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ground image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3초

포그라인드 이미지 추출을 통한 게임 플레이어 관심 영역 (Interest area of game player through extraction of foreground Image)

  • 이면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271-277
    • /
    • 2017
  • 영상 처리에서 포그라운드 이미지 추출은 움직이는 대상이나 객체를 인식하려는 경우에 주로 응용된다. 게임에서 포그라운드 이미지에 포함되는 객체들은 주로 캐릭터와 NPC(Non Player Character), 아이템 등이 될 수 있다. 이 객체들은 플레이어들의 이동, 공격, 방어, 수집의 대상이 되는 객체들로 플레이어들의 주요 관심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에서, 플레이어들의 관심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첫째, 포그라운드 이미지를 추출한다. 둘째, 추출한 포그라운드 이미지를 일정시간 누적시켜서 결과 이미지로 보여준다. 플레이 시간에 따른 누적된 포그라운드 이미지는 객체들의 화면 출현 위치와 빈도를 알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이 연구는 플레이어들이 관심 영역 설정과 효율적인 UX/UI를 설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옵티컬 플로우와 가중치 경계 블렌딩을 이용한 전경 및 배경 이미지의 합성 (Composition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Images using Optical Flow and Weighted Border Blending)

  • ;최정주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8
    • /
    • 2014
  • 스마트폰의 전면 및 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시에 획득한 전경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에서, 전경 이미지의 일부분인 전경 물체를 추출하여 배경 이미지에 합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최근의 고사양 스마트폰은 대개 두 개의 카메라를 가지고 있고,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미리보기 화면을 제공한다. 전면 카메라로부터 전경 이미지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미리보기 화면의 비디오에 대한 옵티컬 플로우를 이용하여 전경 물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전경 물체와 배경 화면을 단순히 합성한 후, 전경 물체와 배경화면의 경계에서 가중치 경계 블렌딩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부드러운 경계를 갖는 합성을 수행한다. 화소 수준의 조밀한 옵티컬 플로우의 계산은 고사양의 스마트폰에서도 상당히 느리기 때문에, 전경 물체 추출을 위한 마스크의 계산을 저해상도에서 수행하여 계산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실험적 결과에 의하면 제안하는 방법은 더 적은 계산 시간을 사용하며, 널리 사용되는 Poisson 이미지 합성 방법에 비하여 시각적으로 더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하는 방법은 Poisson 이미지 합성 방법에서 자주 관찰되는 색 번짐 결점을 가중치 경계 블렌딩을 이용하여 제한적인 수준에서 극복할 수 있다.

비디오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장치에서 그림자의 제거 (Removing Shadows for the Surveillance System Using a Video Camera)

  • 김정대;도용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76-178
    • /
    • 2005
  • In the images of a video camera employed for surveillance, detecting targets by extracting foreground image is of great importance. The foreground regions detected, however, include not only moving targets but also their shadow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technique to detect shadow pixels in the foreground image of a video camera. The image characteristics of video cameras employed, a web-cam and a CCD, are first analysed in the HSV color space and a pixel-level shadow detection technique i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Compared with existing techniques where unified criteria are used to all pixels, the proposed technique determines shadow pixels utilizing a fact that the effect of shadowing to each pixel is different depending on its brightness in background image. Such an approach can accommodate local features in an image and hold consistent performance even in changing environment. In experiments targeting pedestrians, the proposed technique showed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an existing technique.

  • PDF

전경 추출에 기반한 파노라마 비디오 생성 기법 (Panoramic Video Generation Method Based on Foreground Extraction)

  • 김상환;김창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0권2호
    • /
    • pp.441-445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lgorithm for generating panoramic videos using fixed multiple cameras. We estimate a background image from each camera. Then we calculate perspective relationships between images using extracted feature points. To eliminate stitching errors due to different image depths, we process background images and foreground images separately in the overlap regions between adjacent cameras by projecting regions of foreground images selectively.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used to enhance the efficiency and convenience of wide-area surveillance systems.

Detection of View Reversal in a Stereo Video

  • Son, Ji Deok;Song, Byung Cheo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2권5호
    • /
    • pp.317-321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detection algorithm for view reversal in a stereoscopic video using a disparity map and motion vector field. We obtain the disparity map of a stereo image was obtained using a specific stereo matching algorithm and classify the image into the foreground and background. Next, the motion vector field of the image on a block basis was produced using a full search algorithm. Finally, the stereo image was considered to be reversed when the foreground moved toward the background and the covered region was in the foreground. The proposed algorithm achieved a good detection rate when the background was covered sufficiently by its moving foreground.

  • PDF

2D/3D 동영상 변환을 위한 초점/비초점 분석 기반의 전경 영역 추출과 깊이 정보 생성 기법 (Foreground Extraction and Depth Map Creation Method based on Analyzing Focus/Defocus for 2D/3D Video Conversion)

  • 한현호;정계동;박영수;이상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3-24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2D/3D 동영상 변환을 위해 깊이가 할당될 전경을 초점 정보와 색상분석 기반의 그룹화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전경의 깊이를 초점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2D영상에서 전경을 추출하기 위해 영상의 초점 정보의 움직임을 추정하여 전경 후보 영상을 생성하고, 전경 후보 영상에 존재하는 객체 내부의 홀 영역을 색상 분석을 이용한 채움 과정을 수행하여 전경 영역을 추출하였다. 생성된 전경 영역에 깊이를 할당하기 위해 해당 프레임에 존재하는 초점 값을 분석하여 초기 깊이 정보를 생성하고 움직임 정보를 가중하여 깊이 정보를 할당하였다. 생성된 깊이 정보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해 기존에 제안된 알고리즘의 결과 영상과 비교하였다.

연속적인 배경 모델 학습을 이용한 코드북 기반의 전경 추출 알고리즘 (Codebook-Based Foreground Extraction Algorithm with Continuous Learning of Background)

  • 정재영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49-455
    • /
    • 2014
  • 이동 물체의 검출은 비디오 감시, 보행자의 행동 분석과 같은 컴퓨터 시각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전처리 작업이다. 이는 실제 외부 환경을 대상으로 할 때, 영상 시퀀스에 존재하는 배경의 불규칙한 움직임, 조명 변화, 그림자, 배경 물체의 위상 변화 및 잡음 등으로 인하여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코드북 기반의 전경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코드북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얻어지는 배경화소에 대한 정보 데이터베이스이다. 먼저, 첫 번째 프레임을 배경 영상으로 가정하고 이를 입력 영상과 비교하여 차 영상을 구한다. 구해진 차 영상에는 순수한 이동 물체뿐만 아니라, 잡음까지 포함된다. 둘째로, 전경으로 검출된 화소의 색상과 밝기 값을 가지고 코드북을 조사하여 존재하는 경우 잘못 추출된 전경 화소로 판단하고 전경에서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다음번 입력되는 프레임을 반복 처리하기 위하여 배경 영상을 새롭게 갱신하는데, 배경 화소로 검출된 화소의 경우에는 현재의 입력 영상으로부터 추정되며, 전경 화소로 검출된 경우에는 이전 배경 영상의 화소 값을 복사하여 사용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PETS2009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를 GMM 알고리즘과 표준 코드북 알고리즘의 결과와 비교하여 보인다.

Unconstrained Object Segmentation Using GrabCut Based on Automatic Generation of Initial Boundary

  • Na, In-Seop;Oh, Kang-Han;Kim, Soo-Hy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9권1호
    • /
    • pp.6-10
    • /
    • 2013
  • Foreground estimation in object segmentation has been an important issue for last few decad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bCut based automatic foreground estimation method using block clustering. GrabCut is one of popular algorithms for image segmentation in 2D image. However GrabCut is semi-automatic algorithm. So it requires the user input a rough boundary for foreground and background. Typically, the user draws a rectangle around the object of interest manually. The goal of proposed method is to generate an initial rectangle automatically. In order to create initial rectangle, we use Gabor filter and Saliency map and then we use 4 features (amount of area, variance, amount of class with boundary area, amount of class with saliency map) to categorize foreground and backgroun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ur proposed algorithm can achieve satisfactory accuracy in object segmentation without any prior information by the user.

2D 이미지에서 3D 모델링 데이터 변환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3D Modeling Data Conversion Algorithm from 2D Images)

  • 최태준;이희만;김응수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79-486
    • /
    • 2016
  • In this paper, the algorithm which can convert a 2D image into a 3D Model will be discussed. The 2D picture drawn by a user is scanned for image processing. The Canny algorithm is employed to find the contour. The waterfront algorithm is proposed to find foreground image area. The foreground area is segmented to decompose the complex shapes into simple shapes. Then, simple segmented foreground image is converted into 3D model to become a complex 3D model. The 3D conversion formular used in this paper is also discussed. The generated 3D model data will be useful for 3D animation and other 3D contents creation.

특징 영역 추출을 통한 내용 기반 영상 검색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by Extraction of Specific Region)

  • 이근섭;정승도;조정원;최병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77-80
    • /
    • 2001
  • In general, the informations of the inner image that user interested in are limited to a special domain. In this paper, as using Wavelet Transform for dividing image into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We can separate foreground including many data. After calculating object boundary of separated part, We extract special features using Color Coherence Vector. According to results of this experiment, the method of comparing data extracting foreground features is more effective than comparing data extracting features of entire image when we extract the image user interested 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