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stand

검색결과 762건 처리시간 0.023초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Estimating Carbon Sequestration in Forest using KOMPSAT-2 Imagery)

  • 김소라;이우균;곽한빈;최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324-3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KOMPSAT-2 영상을 이용하여 대상지 내 주요 수종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우선, KOMPSAT-2 영상을 분할영상분류방법으로 산림내 수종을 임상단위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임상의 평균 수관직경을 추정한 후, 이를 각 수종의 면적에 대비시켜 수종별 본수를 추정하였다. 평균 흉고직경은 지상조사를 통해 유도된 수관직경과 흉고직경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이와 같이 추정된 수종별 흉고직경과 본수를 기존의 바이오매스 추정식에 대입하여 수종별 바이오매스를 추정하였다. 바이오매스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IPCC)'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계수를 적용하여 임상단위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추정했다. 본 연구의 임상단위 수종별 이산화탄소 흡수량 추정 접근방식은 향후, 표본점 단위의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임상단위 이산화탄소 흡수량으로 확장시키는데 활용될 수 있다.

축령산(남서사면) 지역의 식물상 및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lora and Stand Structure in Southwest Slope of Mt. Chukryong (Gyeonggi-do, Gapyeong-gun))

  • 김남영;김영설;최은희;손호준;김정유;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18-26
    • /
    • 2006
  • 2005년 3월부터 10월까지 축령산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임분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87과 268속 399종 1아종 53변종 4품종으로 총 457종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1과 14속 14종 총 14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로는 8과 12속 13종 총 13종류, 귀화식물로는 8과 14속 15종 변종 총 16종류로 나타났다. 축령산의 임분구조를 분석한 결과, 상층은 신갈나무로 대표되며 잣나무, 층층나무, 헛개나무, 물푸레나무 순으로 우점하고 있고, 중층은 쪽동백나무, 참회나무, 당단풍, 신갈나무 등이 우점하고 있다.

  • PDF

임분 특성에 따른 종가시나무의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Quercus glauca Thunberg according to Forest Stand Characteristics)

  • 홍남의;원경록;유병오;정수영;김병로;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767-775
    • /
    • 2016
  • 목재의 재질특성은 토양, 지형, 강우,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인자뿐만 아니라 임분 특성에 의해서도 바뀌게 된다. 지역 성림기원에 따라 종가시나무 목재의 물리 역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지역에 따른 비교분석은 전라남도와 제주도의 종가시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지역에 따른 결과에서 제주지역은 전남지역에 비하여 높은 생장률을 나타내었으며 역학적 특성에서는 휨강도를 제외한 여러 역학적 특성에서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나 실제 값으로 볼 때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성림기원에 따른 결과에서는 생장률 및 역학적 특성에서 특별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녹지 조건에 따른 기온변화 (Air Temperature Variation by Effect of Green Space Condition)

  • 윤용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8-33
    • /
    • 2003
  • In this study, we observed air temperature to make clear that land coverage condition and stand form has a certain relationship to air temperature during the night in various green space. And with revolution analysis, we interpreted relationship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green space, The way of analysis is this land coverage rate and air temperature, of number of tree volume of tree air temperature. With this experimental result, we can propose green plan, which is taking into consideration lower effect of air temperature. In this result, lower zone is formed in forest and water area, higher zone is formed in paved surface and barren ground. but this gap is a little. arbor+subarbor area, in the point of water area surrounded stand is formed relative lower air temperature. As a result to make up efficiency lower air temperature area, it is needed to make water area which has surrounded forest, and it is needed to make stand form lower air temperature 2~3 layer forest. In order of arbor, subarbor, shrub, the lower air temperature is more effect.

Spore Dispersion of Tricholoma matsutake at a Pinus densiflora Stand in Korea

  • Park, Hyun;Ka, Kang-Hyeon
    • Mycobiology
    • /
    • 제38권3호
    • /
    • pp.203-205
    • /
    • 2010
  • The spore of Tricholoma matsutake is considered to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mushroom growth cycle, but the mechanism of mycelial development from the spore stage is not yet clarified. In this study, we tried to measure how far the spores of T. matsutake disperse from a fruiting body located at a Pinus densiflora stand in Korea. We established 16 slide glasses coated with glycerin near a fruiting body in four directions separated by four different distance intervals within a mushroom productive stand after removing all other fruiting bodies from three plots. The number of dispersed spores increased with time from the first day (475 $spores/cm^2$) to the fourth day (836 $spores/cm^2$) after the pileus opened. The number of spores dispersed downward was about 1.5 times greater than that dispersed toward the ride. The number of dispersed spores decreased exponentially as the distance from each fruiting body increased. More than 95% of the spores dropped within a meter from the fruiting body, with 75% dropping within 0.5 m. Even so, the number of spores dispersed over 5 m from the fruiting body was more than 50 million when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of spores produced by a fruiting body is about 5 billion.

인간간섭하의 수도권 그린벨트 내 식물군집의 동태 - 삼림군집의 구조와 이차천이 - (Dyamics of Plant Communities under Human Impact in the Green-Belt nearby Seoul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and Secondary Succession-)

  • Kim, Joon-Ho;Yoonsoon Kang;Lee, Sueng-Woo;Cho, Kang-Hyun;Kim, Yongtaek;Saheon Ha;Min, Byeung-Me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4호
    • /
    • pp.209-218
    • /
    • 1989
  •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veral forest types in the green-sbelt nearby Seoul, the vascular plant species data collected preferentially from 52 stands were subjected to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Eight types of forests were arranged on the I/II plane fo DCA stand ordination, Quercus mongolica, Alnus hirsuta, Populus alba $\times$ glandulosa, Robinia pseudo-acacia,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Larix leptolepis and pinus rigida fore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tand scores of DCA and environmental factors revealed that the axis I of DCA stand ordination implied the gradient of altitude,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nd depth of A horizon. The axis II implied the gradient of total nitrogen and soluble phosphorus. The results of PCA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by environmental data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at of DCA by floristic data. The recruitments of Quercus spp. Occurred in all kinds of forest types in the green-belt and their recruitments were closely related with altitutde: Quercus dentata in the foot. Quercus serrata in the midslope and Quercus mongolica in the uperslope of the mountain.

  • PDF

산불발생 후 소나무 피해 및 식생복원 실태분석 (Mortality in Pine Stand and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 이시영;전계원;이명욱;전근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1-79
    • /
    • 2008
  • 산불피해 임지의 식생복원 정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후 임목피해, 식생회복력 등의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나무 고사율은 수간 및 수관의 피해흔적이 심할수록 피해율이 높았다. 산불피해지에 있어서 수관화에 의해 임분이 전소되는 피해를 받은 지역에서의 식생회복은 대부분이 매토종자 및 맹아에 의한 식생의 회복이 진행되었다. 식생회복과 복원력은 전생 임분의 식생상태와 토심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복원의 경우 자작나무 조림지의 경우에는 병충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소나무, 해송 조림지의 경우 입지에 따른 생장차이 보다는 조사지내 개체목간의 생장차이가 다소 나타났다.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이광수;이중효;김석권;배상원;정문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5
    • /
    • 2009
  •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한국 소나무림의 입지환경과 임분구조 (The Site Characteristics and Stand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the Republic of Korea)

  • 권기철;한성안;이돈구;정인권;서용진;홍의표;최환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4호
    • /
    • pp.496-503
    • /
    • 2021
  • 소나무는 우리나라 자생수종 중 모든 지역에서 가장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소나무림의 입지환경 및 임분구조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2016년~2020년)를 수행하며 얻은 자료를 활용하여 흉고단면적 기준으로 소나무가 50% 이상인 조사구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 15,139개 표본점 중 소나무림으로 분류된 원형조사구(400 m2) 수는 3,665개소이다. 소나무림은 해발 600 m 이하의 낮은 지역의 산림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평균 출현율 25%). 해발 800 m 이상에서는 주로 남사면과 서사면에 분포했고(57%), 해발고가 낮은 지역에서는 모든 사면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나무림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33%), 양토(29%), 미사질양토(24%)였고, 양분 수준은 다소 척박했다. 소나무와 함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난 수종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잔털벚나무, 밤나무 등의 순이었다. 소나무, 곰솔, 리기다소나무 등은 소나무림에서 대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물푸레나무 등은 중경급의 주요 수종이며, 노간주나무와 때죽나무는 소경급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었다. 소나무림에서 하층을 주로 점유하는 수종은 진달래, 졸참나무,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개옻나무, 철쭉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굴참나무 맹아갱신지의 벌기령 추정 (Analysis of the Final Cutting Ages in Quercus variabilis Coppice Forests)

  • 박준형;정상훈;김선희;김형호;이상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9권4호
    • /
    • pp.468-476
    • /
    • 2020
  • 본 연구는 굴참나무 임분밀도관리도 개발을 통해 맹아갱신림의 경영목표별 벌기령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된 표준지 조사자료는 분석용 자료 603개소와 검증용 자료 113개소로 분류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임분밀도관리도의 개발과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임분밀도관리도 구성 모델의 설명력(R2)은 등평균수고곡선식 0.732, 등평균직경곡선식 0.990으로 분석되었다. 재적 생산 최대 벌기령을 분석한 결과, ha당 900본의 맹아 잔존 시 42~44년으로 나타났고, ha당 1,800본을 잔존한 경우 38~42년으로 분석되었다. 3등급재 원목을 생산목표로 설정하였을 때의 벌기령은 지위지수 16일 때 25~28년이 소요되었고, 지위지수 14는 29~33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굴참나무 맹아갱신 임분의 경영계획 수립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