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percent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and 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of vital capacity in children with controlled asthma

  • Yoon, Ji-Yong;Woo, Sung-Il;Kim, Heon;Sun, Yong-Han;Hahn, Youn-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9호
    • /
    • pp.330-336
    • /
    • 2012
  • Purpose: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and 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of vital capacity ($FEF_{25-75}$) are not included in routine monitoring of asthma control. We observed changes in FeNO level and $FEF_{25-75}$ after FeNO-based treatment with inhaled corticosteroid (ICS) in children with controlled asthma (CA). Methods: We recruited 148 children with asthma (age, 8 to 16 years) who had maintained asthma control and normal forced expiratory volume in the first second ($FEV_1$) without control medication for ${\geq}3$ months. Patients with FeNO levels >25 ppb were allocated to the ICS-treated (FeNO-based management) or untreated group (guideline-based management). Changes in spirometric values and FeNO levels from baseline were evaluated after 6 weeks. Results: Ninety-three patients had FeNO levels >25 ppb. These patients had lower $FEF_{25-75}$ % predicted values than those with FeNO levels ${\leq}25$ ppb (P<0.01). After 6 weeks, the geometric mean (GM) FeNO level in the ICS-treated group was 45% lower than the baseline value, and the mean percent increase in $FEF_{25-75}$ was 18.7% which was greater than that in other spirometric value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nt changes in $FEF_{25-75}$ and FeNO (r=-0.368, P=0.001). In contrast, the GM FeNO and spirometric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baseline values in the untreated group. Conclusion: The anti-inflammatory treatment simultaneously improved the FeNO levels and $FEF_{25-75}$ in CA patients when their FeNO levels were >25 ppb.

소아 천식에서 최대호기중간유량의 기관지 과민성 예측인자로서의 의의 (Utility of a forced expiratory flow of 25 to 75 percent as a predictor in children with asthma)

  • 강정완;김경원;김은수;박준영;손명현;김규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323-328
    • /
    • 2008
  • 목 적 : 천식은 하부기도의 만성 염증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기관지과민성은 천식의 병태생리적인 특징이다. 하부기도를 직접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지만 최대호기중간유량(forced expiratory flow between 25 and 75 percent, $FEF_{25-75}$)이 하부기도의 직경을 비교적 잘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초간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_1$)과 $FEF_{25-75}$를 이용하여 얻어진 이들의 차이(difference between $FEV_1$ and $FEF_{25-75}$, DFF)와 비(ratio between $FEV_1$ and $FEF_{25-75}$, RFF)를 분석하여 기관지과민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만 6세에서 15세 사이의 5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자에서 폐기능 검사, 메타콜린 흡입 유발시험을 시행하였고, 혈액 내 호산구수, 혈청 총 IgE 농도, 혈청 ECP 농도를 측정하였다. 메타콜린 흡입 유발시험으로 얻어진 $PC_{20}$을 기준으로 기관지과민성 양성군($PC_{20}$>16 mg/mL)과 음성군($PC_{20}=16mg/mL$)을 정의하였으며, 그 중증도에 따라 4군으로(Group 1: <1 mg/mL; Group 2: 1-4 mg/mL; Group 3: 4-16 mg/mL; Group 4: >16 mg/mL, by American Thoracic Society, 1999)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DFF는 기관지과민성 양성군에서 4.0 (-6.0-13.0), 음성군에서 -5 (-18.0-6.0)로 양성군에서 음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P<.001). RFF도 기관지과민성 양성군에서 1.07 (0.93-1.21), 음성군에서 0.95 (0.84-1.07)로 양성군에시 음성군과 비교하여 의미있게 높았다(P<.001). 또한 기관지과민성 중증도에 따라 나눈 4군 사이에서도 DFF (P<.001)와 RFF (P<.001)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PC_{20}$은 DFF ($\gamma$=0.337, P< .001) 및 RFF ($\gamma$=0.337, P<.001)와 의미있는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 론 : $FEF_{25-75}$를 이용하여 얻어진 DFF와 RFF는 기관지과민성과 밀접한 연관성을 보였고 이를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체력단련(體力鍛鍊)이 폐기능(肺機能)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 of Physical Training on Pulmonary Function)

  • 남팔수;황수관;김형진;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1호
    • /
    • pp.37-43
    • /
    • 1981
  • 장기간(長期間)의 체력단련(體力鍛鍊)이 폐기능(肺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알아보고자 운동선수군(運動選手群) 24명(名)과 비운동선수군(非運動選手群) 12(名)에 대(對)하여 실시(實施)한 본(本) 연구(硏究)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호흡수(呼吸數), 일회호흡량(一回呼吸量) 폐활량(肺活量)은 실시군(實施群)과 비실시군(非實施群) 사이에 유의(有意)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최대환기능(最大換氣能)은 선수군(選手群)이 $148.1{\pm}3.01\;L/min$, 비선수군(非選手群)이 $1118.3{\pm}9.1\;L/min$ 로서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 높았다. 초시폐활량(秒時肺活量)은 선수군(選手群)이 $3.310{\pm}0.070\;L$,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279{\pm}0.104\;L$였고, $FEV_1%$는 선수군(選手群)이 $83.63{\pm}1.29%$, 비선수군(非選手群)이 $75.33{\pm}1.75%$로서 둘 다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높았다. $FEF_{\;0.2{\sim}1.2}L$는 선수군(選手群)이 $297.7{\pm}13.5\;L/min,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22.7{\pm}15.0\;L/min$였고, $FEF_{\;25{\sim}75}%$는 선수군(選手群)이 $3.543{\pm}0.109\;L/sec$, 비선수군(非選手群)이 $2.719{\pm}0.142\;L/sec$로서 둘다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면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非選手群) 사이에 폐용적(肺容積)은 별차이(別差異)가 없으나, 최대환기능(最大換氣能), 초시폐활량(秒時肺活量), $FEV_1%$, $FEF_{\;0.2{\sim}1.2}L$, $FEF_{\;25{\sim}75}%$등(等)은 선수군(選手群)이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유의하게(p<0.01) 높은 측정치(測定値)를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선수군(選手群)에서 비선수군(非選手群)에 비(比)해 호흡근(呼吸筋)의 힘이 더 강(强)하거나, 폐(肺) 및 흉곽(胸廓)의 용압률(容壓率)이 더 크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