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k remedy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2초

호장근에 의한 Helicobacter pylori의 생육 저해 (Growth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o by Reynoutria elliptica Migo.)

  • 이인선;임효권;이승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82-1187
    • /
    • 2003
  • 위질환 원인균으로 알려진 H. pylori 생육을 저해하는 물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호장근 메탄을 추출물 및 분획물을 이용하여 H. pylori에 대한 항균실험 및 urease 활성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호장근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실험을 실시한 결과 5mg/cylinder의 농도일 때 inhibition zone이 17mm 정도로 높은 항균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획물의 경우 1mg/cylinder의 농도일 때 hexane 분획과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각각 24mm, 17mm로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다. H. pylori의 crude urease를 분리하여 urea broth에서 흡광도와 pH를 조사한 결과, 반응 2시간 후 pH가 8.35까지 증가하였고 $O.D._{560nm}$에서의 흡광도는 0.859까지 증가하였다. 호장근에 의한 urease 활성억제는 호장근의 메탄올 추출물의 농도가 0.5 mg/mL에서 대조구에 비해 35% 억제효과를 보였고, 2 mg/mL에서는 85% 이상으로 매우 높은 억제활성을 보였다. 또한. 각 분획물의 저해 효과를 10배 농도의 메탄올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20\;{\mu}g/mL$의 농도에서 water 분획을 제외한 모든 분획물들이 반응 2시간 후 $30{\sim}40%$의 저해를 보여 $200\;{\mu}g/mL$ 농도의 메탄올추출물이 20% 이하의 저해를 보인 것과 비교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호장근 메탄올 추출물 처리에 의한 H. pylori의 형태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주사 및 투과전자 현미경으로 균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주사전자 현미경 관찰 시 대조구는 균체 표면이 깨끗하고 완전한 구형을 이루고 있는 반면, 호장근 처리구는 균체 표층 구조가 심하게 허물고 떨어져 나간 것을 볼 수 있었고 또한 세포가 팽대하였고 일부 세포벽은 완전히 파괴되어 균체내 성분이 모두 유출되어 균 형태가 없어져 버린 것도 관찰되었다.

쇠비름 추출물이 신생아 장염 유발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rtulaca oleracea on the Pathogens of Gastroenteritis in Infants)

  • 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33-23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질환과 사망 원인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설사의 주된 원인균인 C. jejuni와 기타 장내 염증 유발 유해 세균에 대한 쇠비름 추출물의 항균력을 검증하였다. 과거부터 민간이나 한방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온 쇠비름은 각종 항균 효과나 항염증,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쇠비름을 각종 유기용매와 열수로 추출하여 Salmonella typhimirium, Salmonella enteriditis, Shigella dysenteriae, Shigella flexneri, Shigella sonnei 및 C. jejuni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해 본 바, 쇠비름의 ethylacetate 추출물 및 열수 추출물이 이들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쇠비름의 ethylacetate 추출물이 10 $mg/m{\ell}$ 농도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도 유사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C. jejuni에 대한 쇠비름 열수 추출물의 MIC 범위는 10~20 $mg/m{\ell}$였으며, $MIC_{50}$은 10 $mg/m{\ell}$, $MIC_{90}$은 20 $mg/m{\ell}$이었다. 쇠비름 열수 추출물은 10 $mg/m{\ell}$ 이상의 농도에서 C. jejuni에 대한 강한 항균력을 나타내 보였다. 또한 액체 배지에 배양한 C. jejuni에 대해 쇠비름의 열수 추출물이 10~20 $mg/m{\ell}$ 농도에서 36시간까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쇠비름 추출물 발효액이 Campylobacterjejuni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rmented Extracts of Portulaca oleracea against Campylobacter jejuni)

  • 배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91-2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 질환과 사망 원인 중 첫 번째에 해당하는 설사의 주된 원인균인 Campylbactor jejuni에 대한 쇠비름 발효액의 항균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민간요법과 한방에서 널리 이용되어온 쇠비름은 각종 항균 효과나 항염증,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용 식물로, 여기에서 식물성 유산균을 분리해 각종 프로바이오틱스와 더불어 쇠비름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acidophilus, L. bulgaricus, L. delbrueckii, L.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 및 Bifidobacterium longum과 쇠비름에서 분리한 균을 쇠비름 추출물에 적용하였을 때, Leuconostoc mesenteroides와 쇠비름에서 분리한 식물성 유래 유산균이 쇠비름 추출액에서 가장 잘 자랐고, 여기에 2% yeast extract, 1% peptone 및 0.05~1% 인산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발효액을 만들 수 있었다. 쇠비름 발효액에 들어있는 생균수는 발효 48시간 후 $1{\times}10^{12}\;CFU/m{\ell}$로 증가하였고, 2주간 냉장 보관을 한 이후에도 생균수가 $1.3{\times}10^{10}\;CFU/m{\ell}$로 남아있었다. 쇠비름 발효액의 pH와 산도는 발효 48시간 이후 3.7과 3.14로 각각 나타나 일반 유제품 발효액의 기준 범위 안에 들어감을 알 수 있었다. PLAB과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만든 쇠비름 발효액은 10 $mg/m{\ell}$ 이상의 농도에서 C. jejuni에 대해 증식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이 억제 효과는 48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우엉 뿌리의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root of Arctium lappa L.)

  • 김미선;이예슬;손호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7-734
    • /
    • 2014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우엉 지하부의 혈전 관련 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고자, 우엉의 ethanol 추출물 및 이의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혈액응고 저해 활성,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 인간 적혈구 용혈활성 및 in-vitro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우엉 추출 수율은 10.94%로 다른 식용 및 약용식물보다 높았으며, ethanol 추출물의 경우 total polyphenol 함량은 5.01 mg/g으로 낮았으나, 694.53 mg/g의 높은 총당 함량을 나타내었다. 순차적 유기용매 분획의 경우, n-hexane, ethylacetate(EA), n-butanol 분획 수율은 각각 1.62, 0.42 및 5.98%로 나타났으며, 물 잔류물은 85.38%였다. 우엉 시료들의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TT, PT, aPTT를 측정한 결과, ethanol 추출물에서는 유의적인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EA 분획에서 강력한 TT, PT, aPTT 연장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농도 의존적 혈액응고 저해활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물 잔류물에서는 내인성 혈액응고인자 활성화에 의한 aPTT 감소효과를 확인하여 혈전생성 촉진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혈소판 응집저해 활성평가의 경우, 우엉 ethanol 추출물 및 분획물들은 임상에서 사용하는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보다 강력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EA 분획은 정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스피린의 2배 이상의 강력한 혈소판 응집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EA 분획물은 DPPH 음이온, ABTS 양이온, nitrite에 대해 우수한 소거능 및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우엉 추출물과 분획물들은 0.5 mg/mL 농도까지 인간 적혈구에 대한 특이한 용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 결과들은, 우엉 EA 분획물이 천연물 유래의 안전한 항혈전제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옥수수 껍질 분말의 In Vitro 에서의 항산화 특성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Mice의 혈청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and Extract of Corn Husk on Serum Lipids in Mice)

  • 신경옥;김용환;이기원;최경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61-269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corn husk powder on serum lipid levels of high-fat diet-induced mice from a nutritional viewpoint. Powder of corn husks has been used as a folk remedy from ancient times in Korea. In the case of corn husk measurement of TPC (p<0.05),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rolox (p<0.05),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0.05), and measured value of FRAP (p<0.0001) were higher in ethanol extract than water extract. Weight of liv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and high-fat diet group compared to groups fed 10% and 20% corn husk powders with high-fat diet (p<0.0001). For blood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mice fed 10% corn husk powder with high-fat diet ($160.00{\pm}16.17mg/d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compared with the other three groups (p<0.05). Mice fed 10% and 20% corn husk powders with high-fat diet showed high numerical values of $13.50{\pm}2.51$ and $11.25{\pm}2.87mg/dL$, respectively. For triglyceride concentration in blood, mice fed 10% ($83.50{\pm}19.30mg/dL$) and 20% ($88.50{\pm}22.25$) corn husk powder with high-fat diet showed very low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high-fat diet group. In the case of leptin, the high-fat diet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5.88{\pm}3.53ng/dL$. Groups fed 10% and 20% corn husks with high-fat diet showed low numerical values of $2.72{\pm}2.34ng/dL$ and $1.10{\pm}0.62ng/dL$, respectively (p<0.05). Corn husk powder increased high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blood while lowering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leptin secretion. Therefore, powder of corn husks has utility in the food industry and food processing.

인삼의 약리작용 (Pharmacological Action of Ginseng)

  • 홍사악;임정규;박찬웅;차인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66-93
    • /
    • 1979
  • Panax ginseng C. A. Meyer, which has been known for more than EWO years. occupies a Particular prince in folk medicine as so called tonic remedy. The pharmacolgical investigations of ginseng, based on the scientific concepts and methodology, have been performed by many researchers through the past 50∼60 years at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The pharmacological action of Panax ginseng compiled from the numerous repor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On central nervous system, the effect of Panax ginseng is timulatory in smaller doses and somewhat depressive in larger doses. From the psychopharmacological aspect, ginseng seems to increase the mental efficiency of man. 2. Ginseng has the effect tending to Protect organism from various physical and chemical stresses. 3. The growth and basal metabolic rates of experimental animals are stimulated by ginseng. Ginseng also prolongs the survival time of animals under adverse influences. 4. Increasing the physical and mental efficiency, ginseng postpones the onset of fatigue and increases the working capacities. 5. In the case of the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ginseng, a transitory and slight hypotensive effect is observed. These hypotensive effects seems to include that of a direct action and actions related to the release of histamine and/or serotonin by ginseng. 6. It is Presumed that ginseng lowers the elevated bleed ingar and cholesterol level. 7. Ginseng tends to increase the gastrointestinal motizity and tone 8. It is presumed that ginseng Promotes the iron metabolism and activates the hematopoietic factors. 9. Ginseng tends to stimulate the biosynthesis of nucleic acid and release of histamine and serotonin. 10. The toxicity end adverse reactions of ginseng appear to be nothing that warrants apprehension. 11. Anticancer erects of ginseng seem to be due to indirect action rather than direct action on cancer cell, by improving the host condition 12. Recent clinical trials of ginseng harts obtained sent good results, but Present trial is still limited in its range, so it is necessary to broaden the scope of trial covering many kinds of organs and diseases. From the above, although it appears that substantial advancements have been achieved in the studies on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Panax ginseng there are many discrepancies noticed in the reported data. Furthermore the precise mechanisms of actions of ginseng are sometimes obscure, even unknown in other actions as the students stand now. The main reasons for this are considered to be that even though saponin has been identified at one of the active substances of ginseng, other components have not fully been identified and that the experimental approaches of the investigations varied with different researchers. Thus a thorough analysis of the chemical components and newer standardized concepts and metohds appear to be the pre-requisites for further study of the pharmacolgical effects and mechaisms of Panax ginseng.

  • PDF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Effect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Ethyl Acetate Fraction)

  • 임은경;양재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8-125
    • /
    • 2021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와송(Orostachys japonica A. Berger)은 암 치료를 위한 민간요법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약초이다. 본 연구에서는 와송(Orostachys japonica A. Berger)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 활성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보고한다. 와송(Orostachys japonica A. Berger)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효능은 0.10 mg/mL 농도에서 78.54%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73.48%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대체실험동물 모델인 제브라피쉬를 이용한 독성실험 결과에서는 모든 농도에서 100%의 배아 생존율을 보이고 응고 또는 부화지연을 관찰할 수 없어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UV-B조사에 의해 유도된 ROS생성은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처리한 모든 larvae에서 전체적으로 형광강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3 ㎍/mL 농도에서 양성대조군 대비 35.7%의 감소율을 보여 효과적으로 ROS 생성을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보아, 와송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서 응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MPK 활성화를 통한 소형화(素馨花) (Jasminum officinale L. var. grandiflorum) 열수 추출물의 HepG2 간세포 보호 활성 (Hepato-Protective Activities of Jasminum officinale L. var. grandiflorum Aqueous Extract via Activation of AMPK in HepG2 Cells)

  • 박상미;정대화;민병구;제갈경환;변성희;김재광;김상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31-243
    • /
    • 2023
  • Objectives : Jasminum officinale L. var. grandiflorum is used as a traditional or folk remedy in China to treat arthritis, hepatitis, duodenitis, conjunctivitis, gastritis, and diarrhea. In this study, we aimed to study the hepatocyte protective activity and molecular mechanism of Jasminum officinale L. var. grandiflorum aqueous extract (JGW) using HepG2 hepatocyte cell lines. Methods : HepG2 cells were pretreated with diverse concentrations of JGW, and then the cells were exposed to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for inducing oxidative stress. Hydrogen peroxide (H2O2) production, glutathione (GSH) concentratio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and cell viability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JGW. Phosphoryl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s (AMPK), acetyl coenzyme A carboxylase (ACC) and effects of compound C on cell viability were examined to observe the role of AMPK on JGW-mediated cytoprotection. Results : Pretreatment with JGW (10-300 ㎍/mL) significantly suppressed cytotoxicity induced by tBHP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cleaved PARP and cleaved caspase-3 proteins related to apoptosis in HepG2 cells. In addition, pretreatment with JGW significantly prevented the increase in H2O2 production, GSH depletion, and lower MMP induced by tBHP. Treatment with JGW (30 minutes of incubation and concentrations of 100 and 300 ㎍/mL)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ACC and treatment with compound C, a chemical inhibitor of AMPK, inhibited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JGW. Conclusions :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JGW may protect hepatocytes from oxidative stress via activation of AMPK.

산사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Fermented Crataegi fructus Vinegar Improves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 전정우;박진경;이미애;정미란;한종현;박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024-103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산사 발효초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흰쥐에게 고지방식이(40% kcal% fat, beef tallow)를 급여하면서 산사발효초를 저농도(1.5% wt/wt, n=8), 고농도(3.0% wt/wt, n=8)로 투여하였을 때, 정상식이군(n=8)과 고지방식이 대조군(n=8)과의 체중, 장기무게, 지질 함량 등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체중은 산사발효초군이 정상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지만, 고지방식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각각 7.2%, 10.0%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 무게도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산사발효초군들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고농도 산사발효초군에서 혈청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 동맥경화지수 및 간의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지만 혈청 중 HDL-C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분변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고농도 산사발효초군에 비해 정상식이군이나 고지방식이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산사발효초는 체중을 감소시키며 혈청이나 간의 지질함량을 개선시키고, 포화지방산 배설을 증가시키므로 체중조절 및 지질대사 개선 효과가 규명되었다.

Moutan radix의 mouse sarcoma 180 cell로 유발한 mouse ascites cancer에 대한 항암효과 (Potent Anticarcinogenic Action of Moutan radix for Mouse Ascites Cancer Induced by Mouse Sarcoma 180 Cells)

  • 반경녀;이은주;양민석;김정옥;하영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4호
    • /
    • pp.364-369
    • /
    • 1995
  • 목단피의 mouse 복수암에 대한 항암성을 다른 생약제의 항암성과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천연생약제(목단피, 주목, 울금, 인경쓱, 여정실, 맥문동) methanol 추출물을 hexane, chloroform ($CHCl_3$), ethylacetate (EtOAc), butanol (BuOH)로 fractionation하여 mouse leukemia L1210 cell과 Sarcoma 180 (S-180) cell에 강한 독성을 나타낸 fraction에 대해 mouse 복수암 억제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수형 종양세포 S-180을 ICR mouse (male, $6{\sim}7$주령, $23g{\pm}3g$, 처리당 7마리)의 복부에 주사 ($1{\times}10^{6}$ cells/0.1 ml PBS)한 1일 후 부터 10% DMSO에 용해한 시료 ($30{\mu}g/g$ body weight)를 매일 0.1ml씩 10일간 주사하고 수명연장 효과와 몸무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처리 fraction 중에서 목단피의 EtOAc fraction이 가장 강한 항암성을 보였는데, 수명연장에서는 대조구의 17.2일 (100%)에 비하여 28.7일로서 167%로 연장되었으며, 체중 증가율도 대조구보다 낮았다 (p<0.05). 목단피의 농도별 (5, 10, 30, $60{\mu}g/g$ body weight) 항암효과는 $30{\mu}g$에서 가장 높았고, $60{\mu}g$처리구 에서는 독성이 나타났다. 목단피의 EtOAc fraction으로부터 GC-MS에 의해 잠정적으로 동정된 2-methoxyphenol, 1-(4-hydroxy-3- methoxyphenyl)-ethanone, 8-methyl-2,4(1H,3H)-pteridinedione, 2,5-furandicarboxylic dimethyl ester 가 mouse 복수암 억제에 관련이 있는 주요 화합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