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age Ry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3초

무인기 기반 동계 사료작물의 건물수량 예측을 위한 최적 식생지수 선정 (Selection of Optimal Vegetation Indices for Predicting Winter Crop Dry Matter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 신재영;이준민;양승학;임경재;이효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96-202
    • /
    • 2020
  • 본 연구는 동계사료작물의 무인기기반 생육모니터링을 위하여 호밀, 총체보리, IRG를 대상으로 다중분광영상으로 건물수량을 예측하기 위한 최적식생지수를 테스트하였다. 2019년 2월부터 4월까지 나주의 실경작지에서 무인기 다중분광카메라로 분광영상을 수집하여 4종류의 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Green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GNDVI, Normalized Green Red Difference Index; NGRDI and Normalized Difference Red Edge Index; NDREI)를 산출하고 지상에서 건물수량을 조사하여 식생지수와 건물수량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호밀, 총체보리, IRG에 대하여 건물수량과 NDVI의 상관관계(R2)는 0.91~0.92, GNDVI는 0.92~0.94, NGRDI는 0.71~0.85, NDREI는 0.84~0.91로 GNDVI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답리작 대맥.호맥의 파종기.시비량 및 예취방법이 청예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wing Dates, Fertilizer Levels and Clipping Treatment on Forage Production and Quality of Barley(Hordeum vulgare L.) and Rye(Secale cereale L.) in Paddy field)

  • 최영원;이호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0-346
    • /
    • 1985
  • 청예사료생산을 목적으로 대맥·호맥을 답리작으로 재배할 때 파종기와 시비량, 그리고 예취시기와 높이, 예취회수가 청예건물 생산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식물체의 출현율에 있어서 대맥은 10월이 지나게 되면 출현율이 현저히 저하되어 한계파종기는 10월말이었으며, 호맥은 11월초까지 파종하여도 출현율의 차이가 없다. 2. 월동률은 비료수준과는 관계가 없었으며, 파종시기간에는 대맥의 경우,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월동률이 높았으며, 호맥은 파시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다. 또한 호맥이 대맥보다 월동률이 높았다. 3. 출수기의 청예건물 수량은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그리고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많은 경향이었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청예수량이 높았다. 4. 출수기 때 예취한 식물체의 조성분 중 조단백질·조지방 함량은 비료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조회분·조섬유 및 TDN 함량은 시비량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NFE는 비료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TDN yield는 비료수준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호맥이 대맥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5. 2회예취처리에서는 1차예취시기가 빠를수록 호맥에서는 수량이 많은 경향이었으나, 대맥의 경우에는 1차예취기간에 차이가 없었다. 6. 예취높이는 12cm를 유지해 줄 때 재생이 좋아서 총수량이 많았다. 1회, 2회, 예취회수에서는 2회예취에서 청예수량 및 TDN yield가 가장 많았다.

  • PDF

액상구비의 시용시기와 시용수준이 호밀 (Secale cereale L.) 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tment Level and Seasons of Slurry on Productivity of Rye (Secale cereale L.))

  • 육완방;차용복;금종성;이종민;한영근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81
    • /
    • 1997
  • This study was wnduct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reatment level and seasons of sluny hm bovine feces on the productivity of rye, N efficiency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under the Korean climate condition. The results obtained fiom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highest dry matter yield of rye was obtained in the partial fertilization of sluny in spring or autumn. There is no differences of dry matter yield between spring and autumn application. 2.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slurry-N, the dry matter yield of rye was signigicantly increased up to 100Kg sluny Nha. As the level of slurry-N rises above about 100Kg N/ha, the maximal yield of dry matter was unchanged or declined. 3. As the level of sluny fertilization rises,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rye increases significantly. However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was less affected by the application seasons. 4. The amount of nitrogen which produced 6om rye is dependent upon the level of slurry-N. The highest nitrogen yield of rye was obtained by the partial fertilization of sluny-N. 5. The season or amount of slurry treatments did not affect the organic matter content in soil. N-content in soil was the lowest by the partial fertilization of slurry in spring or autumn. However, N-content was increased with the higher level of sluny-N.

  • PDF

사료용 호밀 보급품종의 주요 생육특성과 수량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Winter Rye Cultivars)

  • 성병렬;임용우;김맹중;김기용;최기준;임영철;임근발;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1-308
    • /
    • 2004
  • 본 시험의 연구목적은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출수기를 조사하여 숙기군을 분류하고, 지역별 파종기별 적품종을 추천하여 양질 다수성 조사료를 안전하게 생산 이용하기 위함이다. 축산 연구소 조사료자원과 시험포장에서,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개년 동안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사료용 호밀의 출수기가 가장 빠른 조숙품종은 올호밀, Vita grazer, 팔당호밀 등 3개품종이었으며, 중숙품종에는 Kool grazer, Bi,u grazer, Maton, Winter grazer 및 호밀22호 등 5개 품종이었고, 만숙품종군에는 가장 출수기가 늦은 5월 5일의 Danko와 5월 1일의 Humbolt 등 2개 품종이었다.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m^{2}당 경수는 대부분의 품종들이 1,000개 이상이었으며, 경수가 가장 적은 품종은 건물수량이 가장 높은 Humbolt 품종의 789개이며, 도복이 비교적 적은 품종은 만생품종 Danko이었다. 그리고 한해, 병해 및 충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품종 간 사료 품질 특성의 차이도 다소 있음을 알 수 있다. ha당 건물수량은 표준품종 Kool grazer가 12,409kg일때, 이 보다 증수된 품종은 Humbolt가$23\%$로 가장 높았으며, Vita grazer $21\%$, Maton $13\%$ 등 크게 증수되었으며, 이 밖의 다른 품종들도 5~$10\%$가지 증수되었으며, Homil22는 표준품종과 거의 같았다.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Feed Value and Drying Rate of Rye (Secale cereale L.) Hay

  • Li, Yu Wei;Kim, Jong Geun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1-207
    • /
    • 2017
  • Hay-mak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forage preservation practices in livestock operations. The objective of hay-making is to minimize nutrient loss by shortening field drying time. Measuring the impacts of cutting height of forage crop is necessary to optimize hay production balancing yield and quality, in order to obtain substantial biomass increase through harvest of regrowth.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utting height of rye (Secale cereale L.) on drying rate and hay quality. Heading stage rye was harvested at 8cm or 15cm stubble heights. Hay was daily tedded at 09:00 and sampled at 09:00, 13:00 and 17:00 to determine moisture content (MC). After two month of preservation, CP (crude protein), ADF (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 IVDMD (in vitro dry matter disappearance),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RFV (relative feed value), DM (dry matter) loss, visual scores and total fungi count were determined for estimation of hay quality. Cutting height at 15cm could enhance the drying rate and CP content (p<0.05), but also increases DM loss (p<0.05) compared to cutting at 8cm. Cutting heights did not affect ADF, NDF, IVDMD, TDN and RFV value (p>0.05). Visual scores of rye hays cutting at 8cm and 15cm, ranged from 83 to 85. Cutting at 8cm tended to maintain higher core bale temperature and fungal count than cutting at 15cm during preserv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파종시기 및 가을 수확방법이 추파호밀의 생육특성 ,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ate and Fall Harvest Method on the Growth Charateristics , Forage Yield and Quality of Winter Rye)

  • 김종덕;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8-246
    • /
    • 1994
  • 본 시험은 가을에 파종한 호밀()에 대한 파종시기 및 가을 수확방법이 호밀의 생육특성, 사초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1992년 9월 5일부터 1993년 4월 21일까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부속시럼목장의 사초시험포장에서 수행되였으며, 가을수확방법으로서 무예취, 가을예취 및 가을 방목을 주구로 하고 파종시기(조기파종;9월 5일, 중기파종;9월 25일, 만기파종;10월 15일)를 세구로 하는 분할구 시험법으로 3반복 설계배치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호밀의 출수시작일은 무예취 및 가을방목간에는 3일차이가 있었으나 조기 및 만기파종간에는 6일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호밀의 출수시작일에 미치는 가을파종시기의 영향은 가을수확방법보다 더 컸다. 2. 호밀의 CPgkafid은 가을방목구가 16.5%로 가을예취 및 무예취구의 15.6보다 조금 높았으나, 파종기에 따라 호밀의 CP함량은 조기, 중기 및 만기파종이 각각 14.2, 14.5, 19.0%를 보였다. 3. 호밀의 ADF 함량은 가을예취(29.9%)및 무예취구(29.5%)가 가을방목구의 28.0%보다 조금 높았으며 파종기에 따라서는 조기, 중기 및 만기파종이 각각 30.7, 29.1 및 27.7%를 보였다. 또한 가을수확방법 및 파종시기에 따른 호밀의 NDF함량은 ADF함량과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4. 호밀의 RFV와 IVDMD는 무예취 및 가을 예취구가 가을방목구보다 낮았으나, 파종기의 경우는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5. 호밀의 건물수량은 가을예취구가 6,779kg/ha로 가장 높았고 무예취구가 6,240kg/ha로 가장 낮았으나 수확방법간에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파종기에 따른 건물수량은 파종이 늦어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호밀은 봄의 1회 수확보다 가을 일찍 파종하여 가을과 봄에 2회 수확하는것이 사초수량이 높았다.

  • PDF

고냉지 사료작물 윤작체계 조사연구 (Studies on the Rotation System to Forage Crop Cultivation at the Alpine Area)

  • 한성윤;김대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00-304
    • /
    • 1993
  • 평야지보다 일조량과 적산온도가 다소 적은 고냉지에 적합한 사료작물 윤작체계를 구명하여 토지의 이용성 및 단위생산성을 제고하여 조사료 생산기반을 확대시키고자 호맥+숙기가 다소 틀린 옥수수조생종, 중생종, 만생종으로 9개 품종의 작부체계를 공시하여 2모작 작부체계를 확립고자 해발 800m의 대관령지역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1. 높고 추운 대관령 지역에서도 양호하게 호맥을 재배할 수 있다. 2. 호맥후작으로 도입되는 옥수수는 구태어 조생종이나, 중생종이 아니라도 대관령 지역같은 고랭지에서도 만생종 옥수수재배가 가능하다. 3. 호맥에 이은 옥수수재배의 2모작으로 건물량이나 생초수량으로 약 30%의 증수가 가능하다. 4. 가장 우수한 사료작물로서 열대성 작물인 옥수수는 지형이나 지역적인 환경변이 즉, 고도의 상승에 따라 야기되는 기온의 저온화 현상에 의해 숙기나 발육상태가 단축되거나 늦어지기도 한다.

  • PDF

추파 청예작물의 저온 조건하에서 질소의 분배에 관한 연구 I. 외인성 질소의 흡수 및 내인성 질소의 전이 (Nitrogen Patitioning at Low Temperature in Fall-Sowing Species I. Uptake of exogenous N and remobilization of endogenous N)

  • Kim, Tae-Hwan;Kim, Byung-Ho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9-256
    • /
    • 1997
  • A pulse-chase labeling of $^{15}N$ on winter rye (Scale cereale) and forage rape (Brassica napus) grown at $15^{\circ}C$ and $25^{\circ}C$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on the uptake exogenous N and the remobilization of endogenous N. The growth rate of leaves and roots depressed at $5^{\circ}C$. AAer 9 days at $5^{\circ}C$, nitrogen content of leaves decreased to 20% on the average while that of roots increased to 12% compared with the plants grown at $25^{\circ}C$. Total content of $NO_3$- uptake 60m medium was 23.0 and 43.5 mg Nlplant, respectively, for winter rye and forage rape grown at $5^{\circ}C$ during 9 days. These values were corresponded to 59.3 and 26.1% lower uptake than those of $25^{\circ}C$. A large part of 1 5 ~ was distributed into leaves throughout time course in both of two species. The content of $^{15}N$ in leaves of winter rye at day 6 increased to 166 and 296 $\mu^{15}$N/plant compared with the initial value (day 0) in the plants grown at $5^{\circ}C$and $25^{\circ}C$ , corresponding to 90 and 163 $\mu$g N of remobilization h m roots into leaves during the fist 6 days. From 7 to 9 days, 75 and 52 $\mu$gN of outflow 6om leaves were occurred at $5^{\circ}C$ and $25^{\circ}C$. However, little remobilization of endogenous N was estimated in forage rape throughout the entire time course regardless of temperature treatment. Comparing two species studied, winter rye was much sensitively influenced by low temperature on the uptake of exogenous N and the remobilization of endogenous N.

  • PDF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 생산능력 (Forage Yield and Quality in Rye Cultivars with Different Harvesting Dates)

  • 김수곤;김종덕;권찬호;하종규;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7-104
    • /
    • 2006
  • 본 연구는 수확기에 따른 호밀 품종간의 사초생산능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분할구 배치법으로 주구는 4월 20일과 4월 30일의 수확시기를, 세구는 'Kodiak', 'Koolgrazer', 'Danko', 'Homil22', 'Olhomil' 품종으로 하였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함량은 각각 17.8%로 만기수확시의 20.0% 보다 낮았으나,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는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건물, 조단백질 및 TDN 함량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ADF, NDF, ADL 및 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낮았으나, hemi-cellulose 함량은 조기수확이 만기수확시 보다 높았다.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의 섬유소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조기수확시의 건물, 조단백질, IVDDM 및 TDN 수량은 각각 7,839, 1,468, 6,077 및 5,128kg/ha로 만기 수확시의 11,003, 1,813, 8.032 및 6,857kg/ha 보다 낮았으며 공시품종 간에는 조생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하여 높았다. 시험에서 얻어진 결론은 사초용 호밀의 수확시기를 고려할 때 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은 조생호밀품종에 만기수확을 조합하는 사초생산기술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이다.

중북부 지방에서 호맥의 청예와 종실수량 연구 (Utilization and Yield of Forage and Grain on Winter Rye in Northern and Central Areas of Korea)

  • 맹돈재;차영훈;이성열;송수현;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8-85
    • /
    • 1987
  • 본 실험은 팔당호밀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중북부 지방에서 월동전 청초 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는지를 검토코저, 춘천, 수원, 화성 및 청주에서 2개년 동안 실시하였다. 파종기는 각 지역 모두 4파종시기로서, 청초예취는 월동직전 1회 예취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월동전 예취시 초장, $m^2$당 경수 및 청초수량은 조기파종인 9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크고 많았으며, 만기파종인 10월 11 일 파종에서 가장 적었는데, 춘천의 9월 11 일 파종에서 청초수량이 10a당 1.803kg으로서 가장 많았다. 2. 청초수량의 기여정도는 주로 초장 및 경수에 의하여 좌우되는데 경수보다는 초장의 기여도가 더 크게 영향하였다. 3. 예취에 의하여 월동중 냉해의 피해를 받았으며, 또한 출수기가 늦고, 초장도 감소되었다. 4. 수량구성형질중 $m^2$9당 수수만이 예취별에 따라 고도의 유의성 있었으며, 타형질들은 파종기 및 예취구분간에 변이가 적었다. 5. 종실수량은 무예취구에서 많았으며 예취구와의 차이는 45kg/10a로서, 예취구의 간장 및 월동률저하는 종자수양을 감소시켰다. 또한 수양구성요소중 $m^2$당 수수는 종자생산에 가장 크게 영향하였다. 6. 청초수량이 많은 조파의 종실수량은 청초예취 및 무예취구간에 변이가 적고 절대수량이 많아 적절한 재배관리에 의하여 축산농가에서 월동전 청초이용후 종실을 생산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