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crop

검색결과 667건 처리시간 0.024초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Model for Dairy Cattle Production Systems Integrated with Forage Crop Production

  • Kikuhara, K.;Kumagai, H.;Hirooka,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1호
    • /
    • pp.57-71
    • /
    • 2009
  • Crop-livestock mixed farming systems depend on the efficiency with which nutrients are conserved and recycled. Home-grown forage is used as animal feed and animal excretions are applied to cultivated crop lands as manu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ixed farming system model for dairy cattle in Japan. The model consisted of four sub-models: the nutrient requirement model, based on the Japanese Feeding Standards to determine requirements for energy, crude protein, dry matter intake, calcium, phosphorus and vitamin A; the optimum diet formulation model for determining the optimum diets that satisfy nutrient requirements at lowest cost, using linear programming; the herd dynamic model to calculate the numbers of cows in each reproductive cycle; and the whole farm optimization model to evaluate whole farm management from economic and environmental viewpoints and to optimize strategies for the target farm or system. To examine the model' validity, its predictions were compared against best practices for dairy farm management. Sensitivity analyses indicated that higher yielding cows lead to better economic results but higher emvironmental load in dairy cattle systems integrated with forage crop production.

Predicting Italian Ryegrass Productivity Using UAV-Derived GLI Vegetation Indices

  • Seung Hak Yang;Jeong Sung Jung;Ki Choon Choi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65-172
    • /
    • 2024
  • Italian ryegrass (IRG) has become a vital forage crop due to its increasing cultivation area and its role in enhancing forage self-sufficiency. However, its production is susceptible to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limate change and drought, necessitating precise yield prediction technologi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IRG and predict dry matter yield (DMY) using vegetation indices derived from unmanned aerial vehicle (UAV)-based remote sensing. The Green Leaf Index (GL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normalized difference red edge (NDRE), and optimized soil-adjusted vegetation index (OSAVI) were employed to develop DMY estimation models. Among the indices, GLI demonstrat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DMY (R2 = 0.971). The results revealed that GLI-based UAV observations can serve as reliable tools for estimating forage yield under varying environmental conditions. Additionally, post-winter vegetation coverage in the study area was assessed using GLI, and 54% coverage was observed in March 2023. This study assesses that UAV-based remote sensing can provide high-precision predictions of crop yield, thus contributing to the stabilization of forage production under climate variability.

간척지에서 SCB 액비를 이용한 여름철 사료작물 재배에 관한 연구 (Study on Summer Forage Crop Cultivation Using SCB (Slurry Composting-Biofilteration) Liquid Fertilizer on Reclaimed Land)

  • 조남철;신재순;김선호;윤세형;황보순;정민웅;이경동;김원호;서성;김종근;송채은;최기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1-126
    • /
    • 2010
  • 본 연구는 간척지에서 여름철 대표 사료작물인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의 생산성 및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시 생산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8년은 화옹간척지에서 2009년은 석문간척지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간척지에서 사료작물의 생산성은 옥수수가 수수${\times}$수수 교잡종보다 높았으며 사료가치도 옥수수가 수수${\times}$수수 교잡종보다 높았다. 화학비료와 가축분뇨의 시용시 생산성은 옥수수의 경우 화학비료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의 경우 화옹간척지에서 시험한 결과 SCB 액비구에서 높았고 석문간척지에서는 돈분액비구에서 높은 수량을 보였다. 사료가치는 화학비료구와 가축분뇨 시용구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반면 사료작물의 생산성과 토양염류도와의 관계성은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시험결과로 보아 간척지에서 여름철 대표사료작물인 옥수수와 수수${\times}$수수 교잡종의 재배가 가능하며 가축분뇨를 시용하여 재배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지며 돈분액비와 SCB 액비의 경우 새로운 비료로서 대체 가능성이 있으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모작 재배에 적합한 조숙성 조사료용 트리티케일 신품종 '조성' ('Joseong', a New Early-Heading Forage Triticale Cultivar for Paddy Field of Double Cropping)

  • 한옥규;박태일;박형호;송태화;주정일;정재현;강성주;김대호;최홍집;박남건;김기종;황종진;백성범;권영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3-202
    • /
    • 2012
  • '조성'은 국내에서 답리작 재배가 가능한 조숙성 트리티케일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0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육성되었다. 계통은 1992년에 국제밀 옥수수연구소(CIMMYT)에서 FAHAD_5와 RHINO1R.1D 5+10 5D'5B'의 잡종에 FAHAD_5를 여교잡하여 작성되었으며, 선발된 고세대 계통인 'CTSS92Y-A-4Y-0M-5Y-0B'에 대해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간 생산력 검정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계통은 숙기가 빠르고 건물수량이 많아 '익산26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간에 걸쳐 제주 익산 청원 예산 나주 대구 및 진주 등 7개 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여 2010년 11월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그 특성은 다음과 같다. 트리티케일 신품종 '조성'은 농록색 잎, 황색 줄기, 황갈색의 큰 종실을 가졌다. 출수기가 전국 평균 4월 24일로 표준 품종인 '신영'보다 5일, 제주지역에서는 10일 빨랐다. '조성'의 한해는 '신영'과 대등하였고, 도복에 강하였으며, 습해 흰가루병 및 잎녹병 등에 저항성이었다. 건물수량은 ha당 평균 14.5톤으로 16.5톤인 '신영'에 비해 12% 낮았다. '조성'은 '신영'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5.3%로 다소 낮았으나 NDF 및 ADF 함량(%)이 낮아 TDN 함량(%)이 64.0%로 '신영'에 비해 2.1% 높았다. '조성'은 '신영'에 비해 천립중이 46.6g, ${\ell}$중이 692g으로 무겁고, 종실수량이 ha당 5.1톤으로 '신영'보다 40% 많았다. 적응지역은 1월 최저평균기온이 $-10^{\circ}C$ 이상인 지역이면 전국 어느 곳에서나 재배가 가능하며, 특히 벼 이앙이 빨라 월동작물의 재배가 곤란한 지역에서도 답리작 재배를 통한 조사료 생산이 가능하다.

Evaluation of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Crops Following Rice Harvest at Paddy Field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 Song, Hui Mang;Park, Sang Hyun;Kim, Hwa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8-133
    • /
    • 202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forage yield and feed value of winter crops such as Italian ryegrass (IRG), oat, rye, barley, and hairy vetch. Forage crops were sown on 15th October 2018 in a paddy field after harvesting rice and forage crops were harvested at two times of 25th April 2019 and 18th May 201 9. The highest dry matter (DM) yield was harvested from rye among the five species of forage crop on 18th May. DM yield of all forages was increased 14.4% on 18th May compared to 25th April. The highest yield of crude protein (CP) was obtained from hairy vetch on 25th April, whereas it was decreased (38.1%) on 18th May. Moreover, the highest total digestible nutrient (TDN) yiel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as harvested respectively from rye and hairy vetch on 25th April. Delay of harvest time considerably increased DM yield but significantly decreased CP and RFV. In conclusion, rye was the best source of DM and TDN and hairy vetch was the high-quality feed. Rye harvested on 25th April is the proper forage for resolving Korea's problem of insufficient forage yield.

Intercropping of Cow Pea (Vigna unguiculata) as Summer Forage Yield with Grewia tenax in Irrigated Saline Soil of Khartoum State, Sudan

  • Abdalla, Nasre Aldin Mustafa;Alawad, Seid Ahmed Hussein;ElMukhtar, Ballal Mohamed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122-127
    • /
    • 2022
  • Agroforestry in terms of intercropping cow pea as summer forage with Grewia tenax was undertaken under sub -irrigation system in two consecutive seasons of 2017 and 2018 in saline soil of Khartoum State of Sudan. The aims were to find out suitable agro forestry system for saline soils as well as to investigate effect of tree spacing on field summer forage crop under semi -irrigation system. Therefore G. tenax trees that spaced at 4×4 m were used as main factor versus cow pea crop that incorporated at 25×50 cm intervals by using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ions. Trees and crop parameters were determined in terms of plant growth and yield. In addition to land equivalent ratio and soil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at different layer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soil parameters in terms of CaCo3, SAR, ESP, pH paste and EC ds/m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s. Meanwhile tree growth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rst season in 2017. Whereas in the second season in 2018 tree growth namely; tree height, tree collar and canopy diameters were higher under intercropping than in sole trees. Cow pea plant height recorded significant differences under sole crop in the first season in 2017. Unlike the forage fresh yield that was significant under the inter cropped plots. Tree fruit yield was higher under sole trees and land equivalent ratio was more advantageous under GS2 (1.5 m) which amounted to 4.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troduce this agroforestry system under saline soils to provide summer forage of highly nutritive value to feed animals and to increase farmers' income as far as to halt desertification and to sequester carbon.

사료맥류의 생육단계별 헤일리지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of Haylage of Winter Cereal Crops for Forage at Different Growing Stages)

  • 송태화;박태일;한옥규;김기종;박기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19-428
    • /
    • 2012
  • 이 연구는 동계 사료맥류를 활용하여 건초대용 양질 헤일리지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맥종별 수확시기, 적정 건조시간 및 헤일리지 품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건물수량과 TDN 수량은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단백질과 NDF, ADF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p<0.05). 헤일리지 조제를 위한 건조시간은 청보리,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 모두 유숙기에는 수분함량이 높음과 동시에 기상온도도 높지 않으므로 32시간 이상 예건이 필요하고, 황숙기에는 8~24시간 정도 예건이 필요하며, 완숙기에는 예건이 필요 없었다. 호밀은 출수 후 10일에는 32시간 이상, 출수 후 20일, 30일에서는 24시간 이상 예건이 필요하였다. 헤일리지 발효품질에서 pH는 모든 맥종에서 모두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젖산함량은 유숙기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감소하였다(p<0.05). 초산도 수확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낙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사료맥류로 헤일리지 조제 시 단백질함량이나 발효품질 면에서는 수확이 빠를수록 유리하지만 우리나라 기상조건으로 볼 때 예건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호밀은 청예나 사일리지로 이용을 하고 청보리와 귀리, 트리티케일, 총체밀은 황숙기에 수확하여 8~24시간 정도 예건하면 헤일리지로 이용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경북지역에서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동계사료작물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inter Forage Crops in Gyeongbuk Regions)

  • 황보순;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51-465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2011년부터 2012년까지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보리, 호밀, 밀과 트리트레일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 조사료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사육 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PK시비구, 화학비료 NPK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구, 우분뇨 시용구, 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과 가소화양분총량(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 시비구가 가장 높았으나(p<0.05), 유기질 비료구, 우분뇨 및 콩과작물 혼파구와 유의적 차이는 나지 않았다. 청보리의 TDN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청보리를 급여시 한우 암소는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forage pea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2.8~3.1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수량은 화학비료 NPK구가 가장 높았으나, 우분뇨구와 유의적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TDN과 RFV는 유기질비료구가 화학비료 NPK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콩과를 혼파한 호밀을 급여할 경우 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사육두수는 평균 2.8~3.2두 규모의 가축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유기질비료, 우분뇨 혹은 우분뇨 시용에 두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 당 각각 6.9~7.44, 0.53~0.60 및 4.35~5.04 톤으로 나타나, 밀을 급여할 경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1~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트리트케일의 TDN 수량은 화학비료 NPK구, 유기질비료구, 우분뇨구 및 콩과혼파구가 무비구와 화학비료 PK구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조단백질 함량은 forage pea 혼파구가 가장 높았다(p<0.05). 트리트케일을 급여할 경우 유기한우 암소는 연간 ha 당 평균 3.4~3.7두 규모의 사육능력이 추정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건물생산성만을 고려해서 화학비료와 동계사료작물을 단파로 재배하는 것보다 가축의 기호성과 품질의 개선까지 고려하여 액상우분뇨 50% 시용과 함께 콩과작물인 헤어리베치와 forage pea 등을 혼파 하는 것이 단위면적당 수량과 단백질 함량 등의 사료가치를 높이며 유기 가축사육 시에는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되는 수입 곡류 등을 대체하는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옥수수의 수확시기가 사초의 생산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Harvest Dates on Dry Matter Yield and Forage Quality of Corn ( Zea mays L. ))

  • 임상훈;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5-80
    • /
    • 1996
  • The cor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orage crop in Korea. The harvest time for silage affects dry matter (DM) yield and silage qual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rvest time on the DM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corn forage at the Experimental Livestock Farm,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eon in 1991. Forage DM yield and DM content of corn forage significantly increased mainly due to increase of ear. And also the ear to total DM ratio increased from 30% to 55% as the harvest was delaye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orn forage was improved by reduction in crude fih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acid detergent fiber as the harvest was delayed. Th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harvest time of corn forage plays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DM yield and DM contents for silage materi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