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res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102초

통계자료에 의한 기상과 산불특성의 관련성 -전라남도지방을 중심으로- (The Studies on Relationship Between Forest Fire Characteristics and Weather Phase in Jeollanam-do Region)

  • 이시영;박흥석;김영웅;윤화영;김종갑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4호
    • /
    • pp.29-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변화와 산불특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상요소와 산불 발생자료 (시간, 원인)를 분석한 결과, 최고온도 상승과 상대습도 감소로 인해 산불발생의 위험성이 높은 기후조건이 형성되었으며, 산불은 최고기온 $10{\sim}20^{\circ}C$에서, 상대습도 40~60% 에서, 평균풍속 2 m/s이하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이러한 기상조건은 강우 후에 2~3일이면 산불발생 위험이 높은 기상조건이 형성되었다.

재난예측 기술 개발 및 서비스 제공 동향 (Trends in Disaster Prediction Technology Development and Service Delivery)

  • 박소영;홍상기;이강복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1호
    • /
    • pp.80-88
    • /
    • 2020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trends and service provision examples of disaster occurrence and spread prediction technology for various disasters such as tsunamis, floods, and fires. In terms of fires, we introduce the WIFIRE system, which predicts the spread of large forest fir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Metro21: Smart Cities Institute project, which predicts the risk of building fires.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trends in tsunami prediction technology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predict the occurrence and size of tsunamis that cause great damage to coastal cities in Japan, Indonesia, and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it introduces the NOAA big data platform built for natural disaster prediction, considering that the use of big data is very important for AI-based disaster prediction. In addition, Google's flood forecasting system, domestic and overseas earthquake early warning system development, and service delivery cases will be introduced.

An Extraction of Solar-contaminated Energy Part from MODIS Middle Infrared Channel Measurement to Detect Forest Fires

  • Park, Wook;Park, Sung-Hwan;Jung, Hyung-Sup;Won, Joong-Su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9-55
    • /
    • 2019
  • In this study, we have proposed an improved method to detect forest fires by correcting the reflected signals of day images using the middle-wavelength infrared (MWIR) channel. The proposed method is allowed to remove the reflected signals only using the image itself without an existing data source such as a land-cover map or atmospheric data. It includes the processing steps for calculating a solar-reflected signal such as 1) a simple correction model of the atmospheric transmittance for the MWIR channel and 2) calculating the image-based reflectance. We tested the performance of the method using the MODIS product. Whe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ODIS fire detection algorithm (MOD14 collection 6), the total number of detected fires was improved by approximately 17%. Most of all, the detection of fires improved by approximately 30% in the high reflection areas of the images. Moreover, the false alarm caused by artificial objects was clearly reduced and a confidence level analysis of the undetected fire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d much better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 would be applicable to most satellite sensors with MWIR and thermal infrared channels. Especially for geostationary satellites such as GOES-R, HIMAWARI-8/9 and GeoKompsat-2A, the short acquisition time would great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fire detection algorithm because reflected signals in the geostationary satellite images frequently vary according to solar zenith angle.

굴참나무 잎의 열분해 및 연소 특성 연구 (Pyrolysis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an Oriental Oak Leaf)

  • 서영훈;박진모;이명욱;김진수;김승수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75-580
    • /
    • 2010
  • 우리나라는 전국토의 70%가 산림지역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산불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그 규모 또한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산림 내에 퇴적된 낙엽, 초본류, 침엽수 및 활엽수 등이 산불발생 시 매개체가 되며, 이들 수종별 연소 및 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발표에서는 국내 산림의 대표적 활엽수인 굴참나무 잎을 대상으로 TGA를 이용해 열분해반응 및 연소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굴참나무 잎은 $239^{\circ}C$ 부근에서 발화가 시작되며 열분해는 $250^{\circ}C$에서부터 시작되었다. TGA 분석으로부터 얻은 실험데이터는 미분법을 적용하여 전화율 변화에 따라 활성화에너지와 전지수인자를 계산하였다. 열분해반응에서 활성화에너지는 전화율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연소과정에서의 활성화에너지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지역 및 고도별 산불로부터 온실가스 배출량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rest Fires Depending on Region and Altitude)

  • 박영주;이해평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2-188
    • /
    • 2012
  • In this study we analyzed carbon emissions of leaves of a Pinus densiflora which is vulnerable to a forest fire using the cone calorimeter in order to analyze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forest fires depending on region and altitude. Fuels were collected from 9 regions[Hongcheon(Gangwon-do), Chungsong(Gyeongbuk-do), Yanhpyeong (Gyeonggi-do), Jecheon(Chungchongbuk-do), Gongju(Chungcheongnam-do), Wuju(Jeollabuk-do), Youngam(Jeollanam-do), Busan and Jeju-do)] and 9 altitudes(80 m, 450 m, 900 m, 1000 m, 1100 m, 1200 m, 1300 m, 1400 m and 1500 m) and then,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contained in a weight of 50 g of fuel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bon emissions by regional groups, as the averag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in 9 regions were nearly 43.5929 g to 52.8868 g, and 0.8842 g to 3.6422 g, respectively. Busan and Jecheon had relatively higher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especially, Busan had 1.23 times higher carbon dioxide emissions than Jeju-do. Also, Gongju, Chungcheongnamo Province and Busan had relatively higher carbon monoxide emissions and especially, Gongju and Pusan had relatively higher carbon monoxide emissions and especially, Gongju had 4.12 higher carbon monoxide emissions than Hongcheon.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carbon emissions too depending on altitude, since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in 9 altitudes were respectively, 40.7015 g to 68.9297 g and 1.3923 g to 12.2918 g. At the altitude of 80m,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were respectively, 68.9297 g and 12.2918 g, and at the altitude of 450m, carbon dioxide and carbon monoxide emissions were respectively, 65.5115 g and 11.2497 g. These results show that pine trees at the lower altitude discharge relatively more carbon. It is considered that this analysis on carbon emissions depending on region and altitud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redic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stablishing statistical data from forest fires in each region and altitude.

우리나라 산불 발생의 지역별 공간자기상관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Regional Spatial Autocorrel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 김문일;곽한빈;이우균;원명수;구교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37
    • /
    • 2011
  • 우리나라 산불관리의 주체는 관할시도 행정자치 단체이므로, 산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산불 발생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 산불 발생패턴을 분석하기 위해서, 행정구역도를 기반으로 전국을 9개로 분할하고, 각 권역에서 1991년부터 2008년까지 발생한 산불의 위치 data를 사용해서 공간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산불 발생 자료의 공간 분포는 베리오그램을 통해 분석하였고, 도출된 공간자기상관성을 가지고 Kriging 기법을 통해 산불발생위험을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대도시를 포함하는 권역에서는 산불이 강한 공간상관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강원도, 제주도, 충청북도 등의 대도시를 포함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산불의 공간상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VESTAP을 활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제주도 산불 취약성 평가 연구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est Fire in Jeju to Climate Change using the VESTAP)

  • 임채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1호
    • /
    • pp.57-6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서 가장 최근에 배포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프로그램인 VESTAP을 활용하여 RCP 8.5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2000년대에서 2040년대까지 제주시 및 서귀포시에 대한 산불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된 취약성 지수는 표준화 작업을 통해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종합한 제주도 전체 읍면동의 산불 취약성 평가에 활용하였는데, 취약성이 높은 상위 10개 읍면동으로 제주시는 도서지역인 추자면과 우도면 그리고 2개의 동지역이, 서귀포시는 대정읍과 5개의 동지역이 산불에 대한 취약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당지동의 산화적지의 이차식생 (The Secondary Vegetation of the Burned Area of a Mountain in Dangji-Dong)

  • Kim, Woe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6권3호
    • /
    • pp.187-197
    • /
    • 1983
  • This report is a series of the investigation of the secondary vegetation and succession at the forest fire area in Dangji-Dong of Kyungsang-pookdo province. The forest fires occurred on April 8, 1982.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rom June 18, 1982 to May 29, 1983 once in each season. Before to fires, the Pinus densiflora was dominant and the woody plants of understory were mainly composed of the Quercus serrata, Q. dentata, Lespedeza maritima and L. macimowiczii. Compared with the florstic composition between the unburned and burned areas after the fire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unburned area comprises: 79 families, 194 genera, 223 species, 26 varieties and 6 formae (255 kinds of vascular plants). The index of similary shows 0.77 (S$\Phi$renson:1948) in this area. The analyses of the life-form compositions in the unburned and burned area show 32.9% and 29.3% in dormancy form (H), 42.4% and 37.7% in disseminule form($D_1$), 80.8% and 82.2% in radicoid form ($R_5$), and 57.7% and 61.8% in erect form(e) respectively. The biological type shows H-$D_1$-R5-e, which is common in both areas, and erect form is generally prevailing in these communities.

  • PDF

산불피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울진⋅삼척 산불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Disaster Victims' Quality of Life: The Uljin and Samcheok Forest Fires)

  • 강희지;김동훈;하재옥;김창휴;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105-116
    • /
    • 2023
  • 산불의 규모가 대형화됨에 따라 산불은 산림뿐만 아니라 인명 및 재산, 심리적으로 피해를 주는 재난으로 변화하였다. 이에 따라 산불복구과정에서 정부의 지원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생태학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산불피해자 관점을 고려하여 피해자들의 삶의 질을 신속하게 복구시키는 것이 중요한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울진·삼척 산불피해자 195명을 대상으로 정부의 지지, PTSD 및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 연구모형에서는 정부의 지지에서 PTSD와 회복탄력성을 거쳐 삶의 질에 이르는 표준화된 총효과가 .417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별로는 정부의 지지에서 회복탄력성을 경유하여 삶의 질까지의 효과가 .172로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잠재변수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회복탄력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정부의 지지도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회복탄력성과 정부의 지지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