 통하여 객관적인 판단근거를 마련할 수 있음을 예시하였다.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의 3차원 디지털 기록과 활용 (Three-dimensions digital documentation and use of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Mulgeol-ri, Hongcheon)

  • 전병규;한병일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5호
    • /
    • pp.99-110
    • /
    • 2014
  • 문화유산의 3차원 디지털 기록은 3차원 자료를 통한 도면화가 주를 이루고 있어 다양한 시도와 연구가 필요하다. 홍천 물걸리 삼층석탑은 해체보수공사를 진행하였는데 해체 전, 부재 개별, 보존처리 후를 3차원 디지털 기록하여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석탑의 3차원 데이터는 부재의 위치정보를 가지는 데이터와 부재 개별 단위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해체 전, 보존처리 후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석탑 보존처리 후 지대석의 이격은 좁아 졌으며, 각각의 층별은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석탑의 변이, 훼손 등을 모니터링 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Influence of inclusion of geosynthetic layer on response of combined footings on stone column reinforced earth beds

  • Maheshwari, Priti;Khatri, Shubh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4권4호
    • /
    • pp.263-279
    • /
    • 2012
  • The present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of combined footings resting on geosynthetic reinforced granular fill overlying stone column improved poor soil. An attempt has been made to study the influence of inclusion of geosynthetic layer on the deflection of the footing. The footing has been idealized as a beam having finite flexural rigidity. Granular fill layer has been represented by Pasternak shear layer and stone columns and poor soil have been represented by nonlinear Winkler springs. Nonlinear behavior of granular fill layer, stone columns and the poor soil has been considered by means of hyperbolic stress strain relationships.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for the soil-foundation system have been derived and solution has been obtained employing finite difference scheme by means of iterative Gauss Elimination method. Results of a detailed parametric study have been presented, for a footing supporting typically five columns, in non-dimensional form in respect of deflection with and without geosynthetic inclusion. Geosynthetic layer has been found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eflection of the footing which has been quantified by means of parametric study.

레이더 토모그래피에 의한 석조문화재 비파괴 검사 (Non-destructive testing of historical masonry using radar tomography)

  • 차영호;강종석;최윤경;서정희;배병선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138-156
    • /
    • 2004
  • 석탑의 안전진단을 위하여 석탑상부의 무게를 지탱하며 하중을 지반으로 전달하는 기단부 내부의 형태파악은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레이다 탐사(GPR)를 적용하였다. 기단부의 면석의 모양파악을 위하여 일반적인 GPR 탐사에 적용하는 monostatic 배열을 이용하여 획득한 수치 시뮬레이션 자료, 축소모형실험자료, 석탑자료에 구조보정을 적용하여 정확한 면석의 두께와 형태의 파악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구조보정을 위한 속도측정은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경계면을 이용하거나, 탑신이나 갑석 등의 균질한 석재로 이루어져서 송/수신이 분리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투과파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기단부 내부의 형태파악을 위하여 탄성파 탐사에서 많이 적용되는 주시토모그래피 기법을 이용하여 영상화하였다. 3${\~}$5m내외의 석탑에서 투과파 획득을 위하여 500${\~}$900MHz의 주파수 대역이 필요함을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주파수 대역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실제 석탑(3m내외)에서 투과파의 획득이 가능하였다. 여러 축소모형을 수행하여 주시토모그래피 기법을 적용한 결과 인공적으로 제작한 내부의 공기층의 위치와 속도를 확인할 수 있었고, 내부 매질의 변화에 따른 전파속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부 물성치와 형태는 석탑안전진단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PDF

신라 분황사탑의 '모전석탑(模塼石塔) 설(說)' 대한 문제 제기와 고찰 (Inquiry about 'The Theory of Brick-Copy' of the Stone Pagoda at Bunhuangsa Temple)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20권2호
    • /
    • pp.39-54
    • /
    • 2011
  • The Bunhuangsa stone pagoda, constructed in AD. 634, National Treasure no. 30, has been named as 'brick-copied pagoda'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by scholars. It is said that the Chinese brick pagoda was its precedent model, however the Bunhuangsa Pagoda is the oldest of all the Chinese-style brick pagodas except one, the Sungaksa Pagoda. The Chinese pagoda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due to its complex detail of wood vestige, as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e form without ornament. Domestic brick pagodas cannot have been a precedent model to copy as well, because all the domestic brick pagodas are younger than the Bunhuangsa Pagoda. Therefore, the terminology 'brick-copied pagoda' is a fallacy; it is rather that later brick pagoda copied the precedent the Bunhuangsa stone pagoda. The Bunhuangsa Pagoda is simply a piled-up pagoda of thick or thin, big or small slates of stone, facing only one smooth side and therefore needing nothing to relate to brick. The originality of the pagoda is more related to simple piled-up Indian stone stupa rather than Chinese brick pagoda. The roof form of its gradually stepped projection comes from the harmika of the summit of Indian stupa. Contrary to general history, old Silla Dynasty imported Buddhism directly from India by sea. From written national history and by temple foundation history, the Indian Buddhism evangelist possibly made influence to the erecting of temple and pagoda. The original wrong terminology has made a harmful effect gradually to the naming of mass-styled stone pagoda of only carved stepped-roof form after brick-copied pagoda. The false term 'brick-copied pagoda' should be discarded, which comes with superficial observation based on toadyism to China and colonialism to Japan. Instead of the fallacious term, this paper suggests multi-storied 'piled-up pagoda with slate stone.'

서울 근교능원의 석조문화재와 자생지의류의 생태학적 분포 조사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royal mausoleums of Seoul area)

  • 민경희;안희균;이필순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7호
    • /
    • pp.11-23
    • /
    • 1986
  • Korea has a long history from several thousand years ago. Specially stonecultural properties were used for the long period in Korea. Ancient tombs of prehistoric age, Sukgul-am (stone cave), Chumsung-dae (astronomical observatory)and stone statue of Buddha in the period of three dynasties were made of stone. There after the foundation stone, mortarstone, millstone, and other stone facilities at home have been also used for a long tim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lichens was investigated with the stone buildings around tombs and multistory stonepagodas.1. Yoo-nung (The tomb of Emperor Sungjong) : The stone buildings of granitearound tomb about 80 years old are clean and solid in quality, but they were covered in places with three kinds of lichens as the circle forms of pale-green and dark-gray colored thallus in crustose type. They were examined ecological distribution,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lobe size of lichens.2. Yoong-nung (The tomb of son of Emperor Yung-jong) : Granite buildings around tomb about 200 years old are also clean, moreover, they were also covered with the same kinds of crustose lichens in overlap.3. Yung-nung (The tomb of Emperor Sejong) : More than seven species of crustose, foliose and one species of fruticose lichens were growing on thegranite stone buildings built in about 500 years ago.4. Shilluk-sa multistory brick pagoda : It was built at the Koryo dynasty more than about 700 years. More than 5 species of crustose folios and two species of fruticose lichens were growing well on the granite stone at shade area. It was assumed that foliose lichens as dominant species with the respect of ecological aspect.5. Shilluk-sa multistory marble pagoda : This marble pagoda was built at the middl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as the same age of multistory brick pagoda. It was covered with black colored thallus such as crustose lichens. It is seemed that only crustose lichens on the stone were due to the drymarble stone.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distribution of lichens showed that only crustose lichens on the stone from the short history (about 100-200 years) were grown with small size of circle form, stone buildings over 500 years were covered with crustose, folios and fruticose lichens, and the lichens distribution on the stonemore than 500 years appeared more foliose and fruticose than crustose ty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uccession of lichens on the stone buildings iscrustose$\rightarrow$foliose$\rightarrow$fruticose.Parmelia mexicana, Cladonia floerkeana, Ramalina yasudae identified ar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other unidentified species of saxicolous lichens will bedescribed later.

  • PDF

쇄석과 모래 혼합다짐말뚝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Rammed Aggregate and Sand Mixture Piers)

  • 천병식;김백영;도종남;국길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19-122
    • /
    • 2009
  • The gravel compaction pile method has been used as a soft foundation improvement method because bearing capacity and discharge capacity is excellent. But the discharge capacity decreased when the clogging was generated because the clay penetrate into a void of gravel compaction pil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duce the clogging generation in gravel compaction pile constructing in the soft ground and take a step to minimize a void of gravel compaction pile. And the proper mixing ratio was determined with the large scale direct shear test performed to get strength and permeability with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100:0, 90:10, 85:15, 80:20, 75:25). As a result of the test, it was showed that internal friction angle was the highest at 85:15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and we can make sure a tendency of internal friction angle's decrease when the mixing ratio of crushed stone and sand passed 15%.

  • PDF

미륵사지 석탑 축기부 토층의 조성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해석 (Interpretation of Construction Technique by Compositional Analysis of Soil Stratum with Basement at the Mireuksaji Stone Pagoda)

  • 이정은;이찬희;이동식
    • 자원환경지질
    • /
    • 제45권3호
    • /
    • pp.237-253
    • /
    • 2012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미륵사터에 세워진 탑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국보 제11호이다. 이 석탑은 이미 부분적으로 원형을 상실한 상태로서 현재는 완전히 해체되어 복원을 앞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석탑의 지반에 대한 판축기술 및 제작기법을 해석하기 위해 사지 조성층, 석탑 축기부 및 기단 조성층에 사용된 토층을 층위별로 구분하여 물리적, 재료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륵사지 주변에 분포하는 지반 토양 5점을 선정하여 석탑 판축에 사용된 토층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상호간의 동질성을 해석하였다. 이 결과, 석탑의 판축에 사용된 모든 토층에서 인위적 첨가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주변 지역의 토양과 물리적,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륵사지 석탑의 지반은 특별한 정선과정 없이 주변 지역의 토양을 사용하여 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익산 미륵사지석탑 복원을 위한 대체석의 동질성 검토 (Homogeneity Investigation of Replace Stone for Restoration of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n Iksan, Korea)

  • 김사덕;이정은;이동식;이찬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1-222
    • /
    • 2011
  •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백제 무왕대(639년)에 기초부가 조성되면서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석탑의 주요 부재는 중생대 쥐라기에 생성된 미륵산의 중조립질 회백색 흑운모화강암으로서 조암광물은 석영, 장석, 흑운모, 백운모와 인회석 및 갈염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부재는 비교적 강한 물성을 가지고 있으나 장기간 풍화를 거치면서 전체적인 내구성은 중간풍화(MW: $883kgf/cm^3$ 정도까지 약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부재의 강도에 영향을 주는 휨, 전단 및 압축력의 저하에 따라 절단(31%), 결실(57%), 균열(44%) 등의 손상이 발생하였다. 원부재는 보존처리를 통해 재사용율을 약 74%까지 높일 수 있으며, 일부 결실과 절단된 부재를 신석재로 성형할 부재가 약 55개 정도이다.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26%의 외면석과 적심석 일부는 탑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신석재로의 대체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익산지역의 채석장을 중심으로 석탑과 동일한 암석을 탐색한 결과, 황등지역의 석재가 미륵사지 석탑의 원부재와 가장 유사하고 안정적인 물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