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mononeti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초

Up-regulating of RASD1 and Apoptosis of DU-145 Human Prostate Cancer Cells Induced by Formononetin in Vitro

  • Liu, Xiao-Jia;Li, Yun-Qian;Chen, Qiu-Yue;Xiao, Sheng-Jun;Zeng, Si-E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835-2839
    • /
    • 2014
  • Prostate cancer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malignant cancers in men. The isoflavone formononetin is a main active component of red clover plants.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effect of formononetin on human prostate cancer DU-145 cells in vitro, and elucidated posssible mechanisms. DU-145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rmononetin and cell proliferation was assessed by MTT assay, cell apoptosis by Hoechst 33258 and flow cytometry, and protein levels of RASD1, Bcl-2 and Bax by Western blotting. The results showed that formononetin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DU-145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DU-145 cells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formononetin displayed obvious morphological changes of apoptosis under fluorescence microscopy. In addition, formononetin increased the proportion of early apoptotic DU-145 cells, down-regulated the protein levels of Bcl-2 and up-regulated those of RASD1 and Bax. The level of RASD1 reached its maximum at 48h post-treatment, and rapidly decreased thereafter. Together, we present evidence that formononetin triggered cell apoptosis through the mitochondrial apoptotic pathway by up-regulating RASD1.

Effects of Formononetin on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nd 7,12-Dimethylbenz[a]anthracene-induced Cytochrome P450 1A1 in MCF-7 Human Breast Carcinoma Cells

  • Han, Eun-Hee;Jeong, Tae-Cheon;Jeong, Hye-Gwa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135-142
    • /
    • 2007
  • Formononetin is an isoflavonoid phytoestrogen found in certain foodstuffs such as soy and red clov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ction of formononetin with the carcinogen activation pathway mediated through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in MCF-7 breast carcinoma cells. Treating the cells with formononetin alone caused the accumulation of CYP1A1 mRNA as well as elevation in CYP1A1-specific 7-ethoxyresorufin O-deethylase (EROD) activ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 However, a concomitant treatment with 7,12-dimethylbenz[a]anthracene (DMBA) and formononetin markedly reduced both the DMBA-inducible EROD activity and CYP1A1 mRNA level.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mononetin inhibited the DMBA-induced AhR transactivation, as shown by reporter gene analysis using a xenobiotic responsive element (XRE). Additionally, formononetin inhibited both DMBA-inducible nuclear localization of the aryl hydrocarbon receptor (AhR) and metabolic activation of DMBA, as measured by the formation of the DMBA-DNA adducts. Furthermore, formononetin competed with the prototypical AhR ligand,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for binding to the AhR in an isolated rat cytos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formononetin might be considered as a natural ligand to bind on AhR and consequently produces a potent protective effect against DMBA-induced genotoxicity. Therefore, that's the potential to act as a chemopreventive agent that is related to its effect on AhR pathway as antagonist/agonist.

황기추출물의 항노화 효과 (Anti-aging Effect of Astrad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 윤경섭;김미진;임경란;정택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40
    • /
    • 2007
  • 예로부터 황기는 민간에서 강장제로서 인삼 다음의 보약으로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기의 성분 중 플라보노이드 화합물로 알려진 calycosin과 formonon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기추출물의 항노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Calycosin과 formononetin의 함량은 효소처리 추출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두 가지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항산화효과 및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배경으로 calycosin과 formononet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황기추출물의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콜라겐 발현효과 및 MMP-1 발현 억제효과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황기추출물의 콜라겐합성은 증가하였으나, MMP-1 발현 저해효과는 크지 않았다. 또한 0.1% 황기추출물 함유 크림은 대조군에 비하여 피부주름 개선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황기추출물은 주름개선용 기능성화장품 신소재로의 응용이 기대된다.

콩 종류와 대두 가공식품에 함유된 isoflavones의 정량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Analysis of Isoflavones in Soybean Foods)

  • 김정숙;이영선;김진숙;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0
    • /
    • 2000
  • 콩에 함유되어 있는 이소플라본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로써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콩은 우리의 식생활과 깊은 관련성이 있으므로 이소플라본의 함량을 HPLC로 정량분석 하였다. 한국산 황기와 콩제품인 콩나물, 두부, 콩기름, 메주, 된장, 간장, 대두, 약콩, 완두콩 및 강남콩 등에서 함유된 isoflavone을 5mM $NaH_2PO_4$ 완충용액(pH 4.6)과 메탄올을 혼합한 이동상 (4 : 6) UV 260 nm에서 분석하였다(Table 2). 콩식품에 함유된 isoflavone중 유리 daidzein 양은 콩나물에서 $43.49{\pm}3.41\;mg/kg$, 된장에서 $233.31{\pm}5.81\;mg/kg$, 약콩은 $35.66{\pm}4.70\;mg/kg$이 검출되어 대두 $(14.52{\pm}0.58\;mg/kg)$ 비해 높았다. (P<0.05)간장 및 콩 기름은 함량이 낮았고, 완두콩 및 강남콩의 함량은 측정치 이하였다. 유리 genistein은 콩나물이 $27.631{\pm}1.66\;mg/kg$,메주가 $18.75{\pm}1.33mg/kg$, 된장이 $291.52{\pm}6.81\;mg/kg$ 검출되었고, 대두는 $22.49{\pm}0.93mg/kg$으로 약콩$(61.10{\pm}7.73mg/kg)$ 보다 낮았다(P<0.01). 그러나 formononetin의 함량은 daidzein, genistein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황기는 daidzein과 genistein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formononetin의 함량이 대두$(60.62{\pm}11.35\;{\mu}g/kg)$ 비해 $9629.73{\pm}0.57\;{\mu}g/kg$으로 약 160배 이상 많았고, 약콩은 대두와 유사하였으나, 콩기름, 완두콩, 강남콩에서는 formononetin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전통식품인 된장과 메주에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Monoamine Oxidase Inhibitory Components from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 Hwang Ji-Sang;Lee Seon A;Hong Seong Su;Lee Kyong Soon;Lee Myung Koo;Hwang Bang Yeon;Ro Jai Seup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90-194
    • /
    • 2005
  • In our search for monoamine oxidase (MAO) inhibitors from natural resources, we found that the methanol extract of the roots of Sophora flavescens showed an inhibitory effect on mouse brain monoamine oxidase (MAO). Bioactivity-guided isolation of the extract yielded two known flavonoids, formononetin (1) and kushenol F (2), as active compounds along with three inactive compounds, oxymatrine (3), trifolirhizin (4), and ${\beta}$-sitosterol (5). Formononetin (1) and kushenol F (2) show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on MAO in a dose-dependent manner with $IC_{50}$ values of 13.2 and $69.9\;{\mu}M$, respectively. Formononetin (1) showed a slightly more potent inhibitory effect against MAO-B ($IC_{50}:\;11.0\;{\mu}M$) than MAO-A ($IC_{50}:\;21.2\;{\mu}M$). Kushenol F (2) also preferentially inhibited the MAO-B activity than MAO-A activity with the $IC_{50}$ values of 63.1 and $103.7\;{\mu}M$, respectively.

담자균 균사체가 배양된 황기의 이화학적 성분분석 (Physicochemical componen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fermented with mushroom mycelia)

  • 장연정;이윤혜;이찬중;김재현;김은주;지수정;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9-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담자균 균사체를 황기에 배양하여 이용성 및 기능성을 증진시킨 식품 및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기초연구를 실시하였다. 수분함량, pH 및 환원당을 측정함으로서 균사체 배양 황기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수분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H는 상황버섯 균사체 및 팽이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의 pH가 각각 6.51, 6.41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이 외의 균사체가 배양된 황기는 대조구와 유사한 수치인 pH 5.30~5.61로 미미하거나 특별한 변화폭을 보이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 측정결과 팽이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대조구에 비해 약 2배 증가한 391.7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상황버섯 및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각각 346.73 mg/100 g 및 289.97 mg/100 g으로 다소 증가한 함량을 나타냈다. 추출용매에 따른 균사체 배양 황기의 추출수율 결과 열수추출물이 80% 에탄올 추출물 보다 높았으며,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의 열수추출물이 5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유리당 함량 분석결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fructose는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의 함량이 2,154.6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sucrose는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8,929.60 mg/100 g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glucose는 모든 실험구에서 감소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열수추출물에서 fructose는 1,528.03 mg/100 g으로 큰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가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 glucose 및 sucrose는 전반적으로 감소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대조구 자체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glucose가 상황버섯 균사체 배양 황기에서 1,547.51 mg/100 g의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담자균 배양 황기의 성분 함량을 분석한 결과 80% 에탄올 추출물에서 상황버섯(calycosin 2,549.24 mg/g, formononetin 1,366.69 mg/g) > 팽이버섯(calycosin 983.57 mg/g, formononetin 744.14 mg/g) > 표고버섯(calycosin 788.29 mg/g, formononetin 621.22 mg/g) 순으로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열수추출물에서는 상황버섯(calycosin 827.66 mg/g, formononetin 221.28 mg/g) > 표고버섯(calycosin 349.45 mg/g, formononetin 142.35 mg/g) > 팽이버섯(calycosin 328.36 mg/g, formononetin 127.64 mg/g) 순으로 높은 함량은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담자균의 효소활성으로 인해 황기의 배당체 성분이 aglycon형태로 전환됨으로서 calycosin 및 formononetin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담자균 균사체 배양을 통해 황기의 기능성을 증대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담자균이 배양된 황기를 이용하여 기능성 및 생리활성 효능 등이 증대된 식품소재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황기의 기능성을 증대시키기에 적합한 담자균을 이용하여 배양일에 따른 황기의 이화학적 특성 및 성분분석과 더불어 세포실험 등을 통해 기대되는 생리활성 효능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Insecticidal Isoflavon Glycoside from Maackia amurensis

  • Youn, Ha-Sik;Lee, Sang-Kyun;Cho, Jin-Ho;Oh, Hun-Se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105-108
    • /
    • 1991
  • An insecticidal isoflavon glycoside was isolated from the roots of Maakia ammurensis. Its structure was shown to be formononetin-7-O-$\beta$ glucosy [1-6] glucoside [1] by chemical and spectroscpic methods and to have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Brown planthopper female adults by spray and topical applications.

  • PDF

Isoflavonoids from the Root Cortex of Robinia pseudo-acacia

  • Kwon, Yong-Soo;Jeon, Seung-Ho;Kim, Chang-Mi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39-141
    • /
    • 2000
  • From the $CHCl_3-fraction$ of the root cortex of Robinia pseudo-acacia, five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medicarpin, biochanin A, formononetin, 3'-methoxydaidzein.

  • PDF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뿌리의 성분 연구 (II) (A Study on the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II))

  • 김진숙;김정숙
    • 생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75-79
    • /
    • 1997
  • Two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the basis of chemical spectro scopic evidence, they were identified as Formononetin (compound E) and Linoleic acid (9Z,12Z-Octadecadienoic acid) (compound F). Linoleic acid (9Z,12Z-Octadecadienoic acid) was reported the first time from the genus Astragalu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