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desol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남북한 산림정책의 전개과정과 북한의 산림황폐지 실태 (Developmental Process of Forest Policy Direction in Korea and Present Status of Forest Desolation in North Korea)

  • 최인화;우종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35-49
    • /
    • 2007
  • 본 연구는 역사적 관점에서 남북한의 분단 이전과 이후의 산림정책 방향의 전개과정과 북한의 산림황폐지 실태를 고찰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국은 1900년대 전반 일제의 강점 하에서 식민지 임정기를 통해 많은 산림이 황폐되었고, 1945년 국토의 분단으로 남 북한은 서로 다른 체제에서 각각의 임정이 전개되었다. 한국(남한)은 1950년대 말까지 한국동란 등 사회경제적 혼란으로 인한 임정의 정체기, 1960년대는 사회경제적 안정과 성장을 배경으로 산림법제의 정비 등 임정기반의 확립기, 1970~80년대는 국토녹화의 성공적 수행으로 녹화임정기, 그리고 1990년대 이후는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기반의 구축기에 있다. 북한은 분단 후 국유원칙의 사회주의적 소유제도와 계획경제 체제에서 여러 차례의 단기적 계획을 통해, 1960년까지는 녹화조림에, 그 이후는 수종갱신 조림에 주력하여 왔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경제사정의 악화와 함께 그 성과는 부진하였고, 결국 산림관리의 실패로 인하여 근래 산림의 황폐화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북한의 산림황폐지에 대한 다각적인 복구대책을 비롯하여, 남북한의 상호협력과 교류의 확대가 필요하며, 장기적으로 통일시대에 대비한 산림관리방안의 수립이 요구된다.

  • PDF

The Effects of Drought on Forest and Forecast of Drought by Climate Change in Gangwon Region

  • Chae, Hee-Mun;Lee, Sang-Sin;Um, Gi-Jeu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97-105
    • /
    • 2012
  • A Gangwon region consisting of over 80% of forest area has industries that have been developed by utilizing its clean region image. However, the recent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forest disease & insect pest as well as the forest fire and the major cause is known to be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a drought occurrence. From the aspect of climate change, it can be said that drought and forest are important in every aspect of the adaptation and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measure as they increase forest disease & insect pest that leads to desolation of usable forest resource. In addition, the increase of forest fire reduces resources that can absorb greenhouse gas, which leads to increase in green house emi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otive for concentrating administrative power for protecting forest in a Gangwon region by selecting a drought management needed local government through a drought forecast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of a Gangwon reg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