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oliar Spray

검색결과 137건 처리시간 0.025초

제초제 2, 4-D에 대한 고려인삼의 반응 I. 2, 4-D의 농도가 인삼의 생육 및 근수량이 미치는 영향 (Response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to 2, 4-D I . Effects of 2, 4-D concentrations on Growth and Root Yield)

  • 조재성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422-427
    • /
    • 1989
  • 제초제 2, 4-D의 처리가 인삼의 생육 및 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 4-D 제초제량 (유제 :70ml/100$\ell$/10a, 수화제 : 250g/100$\ell$/10a)의 0.5, 1.0, 2.0 배액을 2년, 3년 및 4년생 인삼에 대하여 출아후 40일에 각각 엽면처리아여 경엽의 상육과 장과의 착생 및 근수량의 변이를 조사하고 무처리대조구와 비교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년, 3년 및 4년생 인삼에 2, 4-D를 일반제초약량의 2배로 경엽산포하여도 지상부의 전체적인 생육상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며 특별한 약해현장도 나타나지 않았다. 2. 2년, 3년 및 4년생 인삼에 있어 무처리구와 2, 4-D 유제 및 수화제 처리 농도간에 엽장, 여폭, 경장 및 경직경 등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3년생 및 4년생 인삼의 장과착생수는 2, 4-D 유제를 일반체초제의 2배로 처리한 구에서도 무처리구와의 유의차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외관상의 형태에도 전혀 이상이 없었다. 4. 4년생 인삼에 있어 무처리구와 2, 4-D 유제 및 수화제의 처리농도간에 근장, 근식경, 지근수 및 근주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5. 묘삼에 2, 4-D 유제 및 수화제의 일반제초제량을 경엽처리할 경우 줄기가 연화되어 구부러졌으며 특히 수화제 처리시는 잎의 끝이 백화고사되는 약해현장을 나타내었고 구부러진 줄기는 2~3일 후 다시 상향으로 회복되기는 하였으나 이상신장된 결과를 보였다.

  • PDF

규소 시용에 의한 오이 흰가루병 발병억제 (Effects of soluble silicon on development powdery mildew(Sphaerotheca fuliginea) in cucumber plants)

  • 이중섭;임명순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7-43
    • /
    • 2000
  • 본 시험은 오이 양액재배시 배양액내 규산칼륨($K_{2}SiO_{3}$) 처리에 의한 흰가루병 방제여부를 검토하기 위하여 규산 칼륨($K_{2}SiO_{3}$, $25{\sim}27%$$SiO_{2}$ Kanto)을 0.85 mM(50 $mg{\cdot}L-^{-1}$), 1.7 mM(100 $mg{\cdot}L-^{-1}$) 및 3.4 mM(200 $mg{\cdot}L-^{-1}$)의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고 1.7 mM, 8.5 mM, 17 mM 및 34 mM의 농도로 엽면살포하였다. 생육중기(정식 51일)에 규산 3.4 mM 배양액 처리구는 흰가루병 병반면적율이 2.3%로 0.95 mM 처리구의 38.3%에 비해 현저히 억제되었다. 그러나 1.7 mM과 3.4 mM 처리간에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배양액내 규산의 농도를 0.05 mM에서 4.10 mM까지 증가시켰을 때 잎당 병반수, 병반면적 및 발아관 길이는 규산의 농도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규산을 처리한 잎에서의 분생포자 발아율은 처리농도가 높아질수록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저농도 처리구(1.40 mM 이하)에서는 $14.7%{\sim}20.3%$, 고농도처리구(1.85 mM 이상)에서는 $9.0%{\sim}12.4%$였다. 2% 물한천 배지에서의 농도시험에서는 발아율이 $1.1%{\sim}2.0%$로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규산칼륨을 17 mM의 농도로 희석하여 엽면살포한 결과 무처리에 비하여 흰가루병 발생이 현저히 억제되었으며, 방제효과 지속기간은 병원균 접종후 4일까지였다.

  • PDF

살선충제 침지처리에 의한 딸기잎선충 방제 (Effect of Nematicide-dipping Methods for the Control of Aphelenchoides fragariae in Strawberry)

  • 김동근;강명원;이중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01-105
    • /
    • 2008
  • 딸기잎선충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딸기잎선충에 감염된 딸기 모주를 정식 직전에 살선충제에 침지 처리하여 토양에 정식하고 이들로부터 발생되는 자묘의 딸기잎선충 감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처리는 살선충제 ethoprophos 5% 입제와 fosthiazate 5% 입제를 토양(3 Kg a.i./ha), 살선충제-냉탕침법(2.5 g a.i./liter, $20^{\circ}C$), 살선충제-온탕침 법(2.5 g a.i./liter, $46^{\circ}C$)으로 각각 처리하였으며, 그 효과를 무처 리, (무농약)온탕침법 및 diazinon 34% 유제(3.4 g a.i./liter) 엽면처리와 상호 비교하였다. 정식 100일후 조사시, fosthiazate-냉탕액 침지 처리구의 자묘는 무처리에 비하여 감염률은 90% 낮고, 선충밀도는 98% 감소되어 가장 방제효율이 높았다. Fosthlazate-냉탕액 침지 처리구의 자묘의 수와 무게도 무처리에 비하여 거의 2배 많았다. 살선충제 2종중에서는 fosthiazate가 ethoprophos보다 방제 효과가 좋았다. Diazinon 엽면 살포 처리와 기존의 온탕침법은 정식 초기에만 딸기잎선충 밀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딸기 모주 살선충제 침지법은 방제 효율이 높고, 딸기 생산은 모주에서 발생된 자묘를 이용하여 다음해에 이루어짐으로 농약 잔류의 위험도 없다.

6-benzylaminopurine의 엽면살포가 나도풍란 유묘의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foliar spraying 6-benzylaminopurine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Sedirea japonica seedling)

  • 안지애;박형빈;김평범;박환준;김성준;이창우;이병두;백주형;김남영;황정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55-164
    • /
    • 2023
  • Sedirea japonica is one of the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in South Korea mostly due to artificial harms such as illegal collection and habitat destruction. Therefore, artificial propagation through improving germination rate, increasing growth, and controlling flowering is meaningful for the conservation and reintroduction of S. japonica. It is suggested that cytokinins are one of the multi-factors that contribute to plant growth and floral responses. Especially, exogenous cytokinins have been known to induce or promote shoot growth or earlier flowering in orchids. Therefore, it was investigated how the application of 6-benzylaminopurine (BA) influenced the growth and inflorescence of S. japonica. A foliar spray containing BA at 100, 200, 300, and 400 ppm was applied from 1st July to 30th December 2021. Leaf length, leaf length growth rate, leaf width, and width and length ratio were measured as growth-related factors. Visible inflorescence rate, inflorescence length, the number of flowers per infloresce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stalks were measured as flowering-related factors. Growth-related factors except for leaf growth rate were not affected by BA treatments, while leaf growth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200 ppm of BA treatment. The visible inflorescence rate increased by 200 ppm of BA treatment, and there seems an optimal concentration and threshold of BA treatment. An iterative experiment with more seedlings and measurement factors would be helpful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exogenous BA treatment on S. japonica, and it can be applied for mass propagation.

콩모자이크병 전염억제를 위한 진딧물 발생소장과 살충제 선발 (Seasonal Occurrence of Aphids and Selection of Insecticides for Controlling Aphids Transmitting Soybean Mosaic Virus)

  • 김율호;노재환;김명기;임대준;허일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53-355
    • /
    • 2000
  • 콩 재배포장에 정착하는 매개 진딧물 발생소장과 효율적인 살충제 선발을 통해 콩모자이크병 피해 경감 방법을 모색코자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적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과 8월 중순 2회였으나, 조기파종에서의 진딧물 발생최성기는 6월 중순으로 적기파종에 비해 진딧물 발생최성기가 약 10일정도 빨랐다. 2. 공시약제인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벤즈유제, 아시트수화제 등은 모두 95% 이상의 진딧물 방제가를 보여 약효가 우수하였고 약해도 없어 효과적인 진딧물 방제 약제로 선발되었다. 3. 이미다클로프리드입제를 토양 혼입처리한 시험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 후 52일까지 진딧물 발생이 억제되었다. 4. 아시트 50% 수화제를 콩 생육단계 V4, V6, V4/V6에 1회 또는 2회 처리하였을 때, 처리구 모두 무처리구에 비해 SMV 발병률이 낮아 방제효과가 인정되었으며, 특히 V4/V6 시기 2회 처리구에서 SMV 발병률이 낮았다.

  • PDF

수종 Phenoxy 제초제에 대한 수도 품종별(品種別) 신근(新根) 및 분얼수반응 (Varietal Response to Phenoxy Herbicides on Number of New Root and Tiller in Rice Plant)

  • 박훈;오승환;김무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5-51
    • /
    • 1980
  • Propanil, MCPA, 2, 4, 5-T와 Silvex 의 10개(個) 농도(濃度) 수준(水準)을 수경액(水耕液)과 엽면철포(葉面撤布)로 태중재래 1호, Caloro, PI 245717 및 Bluebonnet 50의 수도 품종(品種)을 사용(使用) 신근수 및 분얼수를 조사(調査)하였다. 산화(酸化) phenol 계(系) 제초제는 초장(草長)이나 근장(根長)에 대하여 보다 분얼수나 근수증가에 더 영향(影響)을 주었다. MCPA만이 사용량(使用量)범위내에서 분얼수 증가가 가능(可能)하였다. Silvex는 신근생성(新根生成)을 촉진(促進)하는데 필요(必要)한 수준(水準)보다도 높은 수준(水準)에서 분얼(分蘖)을 촉진(促進) 시켰다. 제초제에 대한 품종간(品種間) 반응(反應)은 제초제 투여부분(投與部分)에 따라 달랐다. 내비성(耐肥性)이 강한 품종(品種) 일수록 제초제의 촉진효과(促進效果)가 큰 경향(傾向)이었다. Propanil은 산화(酸化) Phenol계(系) 제초제의 20배(倍)의 고(高) 농도(濃度)에서도 수도생육에 아무런 영향(影響)이 없었다.

  • PDF

Effect of azoxystrobin fungicide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e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leaves

  • Liang, Shuang;Xu, Xuanwei;Lu, Zhongb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2호
    • /
    • pp.175-182
    • /
    • 2018
  • Background: The impact of fungicide azoxystrobin, applied as foliar spray, on the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e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was studied in ginseng (Panax ginseng Mey. cv. "Ermaya") under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25% azoxystrobin SC (150 g a.i./ha and 225 g a.i./ha) on ginseng plants were sprayed three times, and the changes in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e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ginseng leaves were tested. Methods: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es were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2450). Every index was determined three times per replication. Extracts of ginsenosides were analyzed by HPLC (Shimadzu LC20-AB) utilizing a GL-Wondasil $C_{18}$ column. Results: Chlorophyll and soluble protei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by the application of azoxystrobin. Additionally,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 peroxidase, and ginsenoside contents in azoxystrobin-treated plants were improved, and malondialdehyde content and $O_2^-$ contents were reduced effectively. Azoxystrobin treatments to ginseng plants at all growth stages suggested that the azoxystrobin-induced delay of senescence was due to an enhance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protecting the plants from harmful active oxygen species. When the dose of azoxystrobin was 225 g a.i./ha, the effect was more significant. Conclusion: This work suggested that azoxystrobin played a role in delaying senescence by changing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indices and improving ginsenoside contents in ginseng leaves.

난황유를 이용한 단감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on Sweet Persimmom Using Cooking Oil and Yolk Mixture in the Orchard)

  • 권진혁;이흥수;최성태;심창기;지형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5-270
    • /
    • 2013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동안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 포장에서 단감 흰가루병(P. kakicola)을 방제하기 위하여 난황유를 3회 지상부에 살포한 다음 5일 후 병해 방제효과를 검정하였다. 난황유 처리구에서 병반 면적율을 조사한 결과 13.4%였으며, 단감 흰가루병에 대한 방제효율은 80.5%이었다. 무처리구에서 68.6% 발생하였다. 난황유를 처리한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흰가루병의 균사는 형태적으로 세포가 원형질막이 파괴되어 세포내용물이 소실되어 쭈그러졌다. 이것은 난황유가 흰가루병의 세포벽이나 세포막을 파괴하여 생긴 것으로 사료된다.

딸기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수확전 약제 처리 시기 (Efficacy by Application Schedule of Fungicides before Harvest Stage for Control of Strawberry Powdery Mildew)

  • 남명현;정석기;장창순;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1호
    • /
    • pp.39-42
    • /
    • 2005
  • Sphaerotheca aphanis var. aphanis에 의한 딸기 흰가루 병은 수확기에 발생하여 국내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중요한 병해이다. 딸기 흰가루병은 초기에 적절히 방제하지 않았으 경우 급격히 전반되어 방제가 어렵기 때문에 재배초기의 적절한 약제처리가 흰가루병 방제에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효과적인 수확기 흰가루병 방제를 위한 최적의 약제처리시기를 밝혀내고자 감수성 품종인 'Akihime'와 'Dochiodome'를 대상으로 개화 전 약제 처리체계에 따른 방제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Strobilulin 계통의 azoxystrobin과 kresoxim-methyl 및 유기동제인 DBEDC를 처리시기와 방법을 달리하여 딸기 수확기까지 처리하였다. 여러 가지 처리조합 가운데 딸기 묘를 정식 전 DBEDC에 침지 처리한 후 개화 전 멀칭시기에 kresoximmethyl 엽면살포하는 방법이 흰가루병 방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 방제체계는 촉성재배시 수확기 흰가루병 방제에서 처리시기의 중요성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재배자에게도 저농약 재배방법을 제공하고 경영비도 감소시켜 줄 것이다.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Causing Bacterial Blight of Walnuts in Korea

  • Kim, Hyun Sup;Cheon, Wonsu;Lee, Younmi;Kwon, Hyeok-Tae;Seo, Sang-Tae;Balaraju, Kotnala;Jeon, Yo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37-151
    • /
    • 2021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bacterial blight of walnut,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Xaj) in the northern Gyeongbuk province, Korea. Disease symptoms that appear very similar to anthracnose symptoms were observed in walnut trees in June 2016. Pathogens were isolated from disease infected leaves, fruits, shoots, bud, flower bud of walnut, and cultured onto yeast dextrose carbonate agar plates. Isolated bacteria with bacterial blight symptom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nutrient utilization profiles using Biolog GN2 and Vitek 2. In addition, isolates were subjected to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s. Furthermor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using atpD, dnaK, efp, and rpoD. To confirm pathogenicity, leaves, fruits, and stems of 3-year-old walnut plants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l pathogen suspensions as a foliar spray. One week after inoculation, the gray spots on leaves and yellow halos around the spots were developed. Fruits and stems showed browning symptoms. The pathogen Xaj was re-isolated from all symptomatic tissues to fulfill Koch's postulates, while symptoms were not appeared on control plants. On the other hand, the symptoms were very similar to the symptoms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hen walnut plants were inoculated with combined pathogens of Xaj and C. gloeosporioides, disease symptoms were greater in comparison with when inoculated alone. Xaj population size was more in the month of April than March due to their dormancy in March, and sensitive to antibiotics such as oxytetracycline and streptomycin, while resistant to copper sulf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