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Landscape Model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초

도농통합지역의 녹지환경정비모델에 관한 연구II -천안의 녹지구조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rban Fringe Landscape Environment Model- The Analysis of Change in Forest Structure of Chonan city-)

  • 심우경;이진희;김훈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05-112
    • /
    • 1999
  • Landcover chang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hanges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ional ecosystem. As the rise of concern on environment quality, many studies are trying to quantify and evaluate the landsacpe in recent days. In this study, using landscape indices with RS(Remote Sensing) and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echnology,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areas and distribution of forest patches were examined in the Chonan from 1985 to 1996. Fragstats 2.0 was employed to analyze and compute 31 landscape indices from 52 landcover maps. A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rea of forest and paddy decreased as a result of urban sprawl. Especially from 1993 to 1996, the change of land use progressed rapidly because of merging a city and a country in Chonan. The size of patch in forest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heterogeneity of size of forest patches within sub-basin increased, and variety of patch types around forest patches increased from 1985 to 1996.

  • PDF

조건부 로짓 모델을 이용한 산림경관기능의 경제적 가치 평가 (Estimation of Economic Valuation of Forest Landscape Function Using Conditional Logit Model)

  • 김의경;김동현;유진채;김미옥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6호
    • /
    • pp.891-899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선택실험기법을 활용한 조건부 로짓 모델을 이용하여 산림경관기능이 가지는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산림경관의 속성과 수준을 선정하였는데, 속성은 산림형태, 임상, 소밀도, 휴양적 요소, 지불의사금액 등이 그것이다. 이를 토대로 SAS 9.1을 이용하여 Orthogonal과 Balanced를 이루는 96개 선택 집합을 4개 타입으로 구성하였으며, 서울을 포함한 7개 광역시 시민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간 가구당 지불할 의사를 면접조사방법으로 총 280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Non-ASC 모형에서 Mcfadden' ${\rho}$는 0.21, 우도통계량은 -2,631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림경관에 대한 가구당 평균 지불의사금액은 266,723원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산림군집의 경관구조 특성기반 숲정원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Forest Garden Model Based o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munity in Korea)

  • 전승훈;차윤정;박상길;배준규;이경미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237-249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유의 기후와 식생, 그리고 숲의 경관생태적 특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식재경관 중심의 정원화 모형을 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산림군집의 경관 특성을 기존의 정원 식재유형과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보다 혁신적인 숲정원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차적으로 우리나라 주요 산림 식생군집을 구성하는 핵심 경관요소를 도출하고, 군집구조의 수직적인 층위와 수평적인 분포양상에 대해 우점종과 표징종 및 식별종 등 진단종과 이들의 성상 및 우점도-군집도를 분석·평가하였다. 이를 기준으로 시각적 우세요소에 따라 주 경관, 부 경관, 세부 경관으로 계층화하여 표준화된 식생경관의 구조와 형식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를 우리나라 온대중북부지역의 대표 식생군락인 낙엽활엽수림을 대상으로 미술사적인 차용의 개념과 범위를 적용하여 숲정원 모델로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아울러 숲정원의 개념정의 및 유형화, 그리고 숲 식생의 전략적인 접근을 토대로한 통합적인 숲정원 모델을 제안하였다.

산림 경관 모형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Forest Landscape Models)

  • 고동욱;성주한;이영근;박찬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1-13
    • /
    • 2015
  • 이 논문은 산림 경관 모형의 역사적 발전 양상과 특성, 그리고 이를 유형화하는 다양한 방식과 기준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성공적인 조림 사업을 통해 대규모 산림 녹화의 성공적 수행이라는 성과를 올렸으나, 증가하는 성숙림과 기후변화의 대두, 그리고 다양한 산림 교란의 발생과 같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넓은 면적과 높은 다양성을 지닌 산림이 향후 장기간에 걸쳐 어떤 변화를 맞이할 수 있으며, 어떤 관리가 산림의 다양한 가치와 생태계 서비스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산림 경관 모형은 이렇게 광범위한 시공간적 규모에서의 산림 변화와 관리의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접근 방식이며, 다양한 목적과 특성을 지닌 많은 종류의 모형이 활발히 개발되고 적용되어 왔다. 그런데 모형의 종류가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모사하는 현상과 알고리즘, 모형의 특성 등의 변이가 매우 크기에 연구자들이 적절한 모형을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현재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모형의 특징을 정리하고 현재의 현황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봄으로써 적절한 모형의 선정과 적용, 해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최근린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a Forest Network in the Western Geum River Basin using the Nearest Feature Model)

  • 장갑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6-63
    • /
    • 2007
  • This study used the nearest feature model to connect forest patches within the western Geum River Basin. Due to many different forest patch sizes, 3 alternative methods were tested to determine the best way to establish an ecological network with forest patches. Alternative 1 used all forest patches to determine whether patches were large enough. Alternative 2 used forest patches over 10 ha in size. Alternative 3 used natural conservation indices to select forest patches containing better qualities in the natural conservation level. As a result 635 out of 724 patches of over 10 ha were selected for comparison. Alternative 1 showed that forest patches of less than 10 ha were outliers interrupting the establishment of the ecological network. They generated an unnecessary ecological network to link core areas to comparison features. The ecological network was improved by using forest patches greater than 10 ha in size(Alternative 2). Each comparison feature was much more hierarchically connected to core areas in Alternative 2 than in Alternative 1. Forest patches filtered by natural conservation indices were useful for obtaining the best ecological network. Alternative 3 clearly showed the connections in the ecological network between core areas and forest.

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진단 - 남한강을 중심으로 - (Diagnosis of Vegetation for the Ecological Rehabilitation of Streams - The Case of the Namhan River -)

  • 명현;권상준;김창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98-106
    • /
    • 2002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sent a river model with the aim of restoring the ecosystem and improving the landscape along the urban rivers on the basin of the Namhanl river, a core life channel for the National Capital regin. The revelation of botanical status, transition trend and correlation of plants might lead to providing the urban river restoration projects and ecological river formation projects with basic data for a model of ideal aquatic ecology and landscape. The outcomes of this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1. The plant communities of river flora found on the basin of the Namhan river could be categorized largely into 39 plant communities 2. Most diverse plants were distributed in the rivers lower reaches such as Unsim-ri where the protected zone of Paldang reservoir for city water borders the body of Jodae swamp where natural streams flow nearby. 3. One of the greatest threats to the biomass of the River Namhan is that the communities of such invasive alien plants as Panicum dichotomiflorum and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ominate most parts of the area, a fact that has resulted in a reduced variety of plants and will, sooner or later, be likely to cause an ecological imbalance in the hitherto healthy Aquatic plant life. It is highly advisable to gradually diversify the species of trees and to return the plants bark to their original state since, besides the naturalized plants, plantations afforested with Erigeron canadensis and Erigeron annuus stocks in buckwheat field, Robinia Pseudo-accacia in riverside forest, Pinus rigida in terrestrial forest on the river basin and Larix leptolepis are anticipated to act as interceptors of normal migrations of the fluvial and terrestrial ecosystems. Finally, it seems also desirable to continu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luvial and terrestrial ecologies with the purpose of building up a model of natural streams in urban areas based on the surveyed factors for plant life, soil and landscape and, moreover, on the forecasting for overall influences derived from the rotation upon the ecosystem.

GIS를 이용한 산불 진화용 저수탱크 적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Analysis of Water Tank Suitability for Forest Fire Extinc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기철;김승환;남정칠;박승범;강영조;옥진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3
    • /
    • 1998
  • 이 논문의 주요 목적은 지리정보체계의 지도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소규모 산림의 산불 진화용 저수 탱크의 적지 분석에 있다. 부산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암남 도시자연공원을 대상으로 산불 진화 모델에 필요한 산불 진화 시설, 지형 등의 수치 지도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암남공원에 현재 설치되어 있는 산불 진화 시설에 근거해 조기진화가 가능한 지역과 산림의 산불 진화 효과를 밝히기 위해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서술적 지도모델링 기법을 적용해 현재의 저수 탱크 시설로 초기 진화가 용이한 지역과 현재의 진화효과를 규명하고, 규정적 지도모델링 기법에 의해 현재의 시설로 충분치 못한 지역에 추가로 시설을 설치해 조기 진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 진화와 같은 재해 관리에 지리정보체계와 지도 모델링이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함을 밝혔다.

  • PDF

산림경관서비스 지불제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 설계 (Pilot-Project Design on Introduction of Payment of Forest Landscape Service)

  • 최재용;이동근;이호철;고재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2-122
    • /
    • 2009
  • Payment of Forest Landscape Service (PFLS) is based on the value of landscape conservation and is a positive forest policy inducing the owners of mountains to improve environmental service quality with economic incen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feasibility of PFLS and find out the elements related to PFLS such as associated statutes, target applications, eligible owner's requirements, and applicable environmental services. Research sites were selected in designated reserved forests by law and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28 professional forestry engineers and 10 owners of reserved forests located in Chungnam Province in November, 2008. As a result, the owners are willing to participate pilot-project of PFLS if they could have tax incentives. Preferred activities in their forestry are eco-tourism and carbon emission trading as PFLS business model. Although they expect low economic benefit from the PFLS, respondents answered introducing PFLS will give good opportunities for owners of a reserved forest to enhance willingness to manage their forestry properly for the landscape conservation. In this study, PFLS evaluation indicators and policy directions are established and recommends the strategies to cope with changing needs of forestry conservation by inducing the owner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ustainable forest landscape management.

Analysis & Planning;The Beijing Olympic Forest Park

  • Jie, Hu;Yi-Xia, Wu;Lu-Shan, Lu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8-14
    • /
    • 2007
  • The Beijing Olympic Forest Park lies at the north end of the 2008 Olympic Plan, "Axis to Nature," and terminates the Olympic axis with a model ecosystem and scenic vistas. The park is a combination of urban green lung, ecological buffer, traditional Chinese park, Olympic park, native forest, and urban retreat. Chinese traditional park concepts, modern landscape architecture, and ecological techniques are merged into one project for the 29th Olympic Games and the citizens of Beijing.

  • PDF

FRAGSTATS 모형을 이용한 도암댐 유역의 산림 파편화 분석 (Landscape Analysis of the Forest Fragmentations at Doam-Dam Watershed using the FRAGSTATS Model)

  • 허성구;김기성;안재훈;윤정숙;임경재;최중대;신용철;유창원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0-21
    • /
    • 2007
  •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 유역은 인간의 개발행위에 따른 산림지역 파편화로 인해 산림지역의 상당부분이 농업/도시 지역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러한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하류 수역에서는 많은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토지이용변화가 도암댐 유역내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적인 분석 툴을 이용하여 수계단위로 분석한 예는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의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를 이용하였다. 복잡한 계산식으로 구성된 경관지수를 자동으로 산출해주는 FRAGSTATS 프로그램은 경관분석에 많이 이용해 왔으나, 각 경관지수별 설명이 충분하지 않아 FRAGSTATS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량적 경관분석을 수행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 파편화가 발생하기 전과 후의 가상적이면서 단순화된 경관을 구성하여 경관지수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술된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도암댐 유역내에서 산림 파편화가 경관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총 19개 소유역중 S1 유역이 1985년부터 2000년까지 가장 많은 산림 파편화가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산림지역의 파편화, 이에 따른 토지이용변화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수계단위로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리라 판단되며, FRAGSTATS과 같은 경관분석 프로그램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 을 수립하는데 매우 유용하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