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idized bed combustor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7초

유동층을 이용한 유,무연탄 혼합 연소로에서 대기오염물질 생성과 연소효율 연구 (A Study on Production of Air Pollutants and Combustion Efficiency of Anthracite-Bituminous Coal Blend Combustor Using Fluidized Bed)

  • 조상원;민병철
    • 공업화학
    • /
    • 제8권3호
    • /
    • pp.517-523
    • /
    • 1997
  • 본 연구는 유동층연소로에서 유,무연탄 혼합연소시 대기오염물질 발생과 연소효율에 관하여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동층연소로 높이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황과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연탄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이산화황의 농도는 증가하였으나 질소산화물농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무연탄 혼합비가 증가할수록 비산유출율도 증가하였고 주입 가연성분에 대한 유출 가연성분비도 증가하였다. 또한, 무연탄 혼합비에 관계없이 비산유출입자의 평균입경에 따른 미연분 함량은 미세입자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연소효율은 층온도 $850^{\circ}C$, 과잉공기 20% 이상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유속 0.3m/s, 층온도 $850^{\circ}C$, 과잉공기비 20%의 조건으로 혼합연소시키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슬러지 처리를 위한 유동층 연소로의 열전달률 해석 (Analysis on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The Fluidized - Bed Combustion for Management of Sludge)

  • 김성중;이제학
    • 유기물자원화
    • /
    • 제20권3호
    • /
    • pp.27-33
    • /
    • 2012
  • 환경부 통계에 의하면 하수슬러지의 배출량은 연 7~9% 증가되고 있다. 향후에도 하수처리장 증설과 질소 및 인 제거를 위한 고도처리 시행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간은 상당량 매립에 의존해 처리해 오고 있었고, 일부는 해양배출에 의해 처리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유기성폐기물 직 매립금지와 해양배출마저 금지될 상황인지라 슬러지 처리에 비상사태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재활용을 위해 혐기성 소화공법을 적용하여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거나 탄화공법을 적용하여 고형연료화를 할 수 있으나, 이 또한 공정이 만만치 않으며 악취발생과 2차 폐기물이 되어 버리므로, 사실상 실용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유동층 연소로를 적용한 하수슬러지 처리에 대하여 실제적으로 활용가능한 기술임을 검증하기 위해 핵심 기술을 선정하여 입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수슬러지 처리에 있어 유동층 연소로를 적용한다면 우리나라와 같이 에너지 부존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의 대체에너지원(연료)으로 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본래의 유동층 연소로의 장점만을 골라 충분히 활용하게 된다면 하수슬러지를 친환경적으로, 위생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간단하게 처리하게 될 것이다.

상용 순환 유동층 연소로 수관벽 전열관 마모속도 (Tube Erosion Rate of Water Wall in a Commercial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 김태우;최정후;선도원;손재익;정봉진;김수섭;김상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25-530
    • /
    • 2005
  • 상용 순환 유동층 연소로(200 ton steam/hr, $4.97{\times}9.90{\times}28.98m$)의 수관벽에서 전열관의 마모속도를 측정 및 고찰하였다. 전열관의 두께는 초음파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Splash 영역에서 윙월을 포함한 모든 수관벽 전열관의 마모속도가 두드러졌다. 전열관의 마모속도는 분배기로부터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한 후 다시 증가하였다. 프리보드 기체출구 부근의 윙월에서는 기체 및 고체흐름의 편향성으로 인한 마모속도의 차이도 나타났다. 윙월의 마모속도는 연소로 단면의 중앙에 위치할수록 크게 나타났다.

상용 순환 유동층 연소로 수관벽 전열관 두께 지도 (A Tube Thickness Map of Water Wall in a Commercial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 김태우;최정후;선도원;손재익;정봉진;김수섭;김상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3권3호
    • /
    • pp.412-418
    • /
    • 2005
  • 상용 순환 유동층 연소로(200 ton steam/hr, $4.97{\times}9.90{\times}28.98m$)의 수관벽에서 전열관의 두께분포를 측정하였으며, 전열관 마모를 고찰하였다. 전열관의 두께는 초음파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Splash 영역에서 윙월을 포함한 모든 수관벽 전열관의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전면과 후면의 수관벽 하부 옆면벽에 가까운 양편에서 마모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체출구 부근벽의 일부 전열관에서 상당한 전열관 마모가 발생되었다. 윙월에서는 연소로 단면의 내부로 들어올수록 전열관의 마모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연소 보일러용 분진의 전기집진특성 (Electrostatic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f Coal Combustion Boiler)

  • 이태식;분차석;김경석;남창우;이규철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6호
    • /
    • pp.475-482
    • /
    • 1999
  • 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f two kinds of fly ashes, one derived from a fluidized bed combustor(FBC), the other from a pulverized coal(PC) fired furnace, have been studied on a pilot plant.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to enhance the collection efficiency while changing the operating conditions for two kinds of coal ashes, respectively. It has been shown that collection efficiency is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shape of the ashes, dust contents, humidity, and temperature, etc. Experimantal results showed tha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FBC ash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C fly ash in spite of the small size of the FBC ashes. The experimetal results have been applied to the collection efficiency equations to show that the modified Deutsch equation was well agreed with experiment results if modification parameter k was set to 0.6 for the fluidized bed fly ashes and to 0.43 for the pulverized coal fly ashes.

  • PDF

가압유동층에서 석탄의 연소특성 (Co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Pressurized Fluidized Bed Combustor)

  • 진경태;한근희;박재현;손재익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36
    • /
    • 1998
  • 가압유동층 복합발전(Pressurized Fluidized Bed Combustion Combined Cycle 또는 PFBC-CC)은 고효율 및 공해물질 배출이 적은 석탄이용 차세대 발전기술이다. 석탄을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열은 스팀으로 회수하여 스팀터빈을 구동하고, 고온, 고압의 연소가스로 가스터빈을 구동하여 복합 발전함으로서 효율을 42- 45%까지 얻을 수 있으며, 유동층연소의 장점인 연소중 탈황과 낮은 질소산화물 배출특성으로 환경친화적이며 경제성이 우수한 청정석탄 이용기술이다. (중략)

  • PDF

다양한 종류의 연소로 형식에서 고체 연료 특성이 연소과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lid fuel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various combustor types)

  • 최진환;양원;이상득;최상민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1년도 제23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42-152
    • /
    • 2001
  • Three Lab-scale combustors of different types were made to observe some basic phenomena of fuel combustion in the combustors ; grate type combustor, rotary kiln and FBC. The aims were to introduce how to simulate the combustion behaviors in the real plants by utilizing the reduced apparatuses and characterize the combustors relating to some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fuel size, water contents, bed temperature, rotating speed of kiln, flow rate. The mean carbon conversion time and the flame propagation rate were adopted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 PDF

국내 무연탄과 미분을 성형한 무연탄의 순환유동층 연소 (Circul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Korean Anthracite and Fabricated Anthracite Fines)

  • 선도원;배달희;오창섭;김헌창
    • 공업화학
    • /
    • 제21권5호
    • /
    • pp.553-558
    • /
    • 2010
  • 순환유동층에서 나타나는 국내 무연탄의 낮은 연소성을 극복하고 비산재로 배출되는 미연분의 손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분탄과 비산회를 혼합하여 성형한 성형탄과 무연탄의 혼소를 0.1 MW급 순환유동층에서 수행하였다. 비교 시험에서 원탄 연소는 다량의 미분의 비산과 연소로 상부에서의 과열을 일으켰으나 조립탄 연소의 경우 미분을 제거하였으므로 일정한 온도에서 연소되었고 운전이 가장 안정적이었다. 조립탄과 원탄이 혼합된 석탄은 다소 운전이 불안하였으나 원탄만을 연소시킬 때보다는 안정적 연소가 가능하였다. 조립탄에 성형탄을 혼합한 경우 조립탄 연소의 경우와 같이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상용 순환유동층 보일러에서 성형탄 혼소가 국내 무연탄의 연소성 개선에 도움이 됨을 보여 주었다.

RDF 유동층 연소시 Cl의 거동 (Chlorine behavior dur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RDF)

  • 이혜문;곽연호;김우현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01년도 제23회 KOSCO SYMPOSIUM 논문집
    • /
    • pp.137-141
    • /
    • 2001
  • The behavior of Cl is important to prevent HCl exhausted by incineration of RDF. Because RDF is composed of municipal wastes, its calorific value is very various. Thus components of RDF are to be analyzed and elemental analyze and calorific value are to be done. And in order to find the behavior of Cl during RDF combustion, Cl included in exhaust gas and ash is captured and analyzed. RDF which made by municipal and $Ca(OH)_2$ with regular ratio(Ca/0.5Cl) is incinerated in fluidized bed combustor. Cl included in exhaust gas and fly ash is captured and analyzed. Finally the change of Cl concentration included in exhaust gas and ash is analyzed and the behavior of Cl is investigated.

  • PDF

폐기물 고형연료(RDF)의 순환유동층 연소 및 증기생산 (Circul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of Refuse Derived Fuel and Steam Production)

  • 선도원;배달희;조성호;이승용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13-616
    • /
    • 2007
  • A pilot scale circulating fluidized bed for refuse derived fuel is developed and constructed in order to demonstrate efficient and safe utilization of waste fuel. The capacity of the facility is 8 steam tons per hour with the steam quality of $450^{\circ}C$ and 38atm. The quantity and the quality of the produced steam is sufficient to produce 1MWe power capacity. The test operation proved the high combustion efficiency of 99% and up. The emissions of NOx, SOx in flue gas are below 100, 60ppm respectively with out any emission control. HCl emissions were above 400ppm at the combustor exit but reduced below 10ppm after scrubb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