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ragment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2초

진주시 도시공원의 토양 탄소저장량과 토양성질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oil Carbon Storage and Soil Properties of Urban Parks in Jinju-si, Gyeongsangnam-do)

  • 안소은;이정민;김춘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5-123
    • /
    • 2022
  • 도시 공원지역의 토양 탄소저장량을 평가하기 위해 경상남도 진주시 하대공원(1977년 조성), 송림공원(1990년 조성), 평거공원(1992년 조성), 초전공원(2005년 조성) 등을 대상으로 0~30cm 깊이의 토양 성질 및 토양 탄소 저장량을 조사하였다. 토양 용적밀도는 공원 간 차이가 없었으나 석력함량, 토양 pH, 토양 전기전도도 등은 가장 최근에 조성된 초전공원이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토양 탄소 농도는 조사한 모든 깊이에서 조성연도가 가장 오래되고 미사함량이 높았던 하대공원이 평거공원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다. 토양 0~30cm 깊이의 평균 탄소 농도는 하대공원 1.04%, 초전공원 0.87%, 송림공원 0.75%, 평거공원 0.57%이었다. 토양 탄소저장량은 0~10cm 깊이의 경우 공원 간 차이가 없었으나, 10~20cm와 20~30cm 깊이는 하대공원이 타 공원에 비해 높은 저장량을 보였다. 총 탄소저장량은 하대공원이 28,425 kg C ha-1으로 송림공원의 20,561 kg C ha-1이나 평거공원 15,622 kg C ha-1에 비해 높았다. 평균 토양 탄소 농도 및 탄소 저장량은 미사함량과 정의 상관을 모래함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진주시의 공원지역의 탄소저장량의 증가는 조성연도나 토양 내 미사함량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삼림생태계에 있어서 양분순환에 관한 연구 1. 생식기관의 분해-수양버들 (Studies on the Nutrient Circulation in the Forest Ecosystem 1. On the Decomposition of Sexual Organ-Salix babylonica)

  • Young-Deuk R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1_2호
    • /
    • pp.33-37
    • /
    • 1981
  • 본 연구는 수양버들 꽃의 분해에 따르는 성분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양버들 꽃의 분해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분해 40일에는 그 완전한 형태를 알아보기 어려웠다. 2. 분해 40일후의 시료의 무게는 50%의 감소를 나타냈으며 작열소실량도 초기에는 급감하였다가 점차로 감소하였다. 3. 탄소함량은 초기 20일간에 반감하였으며 그 후 20일간도 급감하였다. 4. 총질소와 인의 함량변화는 초기에 완만하였으나 (초기 20일간) 그 후에는 급감하였다. 이상과 같은 현상은 수양버들 꽃이 수분. 질소. 인의 함량이 높을뿐 아니라 비교적 온도가 높기때문에 분해가 빠른것으로 사료된다.

  • PDF

Mask 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CNN) Based Image Segmentation of Rays in Softwoods

  • Hye-Ji, YOO;Ohkyung, KWON;Jeong-Wook, SEO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6호
    • /
    • pp.490-498
    • /
    • 2022
  • The current study aimed to verify the image segmentation ability of rays in tangential thin sections of conifer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he applied model was Mask region-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ask R-CNN) and softwoods (viz. Picea jezoensis, Larix gmelinii, Abies nephrolepis, Abies koreana, Ginkgo biloba, Taxus cuspidata, Cryptomeria japonica, Cedrus deodara,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o take digital pictures, thin sections of thickness 10-15 ㎛ were cut using a microtome, and then stained using a 1:1 mixture of 0.5% astra blue and 1% safranin. In the digital images, rays were selected as detection objects, and Computer Vision Annotation Tool was used to annotate the rays in the training images taken from the tangential sections of the woods. The performance of the Mask R-CNN applied to select rays was as high as 0.837 mean average precision and saving the time more than half of that required for Ground Truth. During the image analysis process, however, division of the rays into two or more rays occurred. This caused some errors in the measurement of the ray height. To improve the image processing algorithms, further work on combining the fragments of a ray into one ray segment, and increasing the precision of the boundary between rays and the neighboring tissues is required.

Rapid and Efficient Detection of 16SrI Group Areca Palm Yellow Leaf Phytoplasma in China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 Yu, Shao-shuai;Che, Hai-yan;Wang, Sheng-jie;Lin, Cai-li;Lin, Ming-xing;Song, Wei-wei;Tang, Qing-hua;Yan, Wei;Qin, Wei-qu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5호
    • /
    • pp.459-467
    • /
    • 2020
  • Areca palm yellow leaf (AYL) disease caused by the 16SrI group phytoplasma is a serious threat to the development of the Areca palm industry in China. The 16S rRNA gene sequence was utilized to establish a rapid and efficient detection system efficient for the 16SrI-B subgroup AYL phytoplasma in China by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The results showed that two sets of LAMP detection primers, 16SrDNA-2 and 16SrDNA-3, were efficient for 16SrI-B subgroup AYL phytoplasma in China, with positive results appearing under reaction conditions of 64℃ for 40 min. The lowest detection limit for the two LAMP detection assays was the same at 200 ag/μl, namely approximately 53 copies/μl of the target fragments. Phytoplasma was detected in all AYL disease samples from Baoting, Tunchang, and Wanning counties in Hainan province using the two sets of LAMP primers 16SrDNA-2 and 16SrDNA-3, whereas no phytoplasma was detected in the negative control. The LAMP method established in this study with comparatively high sensitivity and stability, provides reliable results that could be visually detected, making it suitable for application and research in rapid diagnosis of AYL disease, detection of seedlings with the pathogen and breeding of disease-resistant Areca palm varieties.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Microsporidian Isolates from the Indian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as Revealed by RAPD Fingerprinting Technique

  • Hassan, Wazid;Nath, B. Surendra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9권2호
    • /
    • pp.169-178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genetic diversity of 22 microsporidian isolates infecting tropical tasar silkworm, Antheraea mylitta collected from various geographical forest locations in the state of Jharkhand, India,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marker assay: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A type species, NIK-1s_mys was used as control for comparison. The shape of mature microsporidians was found to be oval to elongate, measuring 3.80 to $5.10{\mu}m$ in length and 2.56 to $3.30{\mu}m$ in width. Of the 20 RAPD primers screened, 16 primers generated reproducible profiles with 298 polymorphic fragments displaying high degree of polymorphism (97%). A total of 14 RAPD primers produced 45 unique putative genetic markers, which were used to differentiate the microsporidians. Calculation of genetic distance coefficients based on dice coefficient method and clustering with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verage (UPGMA) analysis was conducted to unravel the genetic diversity of microsporidians infecting tasar silkworm. The similarity coefficients varied from 0.059 to 0.980. UPGMA analysis generated a dendrogram with four microsporidian groups, which appear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well as from NIK-1s_mys. Two-dimensional distribution based on Euclidean distance matrix also revealed considerable variability among different microsporidians identified from the tasar silkworms. Clustering of few microsporidian isolates was in accordance with the geographic origi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APD profiles and specific/unique genetic markers can be used for differentiating as well as to identify different microsporidians with considerable accuracy.

Genotyping-by-sequencing 기법을 이용한 사시나무(Populus davidiana) 유전연관지도 작성 및 양적형질 유전자좌 탐색 (Construction of Genetic Linkage Map and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in Populus davidiana using Genotyping-by-sequencing)

  • 김수비;김양길;이다영;이혜진;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40-56
    • /
    • 2023
  • 사시나무속 수종은 생장이 빠르고 우수한 탄소흡수 능력을 보여주며, 환경정화 효과가 큰 수종으로 이상기후 및 환경오염 문제에 대응하는 기후적응성 품종개발 및 육종집단 조성에 적합하다. 따라서 유전연관지도 작성 및 양적형질 유전자좌 탐색을 통하여 포플러 육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 방법인 genotyping-by-sequencing 기법을 이용해 인공교배 차대에 대한 고밀도 유전연관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사시나무의 수고와 근원경 생장 그리고 해충피해에 대한 회복력 형질을 조사하여 유전연관지도에 위치한 양적형질 유전자좌를 탐색하였다. 서울대학교 학술림에 조성된 사시나무 4년생 육종집단(오대19 × 봉현4 인공교배 차대집단)에서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을 조사하였으며, 식엽성 해충인 꼬마버들재주나방 유충의 피해를 받은 후 이에 대해 회복 능력을 조사하였다. 잎 시료의 DNA 추출 후 5개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확인하였으며 친자로 확인된 개체만을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친자 확인이 완료된 시료의 DNA는 제한효소를 이용해 절단하였으며, 이렇게 얻은 DNA 조각들은 GBS 라이브러리로 제작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Populus trichocarpa를 참조유전체로 하여 정렬하였다. 정렬된 SNP 마커는 총 58,040개였으며, 그 가운데 17,755개의 SNP 마커를 유전연관지도 작성에 사용하였다. 유전연관지도는 19개의 연관군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 길이는 2,129.54 cM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세 가지 형질에 대한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고와 근원경 생장과 연관된 양적형질 유전자좌는 찾을 수 없었으나 전장유전체연관연구(GWAS)를 통하여 4번 연관군(염색체)에 해충피해 회복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을 이용한 구지뽕나무와 무궁화의 클론감별 (Clone Identification of Cudraria Tricuspidata and Hibiscus Syriacus by Using PCR and Southern Hybridization)

  • 류장발;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1호
    • /
    • pp.42-46
    • /
    • 1998
  • 본 연구는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와 Southern hybridization을 이용하여 서로 붙어있는 나무가 한 나무인지 두 나무인지 규명하였다. 공시된 수종은 구지뽕나무와 무궁화이다. 구지뽕나무는 경상북도 성주군 금수면 봉두리 안새출 금수식당 앞에 있는 나무로 두 사람이 서로 안고 있는 형상인데, 한 나무의 두 가지인지 가까이 자란 두 나무가 붙었는지를 구별하기 어려운 나무였다. 다섯 종류의 PCR primer $(17{\sim}24-mers)$ 중 355 primer의 경우 한가지의 잎 DNA에서만 PCR 산물이 검출되어 이것을 방사선표지한 후 genomic Sou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였던 바 이 probe와 결합하는 DNA 단편이 동일한 위치에서 검출되었으나 정도는 다르게 나타났다. 아울러 OPERON 10-mer kits A에 있는 20종류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행한 결과 OPA01 primer (CAGGCCCTTC)에 의한 PCR 생성물은 동일한 위치의 band 뿐만 아니라 추가로 4개가 한가지의 잎 DNA에서 더 나타났다. 따라서 구지뽕나무는 두 나무가 연결되어 한 나무를 이루는 것으로 짐작된다. 또한 무궁화는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두곡리 청덕초등학교 내에 있는데 수령 50년 이상으로 멀리서 보면 한 나무의 형상을 하고 있으나, 가까이 다가가서 줄기의 아래부분을 보면 세 줄기가 붙어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무궁화 역시 한 나무의 세 가지인지 세나무가 가까이 자라 붙었는지 PCR과 Southern hybridization 방법을 이용하여 규명하려 하였다. Southern hybridization 결과에 의하면 구지뽕나무의 분석에 사용한 probe와 결합하는 DNA 단편은 검출되지 많았으며, 35S primer에 의한 PCR 생성물은 동일하였으나 OPA04와 OPA13 primer의 경우 약간의 상이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무궁화는 한 나무의 세 가지인 듯하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한국잔디 중지 변이개체와 연관된 RAPD-SCAR 마커 (RAPD-SCAR Markers Linked to Medium-Leaf Zoysiagrass Ecotypes)

  • 정성진;박수정;김헌중;양근모;최준수;오찬진;장덕환;송인자;이긍주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2권2호
    • /
    • pp.191-197
    • /
    • 2013
  • 한국 잔디 신품종 개발 목적으로 전라남도 장성군 삼서면 일대 한국잔디 중지류 생산포장에서 선발한 생육 및 피복속도가 빠르고 밀도 또는 가을철 녹색기간이 긴 2개 우량계통을 대상으로 DNA 수준에서 기존 중지류 또는 한국잔디들과 차이를 살펴보고 신품종 특이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DNA 염기서열을 기반으로 RAPD-SCAR 마커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RAPD 프라이머를 스크리닝 한 결과 N8021와 N8001 프라이머가 CY6069와 CY6097 품종 각각에 특이적인 DNA 절편을 약 600 bp와 700 bp 부근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특이 밴드는 TA-cloning vector에 삽입 후 대장균에 형질전환하여 배양하였고, 이로부터 추출된 플라스미드 DNA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중지류 신품종 특이 SCAR 마커 프라이머를 작성하였다. CY6069 선발 품종 특이 SCAR 마커(CY6069_550)는 다른 한국잔디 들잔디(야지), 한국잔디 중지, 갯잔디, 금잔디에서는 보이지 나타나지 않았던 식별 가능한 밴드를 보였고(550 bp), CY6097 선발 품종 식별을 위한 SCAR 마커(CNU70-6_1500)도 CY6097 계통에서만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DNA 밴드를 약 700 bp 부근에서 증폭할 수 있었다. 형태 및 생육특성 차이와 함께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RAPD-SCAR 마커를 활용하면 선발된 중지류 한국잔디 CY6069와 CY6097 계통을 실험실내에서 PCR을 통해 유전자원 식별 및 원산지 증명이 가능해졌고 영양번식을 통해 주로 번식하는 난지형 잔디 생산 포장에서 품종의 혼입으로부터 정확하게 분리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