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t Angle

검색결과 584건 처리시간 0.035초

휠체어 균형 조정을 위한 스마트 센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y of Smart Sensors for Wheelchair Balancing Control)

  • ;조영빈;김진술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1585-1592
    • /
    • 2018
  • 휠체어에 대한 균형을 맞추지 못하는 체중 배분으로 인해 기존의 휠체어 시스템은 휠체어가 언덕으로 올라갈 때 뒤집히거나 떨어질 위험에 직면합니다. 이 논문에서는 휠체어를 타는 동안보다 안전하기 위해 통합 된 자이로 센서와 틸트 센서를 사용하여 균형을 제어하는 실시간 새 솔루션을 제안했습니다. 휠체어의 전형적인 특성은 발을 움직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 특수 사용자를위한 것이기 때문에 휠체어 시스템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고 도움이되었습니다. 우리의 방법에서는 경사 센서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트 각을 계산한다. 그러나 휠체어가 움직이는 관성의 법칙으로 인해 틸트 센서의 출력 값에 편차가 있습니다. 따라서 자이로 센서의 출력 인 가속도를 이용하여 각도 값을 최적화해야합니다. Gyro 센서와 Tilt 센서의 조합을 사용하여 이점을 얻었습니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소비 문제도 해결했습니다. ZigBee 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해 밸런싱 시스템의 전력 소비가 크게 줄어 들었습니다.

운동이 안면두개골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CRANIOFACIAL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SPORTSMEN)

  • 임은경;최영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63-575
    • /
    • 2003
  • 호흡기능 또는 근기능이 얼굴의 구조적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어려서부터 한가지 운동종목을 전공하여 온 체육대학 학생 137명을 운동의 유형에 따라, 지속적으로 심폐지구력이 많이 요구되는 운동군(1군), 심폐지구력이 많이 요구되기는 하나 1군보다는 적게 요구되는 운동군(2군), 그리고 순간적인 근력이 크게 요구되는 운동군(3군)으로 분류하고, 정모 및 측모 방사선사진을 계측학적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머리너비길이지수는 모두 단두개에 속하였으며,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2. 1군과 2군의 얼굴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1군과 3군간, 2군과 3군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5). 3. 얼굴지수와 높은 상관관계를 지닌 각 군의 계측항목은 전하안면높이(상관계수: $0.63{\sim}0.69$, p<0.001), 총안면높이, 전상치조높이, 전하치조높이 및 총안면두개높이 등이었다. 4. 3군의 두개계측치는 전상안면높이(상관계수: $0.36{\sim}0.55$, p<0.001) 및 전하안면높이(상관계수: $0.31{\sim}0.56$, p<0.001)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1군과 2군은 얼굴의 수직 계측치가 전반적으로 컸고, 3군은 수평 계측치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한 테라테이먼트 하지복합운동이 안굽이 무릎 하지 변형자의 무릎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ratainment Low Extremity Complex Exercise using Unstable Surface on Knee and Plantar Pressure in Patient with Genu Varum)

  • 김기도;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37-344
    • /
    • 2020
  • 본 연구는 불안정 지지면을 적용한 테라테이먼트 하지복합운동이 안굽이 무릎 하지 변형자의 무릎과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굽이 무릎 2등급 남녀 25명을 대상으로 안정 지지면 운동 그룹(SEG)과 불안정 지지면 운동그룹(UEG)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지복합운동 프로그램은 탄력밴드를 이용한 하지운동과 스쿼트 운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총 5주간, 주 4회 40분 실시하였다. 무릎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무릎사이 간격과 Q-각을 측정하였으며, 정적 족저압을 평가하였다. 무릎사이 간격과 Q-각 측정 결과 각 집단에서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무릎 사이 간격은 감소하고 Q-각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실험 후 집단 간 비교 검사 결과, 무릎사이 간격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정적 족저압 평가 결과 각 집단에서 모두 실험 전에 비해 실험 후 양쪽 발의 앞쪽 비율(FFR)은 감소하고, 뒤쪽 비율(RFR)은 증가하였다. 안정 지지면 운동그룹의 왼쪽 발 앞쪽 비율(FFR)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하지복합운동이 안굽이 무릎 하지 변형자의 무릎 구조 교정 및 정적 족저압 개선에 효과적이며, 불안정 지지면은 하지복합운동의 효과를 증가 시킬 수 있는 좋은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을 통한 Kirschner Wire 강선 지지대 고정술의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of 'Blocking Kirschner Wire Technique' in Displaced Intra-Articular Calcaneal Fractures via the Extended Sinus Tarsi Approach)

  • 이정길;강찬;김상범;이기수;황정모;안병국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4-233
    • /
    • 2021
  • 목적: 종골 골절 후 발생하는 부정유합으로 인해 체부의 폭이 증가하면 후족부 외측의 통증이 발생한다. 외측벽 돌출을 줄이기 위해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Kirschner wire) 지지대의 정복 유지 효과를 임상 및 영상학적 결과로 후향적으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 환자 중 정복 유지를 위해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한 환자 22명(A군)과 K-강선 지지대를 사용하지 않은 환자 중 A군 환자와 1:2로 짝지은 44명의 환자들(B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수술은 확장된 족근동 접근법으로 시행되었으며 유관나사와 Steinmann 핀, K-강선을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임상적 평가로는 미국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수치와 수술 후 운동능력의 회복 정도를 비교하였다. 영상학적 결과는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와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두 군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도 분석해 보았다. 결과: 임상적 결과는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0.924, p=0.961). 영상학적으로 Böhler 각, Gissane 각, 종골의 높이와 폭, 관절 내 함몰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170, p=0.441, p=0.230, p=0.266, p=0.400),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는 A군이 평균 1.78 mm, B군이 4.95 mm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7). B군에서 비복 신경 포착과 통증을 동반한 외골종의 빈도는 더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93, p=0.655). 결론: 임상적 평가 및 영상학적 평가의 대부분과 두 군의 합병증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종골 외측벽의 돌출 정도에 있어서는 A군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이 고안한 K-강선 지지대 수술법은 전위된 관절 내 종골 골절에서 외측벽 돌출의 정복 유지에 효과적인 수술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대퇴신경 손상 환아의 보행분석 : 사례연구 (Gait Analysis of a Pediatric-Patient with Femoral Nerve Injury : A Case Study)

  • 황선홍;박선우;손종상;박정미;권성주;최익선;김영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5-176
    • /
    • 2011
  • The femoral nerve innervates the quadriceps muscles and its dermatome supplies anteromedial thigh and medial foot. Paralysis of the quadriceps muscles due to the injury of the femoral nerve results in disability of the knee joint extension and loss of sensory of the thigh. A child could walk independently even though he had injured his femoral nerve severely due to the penetrating wound in the medial thigh. We measured and analyzed his gait performance in order to find the mechanisms that enabled him to walk independently. The child was eleven-year-old boy and he could not extend his knee voluntarily at all during a month after the injury. His gait analysis was performed five times (GA1~GA5) for sixteen months. His temporal-spatial parameter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fter the GA2 or GA3 test, and significant asymmetry was not observed except the single support time in GA1 results. The Lower limb joint angles in affected side had large differences in GA1 compared with the normal normative patterns. There were little knee joint flexion and extension motion during the stance phase in GA1 The maximum ankle plantar/dorsi flexion angles and the maximum knee extension angles were different from the normal values in the sound side. Asymmetries of the joint angl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peak values. Significant asymmetries were found in GA1with seven parameters (ankle: peak planter flexion angle in stance phase, range of motion; ROM, knee: peak flexion angles during both stance and swing phase, ROM, hip: peak extension angle, ROM) while only two parameters (maximum hip extension angle and ROM of hip joint)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A5. The mid-stance valleys were not observed in both right and left sides of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GRF) in the GA1, GA2. The loading response peak was far larger than the terminal stance peak of vertical ground reaction curve in the affected side of the GA3, GA4, GA5. The measured joint moment curves of the GA1, GA2, GA3 had large deviations and all of kinetic results had differences with the normal patterns. EMG signals described an absence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activity in the GA1 and GA2 (affected side). The EMG signals were detected in the GA3 and GA4 but their patterns were not normal yet, then their normal patterns were detected in the GA5. Through these following gait analysis of a child who had selective injuries on the knee extensor muscles, we could verify the actual functions of the knee extensor muscles during gait, and we also could observe his recovery and asymmetry with quantitative data during his rehabilitation.

한우 암소의 선형 및 외모심사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for Linear Type and Conformation Traits in Hanwoo Cows)

  • 이기환;구양모;김정일;송치은;정용호;노재광;하유나;차대협;손지현;박병호;이재구;이정규;이지홍;도창희;최태정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1권6호
    • /
    • pp.89-105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혈통정보를 모두 아는 혈통 및 고등등록우로 등록된 한우 암소 25,516두의 선형 및 외모심사형질에 대해 유전모수를 추정하였다. 각 심사형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는 주요인을 선정하여 다형질 개체모형에 적용하여 EM-REML 알고리즘 분석방법을 통해 각 형질에 대한 유전력과 유전상관과 표현형상관을 추정하였다. 한우 암소의 17개 선형심사형질 및 10개 외모심사형질(종합점수 포함)의 유전력 추정치의 범위는 0.03(유두배열)에서 0.42(체장)까지로 추정되었다. 체고, 체장, 강건성, 체심, 윤곽성, 정강이두께, 피모의 색, 엉덩이기울기, 고장, 좌골폭, 넓적다리의 두께, 유방용적, 유두길이, 유두배열, 발굽기울기, 뒷다리 비절기울기, 뒤에서 본 뒷다리자세, 체적 균형, 자질 품위, 머리 목, 전구, 중구, 엉덩이, 넓적다리, 유기, 지제보양 및 종합점수의 유전력은 각각 0.4, 0.42, 0.27, 0.25, 0.06, 0.14, 0.22, 0.31, 0.19, 0.17, 0.29, 0.04, 0.07, 0.02, 0.11, 0.03, 0.16, 0.27, 0.08, 0.15, 0.14, 0.14, 0.19, 0.16, 0.05, 0.08 및 0.3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다형질개체모형에 의해 추정된 17개 선형심사형질과 종합점수에 대한 유전상관추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장과 좌골폭간에 0.96의 가장 강한 양(+)의 유전적 관계를 나타내었다. 반면 발굽기울기와 뒷다리 비절기울기간에는 -0.57의 가장 큰 음(-)의 유전상관을 보였다. 전체외모 형질인 체고, 체장, 간겅성 및 체심은 각 형질간에, 그리고 기타 형질들과 강한 양(+)의 유전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특히 체고 및 체심과 고장 및 좌골폭간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체고와 엉덩이기울기간에는 0.32의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한국인 사체에서의 정상 거골의 실측 (The Measurement of Normal Talus in Korean Cadaver)

  • 하동준;곽희철;김전교;김정한;이창락;김영준;이정한;하병호;김의철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63-169
    • /
    • 2016
  • Purpose: To investigate the measured values of the talus in Koreans. Materials and Methods: We measured 88 tali from 44 cadavers that have been donated between December 2012 and December 2015. Of the cadavers, 27 were male and 17 were female. Their mean age was 73 years.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alus were measured using a digital goniometer and vernier caliper. Results: The values of cadaveric measurement, mean maximal width and length, width and length of the dome anterior, width and length of the posterior facet, height and length of the trochlear medial facet, and height and length of the trochlear lateral facet were $43.6{\pm}2.6mm$, $56.5{\pm}3.3mm$, $32.5{\pm}2.0mm$, $42.2{\pm}2.7mm$, $22.2{\pm}2.2mm$, $34.7{\pm}2.0mm$, $15.3{\pm}1.3mm$, $33.3{\pm}2.9mm$, $25.3{\pm}3.3mm$, and $30.8{\pm}2.4mm$ for men and $38.9{\pm}1.6mm$, $53.6{\pm}2.4mm$, $27.9{\pm}2.1mm$, $37.4{\pm}3.2mm$, $20.6{\pm}0.8mm$, $31.9{\pm}1.2mm$, $13.6{\pm}2.6mm$, $28.4{\pm}2.5mm$, $24.9{\pm}2.1mm$, and $28.9{\pm}1.4mm$ for women, respectively. The size of the talus showed an accuracy of 86% when anteroposterior diameter was greater than 59 mm. A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right and left talus was not observed. The mean inclination and declination angles were $24.4^{\circ}{\pm}4.2^{\circ}$ and $28.2^{\circ}{\pm}5.4^{\circ}$ for men, and $24.6^{\circ}{\pm}3.6^{\circ}$ and $24.7^{\circ}{\pm}6.7^{\circ}$ for women (p=0.980, p=0.018), respectively, at least $15^{\circ}$, which showed a big difference for every object up to $37^{\circ}$. Conclusion: This paper,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is the first study to measure the talus in Koreans. There were differences by gender and ethnicity in the in measured talus values. The measurements were smaller than European-Americans and greater than Japanese.

심한 후족부 변형 및 경거종골간 관절염에서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의 가치 (Value of Tibiotalocalcaneal Arthrodesis Using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ing in Severe Hindfoot Deformity and Arthritis)

  • 박재구;정형진;배서영;이정환;김휘영;이준석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3-140
    • /
    • 2019
  • 목적: 심한 후족부 변형 및 족관절 및 거골하 관절염에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하여 방사선적 결과와 임상적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심한 후족부 변형이나 진행된 관절염으로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을 시행 받은 22명(22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의 평균 연령은 57.4세(22-82세), 평균 추시 기간은 29.6개월(12-74개월)이었다. 방사선적 평가로 수술 전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 후족부 정렬각, 시상면상 정렬각을 측정하였으며, 술 후 골유합 시기를 평가하였다. 임상적 평가로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점수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또한 변형각 10°를 기준으로 두 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에서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4명에서 17.8°±14.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6.6°였다. 술 후 모든 예에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평균 후 족부 정렬각은 술 전 내반 변형을 보인 환자 12명에서 15.2°±10.5°였으며, 외반 변형을 보인 환자 6명에서 8.1°±4.2°였다. 술 후 94.4% (17명)에서 후족부 정렬각은 5° 미만으로 만족스럽게 교정되었다. 방사선적 골유합은 90.9%에서 평균 19.2주(12-32주)에 이루어졌으며, 2예의 불유합이 있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술 후 평균 VAS 및 AOFAS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1, p<0.001). 술 전 변형각 10° 이상의 심한 변형을 보인 경우에도 술 후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과 후족부 정렬각은 의미있게 교정되었다(p<0.001, p<0.001). 또한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이 10° 이상인 군과 10° 미만인 군 사이에 술 후 평균 관상면상 족관절 정렬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62). 결론: 역행성 골수강내 금속정을 이용한 경거종골 관절 유합술은 만족스러운 변형 교정력, 높은 골유합률과 낮은 합병증을 보였으며, 임상적 결과의 향상을 보였기에 유용한 수술 방법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특히 심각한 족관절 및 후족부 변형을 동반한 환자에서도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터널 단면적 변화를 고려한 각부보강 영향성 평가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Elephant Foot Method considering the rate of Changes in Tunnel Cross Section)

  • 이길용;오현문;조계환;오정호;김종주;김용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1-118
    • /
    • 2018
  • 단층 등 취약지반 조건에서의 터널굴착 시 터널천단 및 측벽변위의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각부보강공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터널 단면증가 변화율에 따른 각부보강공 설치각도 및 길이를 고려한 지보안전성 확인을 위한 주요 인자로서 내공변위 천단침하 각부침하 각부축력 등의 여러 응력변위 특성 변수들이 있다. 이러한 굴착중 안전성확인을 위한 변수들에 대한 검토 결과, 우각부 침하영향성이 단면증가율 보다 더 큰 변위경향을 보이는 가장 중요한 중점관리 지배요소로 분석되었으며, 터널단면 증가 변화율에 대한 각 보강공 길이별 축력의 변화관점에서는 큰 연관성을 보여주지 못하는 터널단면 증가율 대비 작은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각부 보강공 축력의 발생경향은 터널 단면증가율보다 보강공 마찰지지 개념 메커니즘에 따른 거동 영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일정한 길이의 각부 보강공이 선정될 경우 지반불량 구간에서의 터널 단면이 다소 대단면화하여도 무리하게 각부보강공의 길이를 연장시키지 않는 것이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한 보다 더 합리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족부 진단용 3차원 움직임 측정을 위한 무선 이동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ireless Ambulatory System Measuring 3-D Motion as Podiatric Diagnosis)

  • 김진호;김화인;김동욱;원용관;김정자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5B호
    • /
    • pp.502-51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행 시 발의 3차원 움직임에 대한 보다 정확한 동작 각도를 측정하고, 기존의 마커 방식에 의한 유선 동작 분석 시스템의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서 양상에 실제 사용 가능한 족부 진단용 우선 이동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시스템의 주요 모듈은 3축 가속도계와 3축 자이로계로 이루어진 관성 측정 장치와 블루투스 전송 모듈로 구성되었다. 피험자는 전주 소아과 족부 임상 전문의에게 평발과 아킬레스건염을 진단 받은 소아과 환자 5명의 10족 에 대한 측정을 하였으며, 족부 전문의의 이학적 소견과 대비하여 개발 시스템에서 측정한 값과 근전도 데이터를 바탕으로 그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발목의 ROM은 외측 복사뼈에서 측정된 최대 피크와 최소 피크의 차이로 측정하였고, 이 값에 근거하여 평발이 심할수록 외번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짐을 보였다. 근전도 측정 결과 내번근으로 작용하는 전경골근의 보상 작용으로 인해 전경골근의 근 활성도가 높게 측정되었고, 아킬레스건염에 의해 족배굴곡이 제한됨으로 인해 족저굴곡근으로 작용하는 비복근의 근 활성도가 높아짐을 보임으로서 족부 질환에 따르는 발의 비정상적인 움직임과 특정 근육의 활성 사이에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