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 solutio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2초

불산 중 극미량 음이온 분석을 위한 고상 추출법 및 이온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한 동시분석법 확립 (Optimization of solid phase extraction and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trace anions in concentrated hydrofluoric acid by ion chromatography)

  • 윤석환;조동호;김현지;신호상
    • 분석과학
    • /
    • 제29권5호
    • /
    • pp.219-224
    • /
    • 2016
  • A sensitive method to detect trace anions in hydrofluoric acid (HF) by solid-phase extraction (SPE) clean-up and ion chromatography (IC) was described. Fluoride in HF solution was eliminated with solid-phase extraction, and residual fluoride, acetate, chloride, bromide, nitrate, phosphate and sulfate were consecutively separated with IC. The SPE parameters (selection of adsorbent, sample volume and pH, elution solvent and its volume) were optimized and selected. The removal effect of fluoride in HF solution was the best on Oasis WAX column, and the optimum conditions (1.0 mL of 25 % HF solution and 50 mM ammonium acetate 5 mL as elution solvent) were established by the variation of parameters. Under the established condition, the method detection limits of chloride, bromide, nitrate, phosphate, and sulfate were 0.04~0.30 µg/L in 25 % HF solutions (w/w)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was less than 5 % at concentrations of 20.0 and 40.0 µg/L. The concentrations of anions in a 25 % HF had detectable levels of 4.2 to 47.5 µg/L. The method was sensitive, reproducible and simple enough to permit the reliable routine analysis of anions in HF solution us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semiconductors.

A Study on How to Improve Magnesium Anodizing Process with High Biocompatibility

  • Kwon, Sang-jun;Hur, Jin-young;Lee, Chang-Myeon;Jang, Kwan-seop;Moon, Sung-mo;Lee, Hong-kee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185-193
    • /
    • 2015
  • Anodization of die-casted AZ91D magnesium alloy was carried out using silicate based electrolyte solution instead of fluoride based solution to improve biocompatibility of oxidized layers. The anodic layer obtained from silicate based solution has smaller size of pore and smoother surface, resulting in lower corrosion rate in simulate body solution (SBF). Effect of enhanced structural and chemical properties in oxidized layer on biocompatibility was carefully considered.

망간침출액에서 불화칼슘화에 의한 高純度 망간酸化物의 製造 (Production of High purity $Mn_3O_4$Powder by Precipitation of Calcium fluoride in the Manganese Leaching Solution)

  • 한기천;이계승;최재석;신강호;조동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1권1호
    • /
    • pp.3-8
    • /
    • 2002
  • 고탄소페로망간을 중저탄소페로망간으로 제조하는 AOD공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약 90%가 $Mn_3$$O_4$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soft ferrite의 원료인 고순도 $Mn_3$$O_4$분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침출한 액의 Mn을 더욱 정제하여야 한다. 분진을 활성탄으로 배소하여 MnO로 환원시키고, 상온의 4N 염산수용액에 180g/L의 환원된 분진을 첨가하면 용액의 pH가 5이상이 되고 Fe와 Si가 침전으로 제거된 약 10%의 망간침출액이 얻어진다. Mn의 농도가 약 15000 ppm이 되도록 희석한 $70^{\circ}C$의 침출액에 F의 농도가 3000ppm이 되도록 $NH_4$F를 첨가하면 Ca가 침전하여 약14 ppm이하로 제거된다. Ca를 침전시킨 상징액에(NH$ 1.5M_4$)$_2$$CO_3$수용액을 2L/min으로 Mn의 당량만큼 첨가하면 미립의 고순도 $MnCO_3$가 침전한다. 침전을 여과하고 건조한 후에 $1000^{\circ}C$에서 2 시간 소성하면 median size가 $8.2mu$m인$ Mn_3$O$_4$를 얻을 수 있다. 제조된 산물은 99%이상의 순도로 soft ferrite용 Mn$O_3$$_4$분말의 규격을 만족한다.

효율적 제철폐수의 처리를 위한 희토류 화합물과 칼슘화합물의 운전인자 연구 (Operation Parameters for the Effective Treatment of Steel Wastewater by Rare Earth Oxide and Calcium Hydroxide)

  • 이창용;이상민;김완주;최고열
    • 공업화학
    • /
    • 제17권5호
    • /
    • pp.483-489
    • /
    • 2006
  • 희토류 화합물인 $La_{2}O_{3}$$CeO_{2}$ 시약과 이들을 함유하는 희토류 광석을 이용하여 제철 폐수 중의 불소 및 유해 중금속 제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용액 중 불소에 대한 희토류 원소의 제거 반응기구는 $La^{3+}$$Ce^{4+}$ 등의 양이온이 불소 이온과 불용성 화합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불소 제거에 사용되고 있는 소석회와 비교한 결과 $La_{2}O_{3}$$CeO_{2}$ 의 불소제거 효율이 높았다. HF 용액에서의 제거 효율은 $CeO_{2}$ 광석 < $CeO_{2}$ 시약 < $Ca(OH)_{2}$ < $La_{2}O_{3}$ 광석 < $La_{2}O_{3}$ 시약의 순서였고, 제철 폐수에서는 $Ca(OH)_{2}$ < $CeO_{2}$ 광석 < $CeO_{2}$ 시약 < $La_{2}O_{3}$ 광석 < $La_{2}O_{3}$ 시약의 순서였다(pH의 영향은 소석회인 경우 pH가 증가할수록 불소제거율이 감소하였다. 세륨화합물과 란탄화합물인 경우는 pH 증가에도 불구하고 불소제거 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방류 시 수질조건과 불소제거율을 함께 고려할 때 용액의 적정 pH는 7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망간제거의 경우, pH 7 이하에서는 소석회가 희토류 화합물보다 우수한 망간제거율을 보였고 pH 10에서는 모든 처리제에 대해서 거의 완벽한 제거특성을 보였다. 총크롬 제거의 경우는 산성 조건에서는 란탄화합물이 가장 높은 불소 제거율을 보였으며 pH 7이상에서는 모든 처리제가 좋은 효율을 보였다.

침식된 유치 법랑질에 대한 레이저 조사 및 불소도포의 재광화 효과 (EFFECT OF LASER IRRADIATION AND FLUORIDE APPLICATION ON REMINERALIZATION OF ERODED PRIMARY DENIAL ENAMEL)

  • 양영숙;김대업;라지영;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62-268
    • /
    • 2006
  • 연구목적은 산성 음료수에 의해 탈회된 법랑질의 표면에 대한 Nd:YAG레이저 조사의 재광화 효과와 불화물 도포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치아우식증, 색소, 손상, 부착물이 없는 건전한 사람의 유치의 평활면으로부터 법랑질 시편을 제작하고, 코카콜라에 12시간 동안 담가 탈회시켰다. 탈회된 법랑질 표면에 6W출력, 50mJ, 20Hz pulse rate의 에너지 밀도로 Nd:YAG 레이저를 조사하였다. 탈회 전후와 레이저 조사 후에 미세경도 및 Diagnodent 점수를 측정한 후, 0.05% 불소 용액, 1.23% 불소 젤, 0.1%불소 바니쉬 중의 한 가지를 도포하였으며 미세경도 및 Diagnodent측정을 통하여 레이저의 재광화 효과와 불소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1. Diagnodent 측정치의 변화에서, 탈회 후에는 초기 점수의 23.51%로 감소하였고, 레이저 조사 후에는 초기 점수의 37.37%로 증가하였으며, 불소도포 후에는 초기 점수의 51.34%로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보면 초기 점수, 탈회 후 점수. 레이저 조사 후의 점수, 불소도포 후의 점수 및 그 백분율 사이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3개 불소군 사이의 차이는 초기점수 및 불소도포 후 점수와 백분율에서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각 불소군 내에서는 불소 용액군과 불소 바니쉬군에서 초기 점수, 탈회 후 점수, 레이저 조사 후의 점수, 불소도포 후의 점수 및 그 백분율사이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불소 젤군에서는 레이저 조사 후와 불소도포 후의 점수 및 백분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미세경도의 변화에서, 탈회 후의 경도는 초기 경도의 33.58%로 감소하였고, 레이저 조사 후의 경도는 초기 경도의 43.99%로 증가하였으며, 불소도포 후의 경도는 초기 경도의 51.38%로 증가하였고, 전체적으로 보면 초기 경도, 탈회 후 경도, 레이저 조사 후의 경도, 불소도포 후의 경도 및 그 백분율 사이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불소군 별로 보면 3개 불소군 사이의 차이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고, 백분율에서도 초기경도와 불소도포 후 경도에서 유의하지 않았으며, 각 불소군 내에서는 초기 경도, 탈회 후 경도, 레이저 조사 후의 경도, 불소도포 후의 경도 및 백분율 사이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PDF

금속 불화물 첨가제가 α-알루미나 입자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tal Fluoride on the Formation of α-Alumina Particles)

  • 서금석;이상근;안병현;주창식;홍성수;박성수;이근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8권5호
    • /
    • pp.627-631
    • /
    • 2010
  • 질산 알루미늄과 암모니아 용액을 출발물질로 하고 또한 금속 불화물을 첨가제로 사용하여 $\alpha$-알루미나 입자를 침전법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제조과정에서 사용된 용매의 영향과 $AlF_3$, $CaF_2$, $MnF_2$ 등의 3 가지 금속 불화물 첨가제가 $\alpha$-알루미나로의 상전이 온도, 입자 크기 및 형태 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alpha$-알루미나 제조시 사용된 용매는 상전이 온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반면 입자 크기에 영향을 미쳤다. 첨가제 조성에 따라 $\alpha$-알루미나 상전이 온도가 차이가 났으나($AlF_3(800^{\circ}C)$ < $MnF_2(900^{\circ}C)$ < $CaF_2(950^{\circ}C)$),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1,100^{\circ}C$)보다는 모두 상전이 온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3 가지 첨가제를 사용한 경우 모두 판상의 $\alpha$-알루미나 입자들이 얻어졌으나, 그 중 $MnF_2$를 첨가한 경우에 가장 작은 크기의 $\alpha$-알루미나 입자들이 생성되었다.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접착제의 브라켓 주변 법랑질 탈회 예방 효과 (Effect of a Fluoride - Containing Orthodontic Primer for Preventing Enamel Demineralization around Bracket)

  • 장하영;김종빈;김종수;오소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2-418
    • /
    • 2017
  • 브라켓 주위에 발생되는 법랑질 탈회는 교정 치료 시 극복해야 할 문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교정용 브라켓 부착 시 사용되는 접착제 중 불소를 함유하는 교정용 프라이머의 적용이 법랑질 탈회 예방 및 재광화 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건전한 표면을 가진 발치 된 소의 절치 50개를 실험재료로 하여 법랑질 처리 방법에 따라 3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I) 아무처리하지 않은 시편, (II) 불소를 함유한 교정용 프라이머인 Light Bond$^{TM}$로 처리한 시편, (III) 전통적으로 불소를 함유하지 않는 프라이머인 Transbond$^{TM}$ XT Primer로 처리한 시편. 각 군을 인공우식용액에서 탈회시킨 다음 Q-ray view로 관찰하고, 비커스 표면미세경도 측정 및 편광현미경을 이용하여 우식 양상을 평가하였다. 인공 탈회 후 프라이머는 치아 표면에서 떨어져 나가 35 - 50% 잔존하는 것으로 보인다. 표면미세경도는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에서 가장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Light Bond$^{TM}$를 적용한 인접부위의 법랑질 표면미세경도는 아무처리를 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 편광현미경을 통해 관찰한 소견으로 Light Bond$^{TM}$를 직접 적용한 법랑질 표면은 탈회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Light Bond$^{TM}$의 인접부위에서는 가장 얕은 우식 양상과 재광화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 교정치료 시 법랑질 탈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해서 브라켓 부착 시 불소를 함유하는 프라이머의 사용이 유용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불소 및 레이저가 우치법랑질의 인공우식병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oride and Laser on Artificial Caries-like Lesion Formation in Bovine Enamel)

  • 김재곤;백병주;주훈;윤현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660-677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mbined effects of fluoride application and laser irradiation on artificial caries-like lesion formation in bovine enamel. Enamel specimens were divided into five experiment group and placed in no-treatment(group C), APF application alone(group F), laser irradiation alone(group L), APF application before laser irradiation (group FL), and APF application after laser irradiation(group LF) on artificial caries-like lesion. Sound enamel was used as a control group. The ultrastructural changes and physical effects of the fluorided and lased enamel has been investigated by using SEM, enamel solubility and microhardness test as well as distributions of calcium, phosphorus and fluoride in internal enamel by using EPM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all experiment groups, the amounts of dissolved calcium of enamel surface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exposure time of acid solution than control group(P<0.001). Group L showed higher than that group FL and LF in 30 and 60min(P<0.05). 2. The microhardness values of enamel surface in the control group was highest than that in the other experiment groups. Group F, L, FL and LF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group C(P<0.001). The enamel surface treated with APF produced deposites of numerous small globules and lased enamel showed a cracker-like appearance with microcrack and small pore. Numerous deposits were infiltrated in the fissured portion of enamel treated with APF after laser irradiation. 4. In the case of APF application alone, the elevation of the fluoride profile can be seen within $5{\mu}m$ of the outermost layer and a similar profile observed in the specimen treated with APF before laser irradiation. However, the specimen treated with APF after laser Irradiation showed a large elevation within $10{\mu}m$ of the outermost layer of the enamel. 5. The higher Ca/P ratios were observed in $10{\mu}m$ depth of lased and fluorided enamel when compared to the sound and carious enamel. The fluoride content decreased rapidly with distance from enamel surface, in the group F, fluoride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group C, L, FL, LF and control group according to increasing enamel depth (P<0.05).

  • PDF

불소도포한 상아질면의 산처리가 상아질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ID TREATMENT OF FLUORIDE APPLIED DENTIN SURFACE ON DENTIN BONDING)

  • 황혜경;안식환;김성교;조광헌;박진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1권2호
    • /
    • pp.602-61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id treatment of fluoride applied dentin surface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phosphoric acid for various periods of time on dentin bonding. Dentin specimens prepared from freshly extracted bovine mandibular anterior teeth were divided into fluoridated and nonfluoridated groups. Specimens of nonfluoridated group were pretreated with 10% phosphoric acid for 15 seconds. Those of fluoridated groups were treated with 2% sodium fluoride or 2% stannous fluoride solution for 5 minutes and stor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3 days, followed by phosphoric acid treatment.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ic acid were 10%, 32% or 50% and the treatment periods of time were 15, 30 or 60 seconds. All the specimens were bonded with All Bond$^{(R)}$ 2 and Bisfil$^{TM}$ composite resin. After bonded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tensile bond strengths of each specimens were measured and the pretreated dentin and the fractured dentin surfaces were examined under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ensile bond strengths from the fluoridated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rom the nonfluoridated group when the concentrations of phosphoric acid and the treatment periods of time were equal in all the groups (p<0.05). In general,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and the longer the treatment period of time for acid etching on the fluoride applied dentin surface, the higher were the bond strength values. Recovery of bond strength of the dentin bonding agent was better in the NaF applied group than in the $SnF_2$ applied one. SEM findings of NaF applied and $SnF_2$ applied dentin surfaces demonstrated reaction product-covered and partially or completely obstructed dentinal tubules. SEM findings of dentin surfaces fluoridated for 5 minutes followed by etching showed wider tubular openings and more clean dentin surfaces when dentin was etched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for longer period of time. On the SEM observations of the fractured dentin-resin interface, the etched specimens of fluoridated group showed an adhesive failure mode when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and the treatment period of time were same as in the nonfluoridated group. As the concentration of phosphoric acid and the treatment period of time increase during acid etching, the cohesive failure area increased. However, excessive acid etching caused adhesive failure.

  • PDF

불소를 첨가한 10% Carbamide Peroxide의 법랑질표면 변화와 미백효과 (Effect of Fluoridated 10% Carbamide Peroxide on Enamel Surface Change and Whitening)

  • 이혜진;김현대;김민영;권태엽;김교한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5-100
    • /
    • 2010
  • 본 연구는 자가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10% Carbamide Peroxide에 NaF를 첨가하여 사용하였으며 미백 후 인공적으로 변색시킨 법랑질의 색, 경도 및 표면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0% CP 미백처리군과 10% CP+NaF 미백처리군의 색조변화량은 미백 후 색조 변화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NBS unit로 환산해본 결과 미백처리군 모두 very much에 해당되어 임상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2. 10% CP 미백처리군은 미백처리 후의 법랑질 표면경도 값이 미백처리 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불소첨가 미백군은 미백처리 전과 비교하여 표면경도 값이 거의 변하지않았다. 3. 미백처리 전 후의 법랑질 표면에 대한 미세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주사전자현미경과 원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미백처리 후 탈회현상에 의해 법랑질 표면이 거칠어짐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미백제와 함께 불소를 적용한 처리 군에서는 미백 처리에 의해 거칠어진 법랑질 표면이 불소에 의해 재광화가 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볼 때 10% CP 치아 미백은 법랑질 표면에 영향을 미쳐 미백 후 치아의 시림이나 표면의 형태변화, 경도 값의 감소 등과 같은 부작용을 야기 할 수 있으므로 불소를 포함한 미백제의 사용이나 치아미백 후 불소도포를 시행함으로써 법랑질 표면의 재광화를 유도하여 치아미백 후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