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Healing Programs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7초

은퇴자를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연구 (A Study to Understand Preferences of Retire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 이규순;연평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693-70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forest healing programs for retirees by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A survey was conduct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verall perceptions of forest healing, and preferenc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targeting a total of 258 retirees visiting a natural recreation forest and a healing forest.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ed that the awareness of the forest treatment program and the hope of participating in it were both high, but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low. Among the forest healing programs, the order of preference was "Breath in the forest", "Wind bathing and sunbathing", and "Feeling negative ions in the valle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retiree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such programs in the future.

A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Forest Healing Programs: Focusing on Cancer Patients

  • Lee, Mi-Mi;Lee, Don-Gak;Park, Bong-Ju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83-69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Cancer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Korea, and it affects any part of the body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Forest healing is a treatment that maximizes the effect of treatment and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differentiated forest healing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survey on their interest and needs for the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were those diagnosed with cancer from October 2018 to April 2019, and this study used 144 copies of the questionnaire retrieve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n = 144) was the appropriate size required by G-Power, and the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sults: In the frequency analysis on the interest in forest healing, 79.2% of the subjects had no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but 87% were aware of it, and 82.6% showe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forest healing programs. This indicates that even though not many of them have experience participating in forest healing, they showed high interest and needs for participation. They preferred to participate in spring (29.9%) and fall (27.8%), in programs carried out for 1.5-2 hours in the morning on weekdays.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on forest healing needs of cancer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plan, develop, and implement differentiated forest healing programs that meet the needs of the cancer patient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There is also a need to plan forest healing program that can promote both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health of cancer patients and verify and evaluate their effects based on specialized training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이동동선에 따른 지역별 산림치유 선호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전주시 건지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ference Program of Forest Healing by Region According to Moving Line)

  • 소은주;박율진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48
    • /
    • 2018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 건지산 이용객의 일반적 특성과 건지산 산림치유의 인식, 구간별 선호프로그램 등을 조사하여 양질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에 기초출처로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설문 분석결과, 건지산은 도시숲으로 전주 도시민의 여가와 휴식의 자연공간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용객의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택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은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구성, 시간순이었으며, 주요 목적은 건강증진이 가장 많았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운영관리로는 주말을 활용한 주별 프로그램이 선호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자연경관 감상, 체험프로그램은 숲 체험, 치유프로그램은 숲속음악치유, 명상프로그램은 삼림욕, 교육프로그램은 숲속음악 듣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건지산 이용객의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건강의 회복을 도모하는 양질의 건지산 일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연구를 위한 기초출처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구간별 선호프로그램 대상지로 특정 지역이 중복되어 선호도에 따른 적합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구성의 한계점은 향후 건지산에 대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지속적, 연속적 통합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만성질환자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및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Needs and Preferences of Forest Healing Programs in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 채영란;강소연;조영미;이선희;박수연;천인선
    • 농촌계획
    • /
    • 제27권1호
    • /
    • pp.29-41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terest, needs, and preferences for forest healing programs of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A total of 227 individuals with chronic diseases who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were surveyed on the needs and preferences of forest healing program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1 patients (48.9%) with cardiovascular disease, 88 patients (38.8%) with gastrointestinal diseases, 39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disease (17.2%), and 78 patients (34.3%) with other diseases. About 51% of all participants had heard of the forest healing programs, but 94.3% of the participants said they had no experience in participating. The frequency of forest visits was the most often once a month or not, and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forest healing programs was "because there was no time to spare." The participants generally preferred a small group programs with family members or their friends for one day or two days. The preferred seasons were spring and autumn, and the preferred time zones were morning and weekend, and the participants preferred outdoor programs rather than indoors. An important factors of the programs were dense forests, trees, landscape, sound, and fresh air. These preferences can be applied when developing forest healing programs for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및 부모 만족도 (Effects of Weekend Forest Healing Program Utilizing Urban Forest on Improvement of Family Cohesion and Family Relationship and Parental Satisfaction)

  • 박숙현;박봉주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58
    • /
    • 2018
  • 본 연구는 도시숲을 활용한 주말 회기형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가족 응집력과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18년 4월부터 8월까지 인천대공원에서 진행되는 주말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가족 21팀(6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주1회 2시간씩 총 4회 8시간으로 가족 숲체험 활동과 산림치유요법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새롭게 구성하여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주말 가족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가족응집력 및 가족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부모의 만족도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항목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따라서 산림치유활동은 가족의 응집력 및 가족관계를 개선함으로써 가족의 결속이나 정서적 유대와 같은 기능이 중요하게 인식되는 현대사회에 효과적인 치유활동으로 적합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하며, 가족의 요구를 반영한 다양하고 흥미로운 가족체험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Stress-Reducing Effects of Forest Healing Activities in Maladjusted Military Force Members

  • Kim, Jihye;Sin, Changseob;Kim, Jihye;Kim, Dohyeong;Kim, Yunsu;Lee, Hyuncha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7-385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In the Republic of Korea, military service is mandatory. Some of new recruits have the stress from the special environment, which could cause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military forces have operated education programs such as green camp and healing camp.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i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by conducting forest healing activities along with plant scent treatment for soldiers participating in a green camp. Methods: A total of 52 soldiers were participated including maladjustment soldiers and those recommended by their military units to protect the unfit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forest healing activities in the green camp. The programs that were certifi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between 2014 and 2019, and were applied for stress reduction and relaxation training were classified into stress-coping programs and forest experience programs. Post-hoc surveys and cortisol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Results: Green camp soldiers experience and differences in the level of stress responses were found to be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The techniques for coping with str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cortisol and measuring physiological stress were ver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forest healing activities at 4 p.m. Conclusion: Once green camp soldiers face stressful situations, forest healing programs using forest plant scents for green camp soldiers can have positive responses and forest healing activities can reduc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responses, improving maladjustment behaviors caused by stress and positively affecting the reduction of cortisol.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m and Electrocardiogram Changes in Adults in National Healing Forests Environment

  • Hong, Jae-Yoon;Lee, Jeong-Hee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5-589
    • /
    • 2018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Electroencephalogram(EEG) and Electrocardiogram(ECG) depending on the healing environment in order to find a way to improve the forest healing program based on the healing environment in response to the demand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program since the program is a charged service. This study selected eight sites running forest healing programs at four national healing forests (i.e., Saneum, Cheongtaesan, Daegwanryeng, and Jangseong) - two routes per national healing forest - considering forest environments. This study chose NUMBER standard sampling plots ($20{\times}20m$) and measured three atmospheric environment items, seven physical environment items, two soil environment items, and eight vegetation environment items including forest sound and anion at each plot to evaluate physiological changes in it. EEG and ECG,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forest healing evaluation, were utilized as criteria. Seventy three subjects were selected with taking the age, drug, caffeine, smoking, and the time of last meal into consideration. As a result, EEG changes were correlated with three atmospheric environment items, six physical environment items, one soil environment item, and two vegetation environment items. ECG chan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wo atmospheric environment items, six physical environment items, two soil environment items, and two vegetation environment items (p<.05). It is expected that 11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density, and altitude affecting EEG (e.g., alpha balance and gamma balance) and ECG (e.g., HRV mean) could be used as effective tools in developing more differentiated programs for improving healing effects.

산림치유 시설의 운영 및 치유 프로그램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Healing Programmes for Forest Therapy)

  • 박천보;최준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468-474
    • /
    • 2021
  • 산림치유는 산림의 다양한 자연 환경요소를 활용한 친자연적인 치유방식을 통해 인체의 면역력을 높이고 사회적으로 점차 심각해지는 정신적, 육체적 사회병리 현상을 치유함으로서 숲이 지닌 치유 기능으로 시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운영 중인 총 28개소의 국·공립 치유의 숲의 산림치유 시설 운영 및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 산림치유의 발전을 위한 계획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순서는 먼저 산림치유와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의하고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치유의 숲을 규모별로 구분하며, 규모별 치유의 숲의 시설운영과 프로그램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국내 산림치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치유의 숲은 '09년 최초 개장된 이후 점차 소규모화 되었는데, 이는 지자체의 경쟁적인 조성에도 원인이 있으며, 50-100ha 이하의 숲에서 치유시설 및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부족하였다. 둘째, 치유 숲길의 확장, 치유센터 내 시설확대 및 숲속 치유공간의 다양화를 통해 노인, 임산부, 장애우 등 특수계층 대상 프로그램이 확대되어야 하고, 치유의 숲 지도자의 양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셋째, 중·대규모 숲에서는 숙박형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자체의 사용료 보조가 필요하며, 프로그램 개발과 시설을 연계시키고 산림치유시설의 조성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수반되어야 한다.

치유의 숲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분석 (Analysis on Activities of Forest Healing Program in Healing Forests)

  • 홍재윤;이정희
    • 한국산림휴양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8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산림청이 조사한 국유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을 분석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조사된 치유의 숲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활동내용 DB자료 99개를 수집하여 활동내용을 확인하고, 조사 양식에 따라 대상자, 6대 요법(인자), 장소, 계절, 시간대, 운영시간, 다면평가에 따라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활동을 구성할 때 대상자는 대체로 일반적인 대상을 상대로 구성하며, 6대 요법 중 가장 많이 고려된 인자는 정신건강인자였다. 장소는 치유숲길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계절은 봄 여름 가을, 시간대는 오전 오후 모두 가능한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1개 활동의 운영시간은 60분이, 다면평가에서는 동적인 활동이 프로그램 개발 시 가장 선호되었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활동내용을 분석한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세분화된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질환별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연구가 먼저 선행되어야 입증된 연구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치유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of Forest Therapy and Horticultural Therapy)

  • 박선아;정문선;이명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51
    • /
    • 2015
  • 삭막한 도시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는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질병을 발생시키거나 건강을 악화시키는 반면, 자연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치유효과를 준다. 자연을 통한 치유프로그램은 활동공간의 특성에 따라 숲치유와 원예치료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프로그램의 적용과 연계에 따른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치유와 원예치료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각 프로그램의 효과와 차이점을 밝혀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험은 숲치유 5명, 원예치료 5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5일간의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생리적 반응은 혈압, 맥박, 코티솔 변화량으로 측정하였고, 심리적 반응은 기분상태검사로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 for windows의 분산분석(ANOVA)과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숲치유와 원예치료는 생리적, 심리적으로 모두 긍정적 효과를 보이며, 2) 숲치유는 원예치료보다 생리적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에 더 효과적이고, 3) 원예치료는 숲치유보다 우울감 감소에 더 효과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는 각 치유프로그램의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치유프로그램 개발과 치유공간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와 지침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