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de Solution

검색결과 280건 처리시간 0.029초

PVdF 나노섬유 나권형 정밀여과와 입상 활성탄의 혼성 수처리에서 활성탄 충진량의 영향 (Effect of GAC Packing Mass in Hybrid Water Treatment Process of PVdF Nanofibers Spiral Wound Microfiltration and Granular Activated Carbon)

  • 경규명;박진용
    • 멤브레인
    • /
    • 제27권1호
    • /
    • pp.68-76
    • /
    • 2017
  • 고강도, 내약품성, 무독성, 내연소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나노섬유로 기공이 $0.4{\mu}m$ 평막을 제조한 후, 부직포와 평막으로 나권형 모듈을 제작하였다. 용존유기물의 흡착 제거를 위한 입상 활성탄(GAC, granular activated carbon) 흡착 컬럼과 자체 제작한 나권형 모듈로 혼성 수처리 공정을 구성하였다. 카올린과 휴믹산으로 조제한 모사 용액을 대상으로, 처리수를 재순환하는 경우와 배출하는 경우 각각 GAC 충진량의 영향을 알아보았다. 여과실험 후 물 역세를 하여 회복률과 여과저항을 계산하였다. 또한, 탁도와 $UV_{254}$ 흡광도를 측정하여 GAC의 흡착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처리수를 재순환하는 경우와 배출하는 경우 모두 탁도 처리율에는 GAC 충진량의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GAC의 $UV_{254}$ 흡광도 처리율이 처리수를 순환하는 경우 0.7~3.6%이었는데, 처리수를 배출하는 경우 3.2-5.7%로 증가하였다. 처리수를 순환하는 경우 GAC의 충진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역적 여과저항($R_r$)과 비가역적 여과저항($R_{ir}$)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총여과저항($R_t$)은 거의 일정하였고, 물 역세 회복률($R_b$)은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 전통 메주 유래의 Aspergillus wentti가 생성하는 Protease 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d by Aspergillus wentti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1-167
    • /
    • 2000
  • 한국의 재래식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Aspergillus wentti가 생산하는 protease를 정제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본배지[밀기울 :1% glucose 함유$H_2O=1:1\;(w/v)]$에서의 효소생산 최적조건은 pH 9.0, $30^{\circ}C$, 4일 이었다. 효소의 정제는 먼저 배양 밀기울로부터 20mM phosphate(pH 8.0)로 효소를 추출하고 QAE-Sephadex와 SP-Sephadex의 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비흡착성 활성단백질을 분리한 후 두차례의 Sephadex G-100 gel filtration로서 분자량 약 32,000(SDS-PAGE분석 : 단일밴드)의 비활성도 213unit/mg, 정제배수 27.3배로 효소를 정제하였다. 본 효소의 $K_m$값은 $3.049{\times}10^{(-4)}M,\;V_(max)$값은 $151.1\;{\mu}g/min$이었으며 ISP, hemoglobin, bovine albumin 보다 casein에 대해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pH $4.0{\sim}11.0$의 범위와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으며 효소활성은 금속이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2mM의 phenylmet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6% 실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효소는 효소 활성부위가 serine의 OH기인 serine protease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PVdF-HFP와 실리카가 코팅된 실크 견직물의 분리막 특성과 이를 채용한 리튬이온전지의 충방전 특성 (Separator Properties of Silk-Woven Fabrics Coated with PVdF-HFP and Silica and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Lithium-ion Batteries Adopting Them)

  • 오심건;이영기;김광만;이용민;김상헌;김용주;고장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1권3호
    • /
    • pp.330-334
    • /
    • 2013
  • 실크 견직물 표면에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HFP)와 실리카 나노입자의 혼합물을 코팅한 분리막을 제조하고 분리막에 전해액을 함침시켜 리튬이온전지용 분리막 겸 전해질로 사용하기 위한 특성이 조사되었다. 코팅막의 제조 시에는 전해액이 침투할 수 있는 미세다공의 형성을 심화시키기 위해 dibutylphthalate (DBP) 가소제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코팅된 분리막의 이온전도도, 함습율, 전기화학적 안정성 등을 조사하였고, 이를 리튬 이온전지에 탑재하여 여러 전류속도에 대한 충방전 특성도 함께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실리카가 첨가되고 DBP를 40~50 wt% 사용하여 코팅된 실크 분리막이 가장 우수한 분리막 특성 및 고율 충방전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i) 실크 견직물의 우수한 내구성과 내열성 이외에 (ii) DBP에 의한 미세다공 형성, (iii) 실리카에 의한 함습율 향상 등에 의해 코팅막의 표면적 및 코팅된 분리막의 이온전도도가 크게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높은 에너지 밀도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위한 PTFE 바인더를 적용한 고로딩 양극 (Thick Positive Electrode using Polytetrafluorethylene (PTFE) Binder for High-Energy-Density Lithium-ion Batteries)

  • 강정민;김형우;장영석;김해빈;류지헌
    • 전기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8-33
    • /
    • 2021
  •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전극의 로딩을 높이는 방법에 대하여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온 기존의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바인더가 아닌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바인더를 적용하여 고로딩의 LiNi0.5Co0.2Mn0.3O2 (NCM523) 양극을 제조하였다. 기존의 슬러리 공정이 아닌 PTFE 현탁액을 이용한 반죽공정을 통하여 로딩을 높인 두꺼운 전극이 용이하게 제조되었다. PTFE 및 PVdF 기반의 전극을 5.0 mAh/cm2의 로딩레벨로 각각 제조한 결과로 PTFE를 적용한 전극이 좀 더 우수한 사이클 수명과 속도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PTFE 바인더를 사용한 반죽공정으로 제조된 전극은 기공도가 커서 전극밀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압연을 상온이 아닌 120℃ 이상의 고온에서 진행함으로써 기공도를 낮출 수 있었으나, 이에 따른 사이클 성능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전극조성에서 도전재의 함량을 높임으로써 고로딩 전극의 사이클 수명을 소폭 향상시킬 수 있었다. PTFE 바인더 적용으로 고로딩 전극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나, 추가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불소바니쉬에 의한 탈회 유전치 법랑질의 재광화 효과 (Remineralization Effects on the Demineralized Enamel of Primary Teeth by Fluoride Varnish)

  • 조성은;김종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4-50
    • /
    • 2016
  • 본 연구는 탈회 유전치에 3가지 불소바니쉬를 이용하여 인공우식의 재광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인공우식용액에 40개의 건전한 유전치 시편을 침적시킨 후, $37^{\circ}C$ 항온기에 7일 동안 보관하여 유전치에 탈회를 형성하였다. Cavity shield$^{TM}$, V varnish$^{TM}$, MI varnish$^{TM}$를 1주일에 한 번씩 3주 동안 탈회된 유전치에 도포 후 불소바니쉬 종류에 따른 미세경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1주차에서는 MI varnish$^{TM}$군이 가장 높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고 다음으로 V varnish$^{TM}$군이 높았으며, Cavity shield$^{TM}$군이 낮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으며, 세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2주차에서는 V varnish$^{TM}$군이 가장 높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MI varnish$^{TM}$군 높았지만 V varnish$^{TM}$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Cavity shield$^{TM}$군은 V varnish$^{TM}$군과 MI varnish$^{TM}$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다(p < 0.05). 3주차에서는 V varnish$^{TM}$군이 나머지 두 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가장 높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고(p < 0.05), 다음으로 MI varnish$^{TM}$군이 높았으며 Cavity shield$^{TM}$군이 가장 낮은 재광화 효과를 보였지만, MI varnish$^{TM}$군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총 미세경도 증가량은 Cavity shield$^{TM}$군에 비해 V varnish$^{TM}$군과 MI varnish$^{TM}$군이 높았으며(p < 0.05), V varnish$^{TM}$군과 MI varnish$^{TM}$군 사이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05).

전자빔 전조사를 이용한 Polyvinylidene Fluoride 다공막의 친수화 개질 (Hydrophilic Modification of Porous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by Pre-irradiating Electron Beam)

  • 최용진;이성원;서봉국;김민
    • 멤브레인
    • /
    • 제21권2호
    • /
    • pp.118-12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소수성 표면의 막을 친수화시키는 방법으로 기존의 방법(브렌딩, 화학적처리 및 post-irradiation에 의한 광조사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고분자에 전자빔을 전조사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제조공정은 4부분으로 구성되며 첫째로 주고분자를 전자빔을 이용하여 수증기 및 공기조건하에서 전조사함으로써 친수기를 도입하는 전구체의 제조공정, 이를 이용하여 도프을 제조하는 도프용액 제조공정, 도프용액을 부직포 위에 캐스팅 하는 캐스팅 공정, 마지막으로 비용매에 침적하여 응고시켜 분리막을 형성시키는 분리막 제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제조된 분리막은 기존의 친수화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다공 분리막에 비하여 보다 균일한 형태의 친수화가 가능하며,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소수성 고분자인 polyvinylidene f1uoride (PVDF)를 75~125 K Gray 범위 선량의 전자빔 (electron beam, EB) 조사하여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전구체는 FTIR, EDS, DSC 등에 의해 친수기의 도입 및 도입경로를 확인한 결과, 하이드록실기가 친수성기로 도입되었고, 도입경로로는 주쇄의 탈수소화 반응경로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추론 할 수 있었다. 제조막의 친수화는 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다.(pristine PVDF로 제조된 막의 접촉각은 약 $62^{\circ}$ 125 K Gray-PVDF로 제조된 막의 접촉각은 $13^{\circ}$). 또한 제조된 PVDF 다공막의 다공성도를 수은압입측정을 통하여 평가하였으며 SEM 이미지를 통하여 몰폴로지 및 표변 공경싸이즈를 관찰하였다. 그들의 결과는 전자빔의 선량이 높게 조사된 PVDF전구체를 사용한 막일수록 공경의 크기 및 다공도(pristine PVDF : 82%, 125 K Gray-PVDF : 63%)가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순수 투과실험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pristine PVDF의 경우는 892 LMH, 125 K Gray-PVDF의 경우는 355 LMH의 결과를 얻었다.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Air-Formed Oxide Film-Covered AZ31 Mg Alloy in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Various Anions

  • Fazal, Basit Raza;Moon, Sungmo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47-154
    • /
    • 2017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thin air-formed oxide film-covered AZ31 Mg alloy. Native air-formed oxide films on AZ31 Mg alloy samples were prepared by knife-abrading method and the changes i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the air-formed oxide film were investigated in seven different electrolytes containing the following anions $Cl^-$, $F^-$, $SO{_4}^{2-}$, $NO_3{^-}$, $CH_3COO^-$, $CO{_3}^{2-}$, and $PO{_4}^{3-}$. It was observed from open circuit potential (OCP) transients that the potential initially decreased before gradually increasing again in the solutions containing only $CO{_3}^{2-}$ or $PO{_4}^{3-}$ ions, indicating the dissolution or transformation of the native air-formed oxide film into new more protective surface films. The Nyquist plots obtained from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showed that there was growth of new surface films with immersion time on the air-formed oxide film-covered specimens in all the electrolyte. The least resistive surface films were formed in fluoride and sulphate baths whereas the most protective film was formed in phosphate bath. The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curves illustrated that passive behaviour of AZ31 Mg alloy under anodic polarization appears only in $CO{_3}^{2-}$, or $PO{_4}^{3-}$ ions containing solutions and at more than $-0.4V_{Ag/AgCl}$ in $F^-$ ion containing solution.

염산 및 불산처리 모더나이트의 산특성과 촉매활성 (Acid Property and Catalytic Activity on Mordenites Treated by Hydrochloric Acid and Hydrofluoric Acid)

  • 한영택;하백현
    • 공업화학
    • /
    • 제2권1호
    • /
    • pp.77-85
    • /
    • 1991
  • 염산 및 불산으로 모더나이트를 처리하여 실리카/알루미나 비가 다른 일련의 시료를 만들었다. 이러한 시료에 대하여 암모니아 TPD와 피리딘 흡착으로 IR을 이용하여 산성도를 측정하고 o-xylene 반응의 활성과 이성화반응에 대한 선택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염산처리 시료는 실리카/알루미나 비가 증가할수록 구조알루미늄이 추출되어 산량이 감소하였으며 실리카/알루미나 비가 22인 시료가 다른 시료들보다 활성이 좋았다. 불산처리 시료는 불산처리 시 불소가 구조 중 규소원자와 결합하였으며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결합된 불소는 증가하였다. 이 경우의 활성은 염산처리와는 달리 알루미늄의 추출과 함께 모더나이트의 수산기가 불소로 치환되어 이로 인하여 산점이 줄어 활성이 감소하나 불산은 규소도 추출하므로 표면을 파고들어 새로운 면이 노출되어 산점이 형성되고 이 산점은 증가된 결합불소의 영향을 받아 강해지면서 활성이 다소 증가하였다.

  • PDF

허혈심근 Xanthine Oxidase 의 전환에 관한 연구 (Conversion of Myocardial Xanthine Oxidase in Ischemic Heart of Rat)

  • 박창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5호
    • /
    • pp.803-815
    • /
    • 1988
  • The present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hypothesis that xanthine oxidase[XOD], as a source and mechanism of oxygen radical prod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enesis of the reperfusion injury of ischemic myocardium. The experimental ischemic-reperfusion injury was induced in isolated, Langendorff preparations of rat hearts by 60 min. Of global ischemia with aortic clamping followed by 20 min. of reperfusion with oxygenated Krebs-Henseleit solution[pH 7.4, 37*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leases of creatine phosphokinase and a lipid peroxidation product, malondialdehyde[MDA] into the coronary effluent were abruptly increased upon reperfusion of ischemic hearts. The increases of the enzyme and MDA were suppressed significantly in the hearts removed from rats pretreated with allopurinol, a specific XOD inhibitor[20mg/kg, oral, 24 hrs and 2 hrs before study]. This effect of allopurinol was comparable to that of oxygen radical scavengers, superoxide dismutase[5, 000U] and catalase[12, 500 U]. 2. The increased SOD-inhibitable reduction of ferricytochrome C, which was infused to the hearts starting with reperfusion,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in allopurinol pretreated hearts. 3. Activities of myocardial XOD were compared in the normal control hearts and the ischemic ones. Total enzyme activities were not different in both hearts. However, comparing with the control, the ischemic ones showed higher activity in 0-form and lower activities in D-form and D/O-form. 4. In the ischemic hearts,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a serine protease inhibitor, prevented significantly the increase of 0-form and the decreases of D and D/O-form, while thiol reagents did not affect the changes of the enzyme. 5. The increase of 0-form and the decreases of D and D/0-form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calcium-free perfused and pimozide, a calmodulin inhibitor, treated ischemic hearts. 6. The SOD-inhibitable reduction of ferricytochrome C were suppressed by PMSF and pimozide treatment as well as by calcium-free perfusion. It is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in the ischemic rat myocardium, xanthine oxidase is converted to oxygen radical producing 0-form by calcium, calmodulin-dependent proteolysis and plays a contributing role in the genesis of ischemic-reperfusion injury by producing oxygen free radicals.

  • PDF

배터리 분리막을 위한 이온교환형 PVdF 맴브레인의 방사선 그래프트법에 의한 간편한 제조법 (Convenient Preparation of Ion-Exchange PVdF Membranes by a Radiation-Induced Graft Polymerization for a Battery Separator)

  • 김상겸;류정호;권해두;장주환;최성호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26-132
    • /
    • 2010
  • 메탄올 용매에서 고분자 촉진 단량체와 소디윰 스티렌 슐포네이트를 방사선 그래프트 방법으로 양이온 교환 PVdF 맴브레인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촉진 단량체로서 스티렌, 아크릴산, 비닐 피롤리돈을 사용하였다. 또한, 음이온 교환 PVdF 맴브레인도 방사선 그래프트 중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양이온 및 음이온 교환 PVdF 맴브레인은 SEM, XPS 그리고 열분석기기를 통해 특성평가를 하였고 성공적으로 합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래프트 수율, 이온교환기의 양 및 침투율은 각각 30.0~32.3%, 2.81~3.01 mmol/g 그리고 66.6~147%로 평가되었으며, 20 $^{\circ}C$에서 이온 전도도를 측정한 결과 0.020~0.053 S/cm 이었다. 최종적으로, 제조된 양이온 및 음이온교환 PVdF 맴브레인은 전지격막으로서 충분히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