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rage rape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electing Varieties of Forage Rape Suitable for Spring Sowing at Southern Part of Korea (청예 사초용 유채의 춘파성 품종 반응)

  • 권병선;신정식;현규환;신동영;김학진;임준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67-70
    • /
    • 2003
  • 사초용 유채는 영양가가 높은 사료작물이며, 한랭한 조건에서도 생육이 계속되어 좁은 사료작물 포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그 잠재력이 매우 크다 (Harper 및 Compton, 1980 : Jung등, 1984 : Kay, 1975 : 김등, 1986 : 이등, 1984) 그리고 식물육종 학의 발달과 더불어 사초용 유채도 많은 품종이 개발 육성되고 있다 (Toxopeus 및 Boonman, 1983). 또한 사초용 유채는 다른 유채속 식물이나 방목용 초종에 비하여 조단백질과 조회분함량 및 소화률이 높고 조섬유 함량이 낮으나, 품종과 생육환경 및 수확시기에 따라 이들 함량에 차이가 있다(Berendank, 1982, 1982, 1983, 1983 : Groppel등, 1982 ; Gupta 등, 1974 ; Harris, 1964 : Jung 등, 1984, 1986)고 보고하였다.(중략)

  • PDF

In fluence of Sowing Time in Spring on Growth Yield and Nrtrient Qulality of Forage Rape (청예 사초용 유채의 춘파성 파종기반응)

  • 권병선;신정식;김학진;신동영;현규환;임준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71-73
    • /
    • 2003
  • 동물성 단백질 사료를 섭취함으로써 발생되기 쉬운 광우병등을 예방하고 단경기 사초용작물로서 조숙성이고 직립형이어서 이용하기가 편리하고 건물수량은 높아서 조사료로서 사료가치가 우수한 잠재력을 갖춘 사초용 유채의 주변 생산성을 높이고자 춘파용 다수성 품종으로 선발된 Velox를 공시하여 춘파성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 분지수, 엽수등의 수량구성형질은 3월중하순에 파종한구가 가장 우수하였다. 2, 생초수량과 건물수량도 역시 3월중 하순에 파종한 구가 증수되었다. 3. 조단백질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높았고, NDF, ADF, cellulose 및 lignin등의 조섬유 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저하되었다. 4. IVDMD은 일정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고 건물수량이나 가소화 건물 수량은 3월중ㆍ하순에 파종한 구가 높았다.

  • PDF

Effects of Fertilize Levels on Growth Characters, Dry Matter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in Spring Sowing (청예 사초용 유채의 춘파성 시비량 반응)

  • 권병선;신정식;신동영;현규환;김학진;임준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83-86
    • /
    • 2003
  • 최근 단경기 사료작물로 사초용 유채가 관심을 끌게 되어서(김등, 1986; 안등, 1989 ; 조등, 1988). 사초용 유채의 재배 면적 확대가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어 춘파성 시비량 구명시험을 실시하여 3요소 시비수준이 사초용 유채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3월25일에 파종하여 수행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비량에 있어서는 3요소중 질소의 비효가 가장 컸으며, 인산과 가리는 증비(기준량 6kg/10a초과)의 효과가 거의 없었다. 2. 질소의 시용은 16kg/10a까지 직선적인 증수를 나타냈다. 3. 3요소의 적정 시비 수준은 N-P$_2$O$_{5}$-K$_2$O = 16-6-6 kg/10a 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고 NDF, ADF, Cellulose 및 Lignin 등 조섬유 함량이 가장 낮으며, IVDMD 가 높고 건물수량이나 가소화 건물 수량이 가장 높아서 유의차가 인정 되었다 ( P 〈0.05 ).

  • PDF

In fluence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Yield and Nutrient Quality of Forage Rape in Spring Sowing (청예 사초용 유채의 춘파성 파종량 반응)

  • 권병선;신정식;임준택;현규환;신동영;김학진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90-93
    • /
    • 2003
  • 사초용 유채의 추파 재배에서는 경태, 주경엽수, 분지수, 분지엽수등의 수량 구성 형질과 생초수량은 휴폭 50cm $\times$ 주간 30cm의 점파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건물수량과 조 단백질함량, IVDMD, 가 소화 건물수량은 가장 밀식된 산파구에서 높았으며 NDF, ADF, Cellulose, Lignin등의 조섬유 함량은 식물체가 밀식된 상태에서 극히 세장한 관계로 가장 낮았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Ahn 등, 1989 ; Macforlane Smith 등, 1985) 우리나라 에서는 사초용 유채의 춘파 파종법(재식밀도)에 관한 시험연구는 아직 수행된바 없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사초용 유채의 재식밀도가 수량구성요소, 수량 그리고 영양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Volox 품종을 공시하여 춘파 파종량 시험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장을 제외한 경태, 주경엽수, 분지수, 분지엽수 등의 수량구성형질과 생초수량은 휴폭 50cm에 주간 30cm의 점파구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2. 건물수량과 조단백질 함량은 가장 밀식된 산파구에서 높았다. 3. IVDMD와 가소화 건물 수량은 산파구에서 가장 높았다. 4. NDF, ADF, Cellulose, Lignin 등의 조섬유 함량은 식물체가 밀식된 상태에서 극히 세장한 관계로 산파구에서 가장 낮았다.

  • PDF

Effects of Total Mixed Fermentation Feeds Based on Rice-straw and Six Forage Crops on the Productivity of Holstein Cows (청예사료작물과 볏짚 위주의 완전배합발효사료 급여가 Holstein 착유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Lee, H. J.;Kim, H. S.;Ki, K. S.;Jeong, H. Y.;Baek, K. S.;Kim, J. S.;Cho, K. K.;Cho, J. S.;Lee, H. G.;Woo, J. H.;Choi, Y. J.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45 no.1
    • /
    • pp.69-78
    • /
    • 2003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value of total mixed fermentation feeds(TMFF) as completely mixed ration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various kinds of TMFF on the palatability, feed intake, and milk performance in Holstein cows. The dry matter (DM) content of TMFF used in the experiment was 23.98-28.42% range, and CP, TDN, ADF and NDF were 16.2${\sim}$19.2%, 58.3-65.1%, 34.4-39.6% and 46.9${\sim}$49.9% levels, respectively. The relative feed value (RFV) in rape-, alfalfa-, grass-, oat-, corn-TMFF groups were 138.6, 133.9, 116.5, 111.8, 111.4 and 108.1, respectively. Among these groups, RFV of rye-TMFF group was lowest. Dry matter disappearance(DMD) showed 0.8${\sim}$.9% to the all kinds of TMFF groups. The pH was 3.89${\sim}$.87 and $NH_3$-N concentration was 6.93-8.66 mg/$d\ell$. The acetic acid concentration in the raw material of TMFF showed low level of 0.19${\sim}$0.57%, lactic acid showed high level of 1.17${\sim}$3.21% and butyric acid was very high as 0.03${\sim}$0.32%.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that the quality of TMFF was not so bad. In the daily fresh matter intake on the alfalfa-, grass-, rape-, corn-, oats- and rye-TMFF were showed 62.85, 60.48, 58.04, 57.11, 54.61 and 45.74 kg respectively. All TMFF showed high palatability as daily dry matter intake of 1.95 to 2.90% by body weight of experimental cows. Body condition score(BCS) was gradually increased in during 60 days of the experiment term. Average daily gain(ADG) showed about 140.0${\sim}$326.7g. In alfalfa-TMFF group, the ADG was higher than in the other groups (p<0.05). Also, the increase in BCS was observed in grass-TMFF group (3.07 to 3.34) and rye-TMFF group was decreased in 3.07 to 3.34 (p<0.05). The milk yield appropriately showed a range of 16.16${\sim}$18.95 kg in all groups. Among these groups, alfalfa-TMFF group was highest(P<0.05). Average milk fat contents showed high levels of 4.06${\sim}$4.79% and the level was high in order of rape-, grass-, corn-, alfalfa-, rye- and oats-TMFF. Milk protein was highest in forage-TMFF and level of lactose in milk was approximately 4.56% in overall groups. Solid non fat(SNF) and total solid(TS) contents were 8.75% and 12.8%, respectively. However, milk composition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M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