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ynamics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5초

REMOTELY SENSED INVESTIGATIONS OF FOREST CANOPY DENSITY DYNAMIC IN TROPIC COMBINE WITH LANDSAT AND FIELD MEASUREMENT DATA

  • Panta, Menaka;Kim, Hye-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102-105
    • /
    • 2006
  • Forest canopy density is an essentially important for maintaining the diversify flora and fauna in the tropic. But, the natural and human disturbances have an influence over the inconsistency of forest canopy density. So, forest canopy density (FCD) has been threatened in the tropic since a decad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ynamics change of the forest canopy density in tropical forest Chitwan, Nepal combine with field survey and remote sensing data. The field survey data of 2001 such as canopy cover percentage, dbh so on and some human disturbances were used. Similarly, Landsat TM 1988 and ETM+ 2001 have also used to predict the dynamic changes of the FCD over the period. Moreover, nonparametric Kruskal- Wallis test has performed for the validation of the results. Data analysis revealed that very few factors i.e. the number of trees, path, and fire had realized statistically significance at P=<0.05. Therefore we concluded that detail analysis could be needed incorporate with additional socioeconomic, climatic, biophys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orest canopy dynamic in particular location.

  • PDF

잣나무솔잎벌, Diprion hani (Hymenoptera: Diprionidae), 대발생지 특성과 기생천적인 가시꼬리좀벌에 대한 보고 (Characteristics of the Outbreak Area of Diprion hani (Hymenoptera: Diprionidae) and a Report of its Torymid Parasitoid)

  • 이정수;김일권;최원일;장석준;최광식;신상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9-162
    • /
    • 2010
  • 잣나무솔잎벌(Diprion hani Smith and Cho)은 2007년 최초 발생이 보고되었으며 신종으로 기재되었다. 2007년 9월초 대발생 후 밀도가 극히 낮아져 2008년 야외조사에서 잣나무솔잎벌 개체는 거의 채집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잣나무솔잎벌 대발생 지역 특성 구명을 위해 피해지 위치정보, 우점 수종, 온도, 강우 등 환경 인자들이 조사되었다. 발생지역은 경기도 양평, 강원도 횡성, 충북 제천 3지역 모두 중부내륙지역 반경 25 km에 모여있었다. 피해수종은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 Zucc.)였으며, 발생지역 모두 인공 조림지였다. 2007년도 3지역의 잣나무조림지의 온도는 지난 30년간 월 평균 평균온도보다 $1.3^{\circ}C$ 높았고 연간강우량은 384 mm 높았다. 또한 솔잎벌과 종들의 고치에 다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가시꼬리좀벌(Monodontomerus dentipes (Dalman))이 잣나무솔잎벌에 기생함이 밝혀졌다.

탈수소효소(脫水素酵素), 탈질균(脫窒菌) 및 황산환원균(黃酸還元菌)의 정량(定量)을 통(通)한 온산공단(溫山工團)과 마니산(摩尼山) 산림토양(山林土壤)의 동태(動態) 조사(調査) (Investigation on Forest Soil Dynamics at Onsan Industrial Estate and Mt. Mani by the Assay of Dehydrogenase Activity, Denitrifying and Sulfur-Reducing Bacteria)

  • 박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1호
    • /
    • pp.106-112
    • /
    • 1998
  • 본 연구는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탈질소, 황 환원에 관여하는 세균류 및 탈수소효소 활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궁극적으로는 산림 토양생태계의 동태를 평가하는 도구로 탈수소효소를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오염지역으로 여겨지는 온산공단 주변과 해안의 청정지역인 강화도 마니산에서 각각 침엽수림과 활엽수림을 산정, 총 4개 임분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는데, 마니산 토양은 온산공단 주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기물, 질소, 유효인산 등의 함량이 높아 미생물의 활동에 유리한 것으로 여겨졌다. 한편, 탈질균이나 황산환원균은 지역간 차이가 없었던 반면, 탈수소효소의 활성은 지역이나 시기에 따른 변화를 뚜렷이 나타내어 두 종류의 미생물 정량기법에 비하여 훨씬 민감하게 나타났다. 또한, 탈수소효소는 미생물의 활성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유기물함량(r=0.53. p=0.004), 전질소(r=0.41. p=0.008)나 C/Ava. P 비율(r=-0.52. p=0.001) 등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비슷한 토성을 지녀야 비교가 가능하다는 다른 연구자들의 지적을 감안하여 수행한다면, 토양생태계의 동태를 파악하는 지표로서 탈수소효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PDF

유동장(流動場) 해석(解析)을 통한 산불확산예측(擴散豫測) 프로그램의 개발(開發) (A Study on Fire Spreading Prediction Program by Flow Field Analysis)

  • 김응식;이시영;임효재;김홍;송종훈;김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4호
    • /
    • pp.528-534
    • /
    • 1998
  • 산불 확산의 인자 중에 바람과 경사면은 가장 중요한 인자들로 고려된다. 일반적으로 복잡한 산악지형에서는 동일한 경사면이라도 서로 다른 분포의 바람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데이타를 이용한 산림내 각 지역에서의 풍향 풍속의 유동장을 계산하여 산불확산을 예측하였으며 그 결과 값을 사용하여 ROS(Rate Of Spread)실험식이 적용된 산불 확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이를 실제 산불확산에 적용하여 90%이상의 일치성을 확인하였다.

  • PDF

Carbon Storage in an Age-Sequence of Temperate Quercus mongolica Stands in Central Korea

  • Kim, Sung-geun;Kwon, Boram;Son, Yowhan;Yi, Myong J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6호
    • /
    • pp.472-480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carbon storage in Quercus mongolica stands based on stand age clas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carbon balance of broad-leaved forests of Korea.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al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ngcheon-gun County, Gangwon-do Province, Korea. Three plots were set up in each of three Q. mongolica forest stands (III, V, and VII) to estimate the amount of carbon stored in Q. mongolica aboveground vegetation, coarse woody debris (CWD), organic layer, mineral soil, and litterfall. The carbon storage of the aboveground vegetation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stand age, while the carbon storage ratio of stems decreased. The carbon storage of the organic layer, CWD, and litterfall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ge classes. In addition, the carbon concentration and storage in the forest soils decreased with depth,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age classes for any soil horizon. Finally, the total carbon storage in the III, V, and VII stands of Q. mongolica were 132.2, 241.1, and $374.4Mg\;C\;ha^{-1}$, respectively. In order to predict and effectively manage forest carbon dynamics in Korea, further study on deciduous forests with other tree species in different regions will be needed.

건축허가면적(建築許可面積)의 변화(變化)가 임산물(林産物) 수입(輸入)에 미치는 영향(影響) (Impacts of the Building Permit Area Change on the Forest Products Import Quantities in Korea)

  • 김동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217-226
    • /
    • 2001
  • 이 연구는 건축허가면적의 변화가 임산물수입량에 마치는 영향을 우리나라 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번째 목적은 건축허가면적의 변화가 임산물수입량 변화의 원인이 되는지, 즉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고, 두번째 목적은 건축허가면적의 변화가 임산물수입량에 얼마만큼 얼마동안 영향을 미치는지, 즉 동태적 영향을 추정하는 것이다. 건축허가면적과 임산물수입량의 관계는 자기회귀모형이나 오차수정모형에 의해 만들어졌다. 인과관계 파악은 Granger가 고안한 인과성검정을 이용하였고, 동태분석은 분산분해분석과 충격반응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건축허가면적의 변화는 임산물 중에서 고밀도섬유판수입량 변화의 원인이 되었다. 고밀도섬유판의 경우에 어느 시기의 수입량은 그 시기 이전의 건축허가면적에 의해 10%, 그 시기 이전의 수입량에 의해 90% 가량 설명되었다. 또한 건축허가면적의 변화는 고밀도섬유판수입량에 6개월까지 영향을 미쳤다. 즉 건축허가면적의 변화가 고밀도섬유판수입량에 영향을 미쳤더라도 단기간에 불과했다.

  • PDF

광릉 천연활엽수림의 낙엽낙지와 낙엽분해에 따른 양분동태 (Nutrient Dynamics in Litterfall and Decomposing Leaf Litter at the Kwangneung Deciduous Broad-Leaved Natural Forest)

  • Choonsig Kim;Jong-Hwan Lim;Joon Hwan Shin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7-93
    • /
    • 2003
  • 산림생태계에서 낙엽낙지의 유입과 유입된 낙엽낙지의 분해는 산림의 주요한 탄소 및 양분의 공급원이다. 본 연구는 온대중부지역에 속하는 경기도 광릉의 천연 활엽수림에 위치한 DK-site를 대상으로 2년 동안 연 낙엽낙지 유입량과 낙엽분해율을 측정하였다. 낙엽낙지량은 원형의 낙엽수집기(수집면적 0.25$m^2$)를 낙엽분해 율은 10${\times}$30 cm 크기의 낙엽분해주머니(메쉬 1.5 mm)를 이용하였다. 광릉 장기생태연구조사구의 연 낙엽낙지량은 5,627 kg/ha/yr로 이중 순수한 엽량은 총 낙엽낙지량의 61%를 차지하였다. 수종별 유입량은 본 조사구의 우점종인 졸참나무 잎이 가장 많은 양을 보였으며 서어나무, 까치박달 순이었다. 낙엽분해율은 서어나무, 까치박달 낙엽이 졸참나무 낙엽에 비해 분해속도가 빨라 2년의 조사기간 동안 까치박달 낙엽 84%, 서어나무 낙엽 77%, 졸참나무 낙엽 48%가 분해되었다. 졸참나무 낙엽의 분해가 느리게 진행된 것은 타수종의 낙엽에 비해 졸참나무 낙엽내 낮은 양분함량 같은 기질의 차가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칼륨을 제외한 양분(N, P, Mg)함량은 분해 초기함량에 비해 낙엽분해과정동안 증가하였다. 또한 낙엽분해과정동안 양분(N, P, K, Ca, Mg)의 방출량은 까치박달과 서어나무낙엽이 졸참나무낙엽에 비해 신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광릉장기생태연구 조사구내 우점종의 낙엽분해와 양분의 동태는 동일한 입지에 있어서도 수종간에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자율(利子率)의 변화(變化)가 임산물수입(林産物輸入)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the Interest Rate Change on the Forest Products Import Quantities in Korea)

  • 김동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5호
    • /
    • pp.663-671
    • /
    • 2001
  • 이 연구는 이자율의 변화가 임산물수입량에 미치는 영향을 우리나라 시장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첫번째 목적은 이자율의 변화가 임산물수입량 변화의 원인이 되는지, 즉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고, 두번째 목적은 이자율의 변화가 임산물수입량에 얼마만큼 얼마동안 영향을 미치는지, 즉 동태적 영향을 추정하는 것이다. 이자율과 임산물수입량의 관계는 자기회귀모형에 의해 만들어졌다. 인과관계 파악은 인과성검정을 이용하였고, 동태분석은 분산분해분석과 충격반응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이자율의 변화는 임산물 중에서 합판수입량 변화의 원인이 되었다. 합판의 경우에 어느 시기의 수입량은 그 시기 이전의 이자율에 의해 20%, 그 시기 이전의 수입량에 의해 80% 가량 설명되었다. 또한 이자율의 변화는 합판수입량에 6개월까지 영향을 미쳤다. 즉 이자율의 변화가 합판수입량에 영향을 미쳤더라도 단기간에 불과했다.

  • PDF

독일 아이펠의 지역적 관리에 따른 유럽너도밤나무 숲의 생장변화 추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개발 (Development of Simulation for Estimating Growth Changes of Locally Managed European Beech Forests in the Eifel Region of Germany)

  • 변재균;마티나 로스 니콜;리차드 오터만스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17
    • /
    • 2024
  • 숲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경영하기 위해서는 나무생장 변화에 대한 신뢰성 있는 예측이 필요하다. 독일의 아이펠 지역에서는 주요 목재종인 유럽너도밤나무가 식재되어 관리되어 지고 있다. 본 지역의 산림관리자의 실제 산림경영의 경험과 조언을 토대로, 다양한 산림 관리에 따른 단기 및 장기 효과를 예측하고자 지역 특수성을 지니는 시뮬레이션 모델의 접근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은 (1) 묘목 생성, (2) 나무 사멸 조절 (3) 나무 생장의 세 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산림관리자에 의해 제공된 너도밤나무 숲의 실제 부피 변화를 근사화하기 위해 다양한 변수(나무수, 나무간 거리, 씨앗의 분포, 경쟁)를 반복적으로 수정하여 세 가지 모듈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시뮬레이션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유럽너도밤나무 숲의 350년을 모의하여 생장 변화를 예측하였으며, 아이펠 지역의 세 가지 다른 관리 방법 (숲을 보호한 상태에서 목재벌채, 선택적 벌목, 보호림)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을 때 모의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나무 생장의 변화가 현실적으로 잘 반영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미래에 장기간 실제 축적된 산림 데이터를 획득하여, 검증과 보정의 과정을 반복한다면 더 높은 정확도의 지역 맞춤형 모델이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