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ley Balloon Catheterization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4초

A Comparative Study to Evaluate a Simple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Bleeding Following Palatoplasty

  • Rossell-Perry, Percy;Schneider, William J.;Gavino-Gutierrez, Arquimedes M.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0권3호
    • /
    • pp.263-266
    • /
    • 2013
  • Bleeding, is one of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fter palatoplasty in patients with cleft palat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our experience using a Foley catheter balloon for perioperative palatoplasty bleeding management. A retrospectiv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all cases of palatoplasty performed by the author from 1999 to 2012 that experienced postoperative hemorrhage. These patients were managed by utilizing posterior nasal compression with a Foley catheter balloon for the period 2006 to 2012. We have compared two methods (we use before 2006 the reoperative method) with regards to the later development of palatal fistulae and cases with reoperative hemostasis. The study fou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ventional and proposed metho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palatal fistulae (P=0.7).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asal packing using a Foley balloon is a safe and effective method for postoperative bleeding control after palatoplasty in patients with cleft palate.

급성 신부전 환아에서 유치 도뇨관 제거 후 발생한 신 주위 요낭종 1례 (Spontaneous Perinephric Urinoma after the Removal of a Foley Catheter in a Girl with Acute Kidney Injury)

  • 양태환;임형은;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7권2호
    • /
    • pp.127-131
    • /
    • 2013
  • 요낭종이란 신장 및 비뇨기계로부터 누출된 소변이 신장 및 신우 주위에 캡슐상의 낭종을 형성하는 드문 질환으로 자연발생적인 신우의 파열로 인한 누출은 매우 드물며, 대부분 요로와 신우 내강의 압력 증가에 의해 발생한다. 본 증례에서 18세 여자 환아는 내원 7일 전부터 시작된 고열과 핍뇨 및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는 출생시 다운 증후군을 진단받았으며 평소 배뇨는 원활하였다. 입원 후 환아는 패혈증 쇼크 및 급성 신손상,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진단 하에 항생제 및 스테로이드 충격 요법 시행 후 핍뇨, 호흡곤란 및 혈액검사 호전 소견 보였으나 7일 동안 유치된 도뇨관 제거 후 환아는 요 폐색 소견이 관찰되었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상 좌측 신장 주위에 요낭종이 확인되어 좌측 요관에 Double-J catheter가 삽입 되었으며 신우의 파열 부위에 조영제 누출이 확인되었다. 시술 후 요 폐색 소견은 호전되었고, 배뇨성 방광 요도 조영술 상 좌측 신장의 4단계 방광 요관 역류가 관찰되었다. Double-J catheter 제거 3개월 후 좌측 신장 주변의 요낭종은 대부분 소실되었고, 좌측 신장의 방광 요관 역류는 보이지 않았다. 저자들은 급성 신부전 환아에서 유치 도뇨관 제거 후 배뇨곤란 및 요 폐색 소견을 보인 신 주위 요낭종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