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wastewater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초

음식물폐기물과 축산분뇨 혼합폐수의 이상혐기소화에 따른 소화액의 위생성 연구 (Two-Phase Anaerobic Digestion of Food and Livestock Wastewater and Hygienic Aspects of the Digested Water)

  • 정두영;정명희;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66-73
    • /
    • 2009
  • 음식물류폐수와 축산분뇨를 1:1로 혼합한 폐수를 대상으로 고온/중온의 이상혐기소화공정을 실시하였고 혼합폐수내 병원성미생물의 존재 및 소화과정중 미생물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혼합원액내 미생물은 대장균, 분변성 장내세균, 대장균군 등의 장내세균총을 비롯하여 식중독을 일으키는 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 이질의 원인균인 쉬겔라, 유가공제품내 대표적 병원성세균인 리스테리아 및 효모 등이 검출되었다. 혐기소화의 안정화시기는 반응후 21일이 지나서부터 시작하였으며, 이 시기를 전후하여 산 발효조와 메탄발효조에서 각각 80% 및 90% 내외의 가파른 감소율을 보이며 대부분의 미생물이 감소되었다. 안정화이후 유기물의 평균분해율은 메탄발효조에서 60% 내외를 기록하였다. 메탄 발효조를 거친 소화액내 미생물개체수는 반응종료 시점에서 대부분 불검출 되었으나, 리스테리아와 포도상구균의 경우, 비교적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며 반응최종일까지 검출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음폐수 공공하수처리시설 연계처리 타당성 평가 - P시 사례 - (Feasibility Study on the Treatment of Food Waste Leachate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Case of P city -)

  • 박종훈;강신영;김상현
    • 유기물자원화
    • /
    • 제24권2호
    • /
    • pp.41-49
    • /
    • 2016
  • P시에서는 음폐수 처리를 위해 병합처리시설을 설치하였으나, 음폐수 발생량 대비 처리용량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병합처리시설 방류수는 인근 바다로 직방류 되고 있어 환경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P시 발생 음폐수 처리 초과 분량 및 병합처리시설 방류수 연계처리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예상 가능한 4개의 시나리오를 세운 후, 각각의 최대 음폐수 및 병합처리시설 방류수 허용 투입량을 산정 하고, 투입 후 P하수처리장 유입수 성상 변화및 시나리오별 예상 처리비용을 비교 하였다. 검토된 모든 시나리오에서 환경부의 음폐수 병합처리 업무지침을 준수하면서 음폐수 및 병합처리시설 방류수 대부분을 P하수처리장에 연계 처리 가능하며 하수처리장 부하에도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산정 되었다.

Enhanced Biofuel Production from High-Concentration Bioethanol Wastewater by a Newly Isolated Heterotrophic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LAM-Q

  • Xie, Tonghui;Liu, Jing;Du, Kaifeng;Liang, Bin;Zhang, Yongku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0호
    • /
    • pp.1460-1471
    • /
    • 2013
  • Microalgal biofuel production from wastewater has economic and environmental advantages.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lipid production from high chemical oxygen demand (COD) bioethanol wastewater without dilution or additional nutrients, using a newly isolated heterotrophic microalga, Chlorella vulgaris LAM-Q. To enhance lipid accumulation, the combined effects of important operational parameters were studied vi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optimal conditions were found to be temperature of $22.8^{\circ}C$, initial pH of 6.7, and inoculum density of $1.2{\times}10^8cells/ml$. Under these conditions, the lipid productivity reached 195.96 mg/l/d, which was markedly higher than previously reported values in similar systems. According to the fatty acid composition, the obtained lipids were suitable feedstock for biodiesel production. Meanwhile, 61.40% of COD, 51.24% of total nitrogen, and 58.76% of total phosphorus were removed from the bioethanol wastewater during microalgal growth. In addition, 19.17% of the energy contained in the wastewater was transferred to the microalgal biomass in the fermentation proces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 vulgaris LAM-Q can efficiently produce lipids from high-concentration bioethanol wastewater, and simultaneously performs wastewater treatment.

음식물류폐수에 특이적 응집제를 생성하는 미생물의 분리, 동정 및 응집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which Possess the Flocculating Activity to Food Wastewater)

  • 정명희;정두영;김영준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4호
    • /
    • pp.125-130
    • /
    • 2007
  • 다양한 환경으로부터 음식물류폐수에 응집특성을 보이는 미생물 6종을 분리하였다. 동정한 결과, 이들은 각각 Bacillus pumilus, Enterobacter sp., Pantotea agglomerans, Bacillus licheniformis, 그리고 두 종류의 Bacillus sp. 균주들로 밝혀졌다. 분리된 미생물중 Enterobacter sp.(YK102), Bacillus sp.(YK103), Pantotea agglomerans (YK104) 등, 3균주의 경우, 대조군으로 사용된 분양균주 Zoogloea ramigera와 비교하여 카올린에 대한 응집율이 모두 8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물류폐수에 대한 응집실험에서는 Enterobacter sp.(YK102) 균주가 가장 높은 응집능을 보였으며, 대조군으로 사용된 Pseudomonas fluorescens보다 약 2.5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식품폐수 처리 공정용 생물막의 겨울철 세균군집 구조와 특성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Bacterial Community on Biofilm of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 Winter)

  • 이동근;유기환;박성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4-132
    • /
    • 2011
  • Biofilm and aeration tank of pilot and full RABC (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 plant were analyzed to characterize and determin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t winter. Concentra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Bacillus group was $10^7$ and $10^5$ CFU/ml, respectively, at biofilm of pilot-plant while others represented $10^6$ and $10^4$ CFU/ml, respectively. Five and eight phyla were detected at biofilm of pilot- and full-plant, respectively, by 16S rDNA sequencing. Biofilm of pilot-plant was dominated by ${\beta}$-Proteobacteria (38.8%), ${\gamma}$-Proteobacteria (22.4%), and Bacteroidetes (12.2%), and the most dominant genus was Zoogloeae genus (22.4%). Candidate division TM7 (12.5%) was only detected at biofilm of full-plant and it was dominated by Bacteroidetes (33.3%), ${\gamma}$-Proteobacteria (29.2%), and ${\beta}$-Proteobacteria (20.8%). Clostridium genus specific primer set enabled to detect the sequences of Clostridium genus. These suggested that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were coexisted even from the initial period of biofilm formation and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nd Bacteroidetes were major phyla in biofilm of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t winter.

음식물 소멸기에서 발생하는 응축폐수의 Polyethylene 침지형 중공사막을 이용한 처리 특성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densed Wastewater Resulting from Food Waste Disposal using a Submerged Polyethylene Hollow Fiber Membrane)

  • 유재상;전태봉;김진호;정건용
    • 멤브레인
    • /
    • 제20권2호
    • /
    • pp.127-134
    • /
    • 2010
  • 연구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소멸기에서 미생물에 의해 발효하여 유기물을 감량화하고, 음식물 발효시 발생되는 가스를 냉각기에서 기체와 수분으로 분리하여 기체는 반응기로 다시 보내고 수분은 응축하여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이 장착된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처리하는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주)바이오하이테크에서 제작한 음식물 소멸기와 수처리 장치에 침지식 MF 중공사 모듈을 설치하여 90일간 H연구소 직원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연속 투입하여 처리하였다. 음식물 소멸기 초기 Seeding를 위하여 수분조절제로 미강, 왕겨, 톱밥을 305 kg 투입하였고 음식물은 운전기간동안 1,648 kg투입하였고 응축폐수는 1,600 L 발생되었다. 음식물 소멸기 운전 종료 후 배출된 발효 부산물은 386 kg으로 감량율은 약 80%로 조사되었다. 침지식 MF 중공사 분리막 모듈을 응축폐수의 MBR 시스템에 적용하여 유기물 처리한 결과 제거율은 각각 BOD 99.9%, COD 97.5%, SS 98.6%, T-N 54.6%, T-P 34.7%였으며, 총대장균은 100%가 제거되었다.

음폐수 부하량에 따른 고온호기성 공정의 처리 양상 (Influence of Food Wastewater Loading Rate on the Reactor Performance and Stability in the Thermophilic Aerobic Process)

  • 장현민;최석순;하정협;박종문
    • 공업화학
    • /
    • 제24권3호
    • /
    • pp.279-2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음식물류 폐기물 자원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농도 음폐수(food wastewater : FWW)를 대상으로 기존의 혐기성 공정의 대안책으로써 고온호기성 소화공정에 대한 성능을 검증하였고 공정 인자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수리학적 체류시간(Hydraulic retention time, HRT) 변화 및 유기물 부하량(Organic loading rate, OLR)에 따른 유기물 제거 효율과 안정성을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비교적 짧은 HRT를 가진 R1 (HRT : 5일)의 경우 OLR이 증가할 때, 급격한 pH감소가 일어나 심한 공정 저해를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반면 R2 (HRT : 10일)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공정 운전 및 효율적인 COD, 유기산 및 lipid 제거가 일어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긴 HRT로 인한 유기산 축적과 같은 공정저해 요인이 해결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유기물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R1에서는 COD 부하량이 $18.6kgCOD/m^3d$에서 $28.4kgCOD/m^3d$으로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COD 제거율 감소를 보였다. 반면 R2에서는 각 OLR별로 3.61, 7.05, 9.43 그리고 $12.2kgCOD/m^3d$의 높은 COD 제거율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0일 이상의 HRT에서 고온 호기성 소화가 고농도 음폐수 처리에 탁월한 유기물 제거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제과공장 폐수의 화학적 응집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Chemical Coagulation for Wastewater Treatment in a Confectionery Factory)

  • 금승해;장규섭;송경빈;안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8-323
    • /
    • 1995
  • 제과회사 폐수처리의 화학적 응집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처리 폐수의 $COD_{Mn}$과 총 고형분은 각각 $200{\sim}820ppm$$860{\sim}1360ppm$이었다. 폐수의 총 고형물의 성분은 당 40%, 단백질 10%, hexane-soluble 20%, 회분 30%였다. 650 nm에서의 turbidity와 suspended solid(SS)간에는 상관관계가 있었으므로, turbidity는 폐수의 on-line 측정도구로 사용할 수 있었다. 여러 응집제 중에서 $COD_{Mn}$과 SS 제거에 가장 효과적인 것은 $Al_2(SO_4)_3:Ca(OH)_2$의 조합 사용이었다. 최적의 $Al_2(SO_4)_3:Ca(OH)_2$ 농도는 480 ppm : 200 ppm이었다. 최적의 폐수처리 시간은$(Al_2(SO_4)_3$ 첨가 : $Ca(OH)_2$ 첨가 : 응집 숙성) 2 : 2 : 10분이었다. 이러 번의 $Al_2(SO_4)_3:Ca(OH)_2$ 처리공정은 gelatin과 계면활성제의 응집저해 현상을 극복할 수 있었으며, 미생물 슬러지의 첨가는 이 응집저해 물질들 제거에 도움이 되었다.

  • PDF

농공단지 조성에 따른 하천 수질관리 대책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trol of Stream Water Pollution Caused by Construc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Agricultural Area (Centering around Area of chung chong Nam Do))

  • 양천회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5-160
    • /
    • 1994
  • A study of stream pollution caused by construction of the Industrial Complex in Agricultural Area of Chung Chong Nam Do were descrived here. The five main results of this studies are summerized. First, since 1988, among the companies moved in the industrial complex area, the number of electric and electronic companies have increased compared with food companies requiring much BOD. This Is very desirable to reduce the water pollution. Second, the average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of Masan stream was the highest and it was decreased in the order of Yudug, Jo and Jungan stream. Third,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Cd and C $r^{6+}$ are not off the limit and the amount of it is small,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a chemical process to remove these metals. Fourth, since the wastewater from industrial complex area is the major factor in stream pollution, the laws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protection should be enforced even then if the Industrial complex area with food and chemical companies produce wastewater less than 500ton/day. Fifth, it is required to improve a facilities which separete living wastewater from inderstrial wastewater In Kaya-gok and Nojang industrial complex areas.

  • PDF

가정 내 주방용 디스포저 도입에 따른 사회적 비용편익 분석 (Cost benefit analysis of introducing domestic food waste disposers on waste and sewage management systems)

  • 안종호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3-520
    • /
    • 2012
  • The use of food waste disposers (FWDs) can be an emerging option to manage organic food wastes in municipal sewage system. The cost-benefit analysis (CBA) of introducing domestic FDWs is conducted to access the allowable disposer market price and the economic impact on food waste management from conventional solid waste management system. If the convenience value of 10,000 won/month is taken into consideration based on survey results, the introduction of FDWs can lead to net economic benefits, allowing the capital cost of disposer up to 1,000,000 won/unit.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convenience value, the introduction of FWDs becomes profitable if the capital cost of disposer is less than 50,000 won/unit. In case that the value of convenience is more than 7,000 won/month, the reduction of food waste management cost is not valid for the introduction of FWDs to be non-profitable. However, if environmental externalities are considered, the proposed system could become breakeven with the cost of food waste management decreases by 54 % (60,000 won per 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