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tation tailing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비소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의 영향 (The Effect of Phosphate Addition in Flotation to Remove As in Tailings from Sangdong Mine)

  • 황민수;김소연;강헌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5호
    • /
    • pp.55-61
    • /
    • 2014
  • As의 평균함량이 285 mg/kg인 상동광산 광물찌꺼기의 As제거를 위한 부유선별에서 인산염 첨가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제3인산나트륨(이하 T.S.P)을 분산제로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하였다. 먼저 분산제 없이 부유선별을 진행한 결과, As제거율은 88.7%, 부상물의 무게비는 2.52%였고 추가적으로 T.S.P를 첨가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한 결과 각각 92.74%, 2.26%로 As제거율은 증가하고 부상물의 무게비는 감소하였다. 두 실험의 부상물을 대상으로 입도분석을 진행한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부상물은 평균입도가 19.34 um, 10 um이하의 양이 전체의 40.2%인 반면 T.S.P를 첨가할 경우, 각각 176.8 um, 6.5%였으며 이를 통해 미립입자의 부유가 억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X.R.F 분석을 통해 두 실험 부상물의 실리카($SiO_2$)함량을 비교해본 결과, T.S.P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 42.74%, 첨가한 부상물의 경우 29.56%로 실리카계열의 친수성입자가 효과적으로 분산되어 부유가 억제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금(金) 浮選(부선) 광미(鑛尾)로부터 금(金)의 회수(回收)에 관한 연구(硏究) (Study on Recovery of Au from Flotation Tailing of Gold)

  • 신승한;강현호;홍종원;이진수;박제현;한오형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9권6호
    • /
    • pp.61-69
    • /
    • 2010
  • 대우조선해양 S.M.C는 국내에서 가행중인 유일한 금광산으로 현재 160 ton/day의 원광을 처리하여 금을 생산하고 있으며, 150 ton/day 이상의 광미가 발생하고 있다, 광미 중 일부는 탈수 건조 후 갱도 충전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 광미댐에 적치하고 있다. 광미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 Au 품위 1.5~2.0 g/ton이 함유되어 있어, 하루에 버려지는 금은 225~300 g 이므로 이를 회수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미에 함유된 Au를 회수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부유선별법을 이용하여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포수제 KAX (97.2 g/ton), 기포제 AF 65 (248 ml/ton), 억제제 sodium silicate (4kg/ton)의 조건에서 Au품위 21.31 g/ton, 실수율 62.73% 산물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폐광미로부터 얻어진 정광을 다시 l차 조선공정에 재급광할 경우 대표적인 귀금속인 금을 회수할 수 있다.

부유선별(浮遊選別)에 의한 상동광산(鑛山) 광물(鑛物)찌꺼기의 As 제거(除去) 연구(硏究) (Study on the Removal As from the Tailing of Sangdong Mine using Froth Flotation)

  • 김민식;이상호;박미정;최홍일;양인재;강헌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2권5호
    • /
    • pp.43-49
    • /
    • 2013
  • 상동광산 광물찌꺼기로부터 As를 제거하기 위하여 부유선별을 실시하였다. 상동광산 광물찌꺼기를 토양오염공정시험법으로 분석한 결과, As가 282 mg/kg 으로 1지역 대책기준(75 mg/kg)을 초과하고 있어 심각한 수준 이였다. 먼저 포수제와 기포제를 K.A.X와 DF250으로 선정 한 후, pH 변화에 따른 실험을 통해 pH 6일 때 제거율이 91%로 성적이 가장 우수하였다. 교반속도(rpm)에 따른 실험에서는 rpm이 1,500일 때 As 제거율이 80%로 가장 높았다. K.A.X 첨가량에 따른 실험에서는 300 g/ton 에서 93%로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광액의 농도에 따른 실험에서는 30%일 때 93%의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침강물의 As 함량이 22.5 mg/kg으로 1지역 대책기준(75 mg/kg)을 초과하던 As를 1지역 우려기준치(25 mg/kg) 이하로 만족시킬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상동광산 광물찌꺼기로부터 As를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습식사이클론을 이용한 광물찌꺼기의 정밀분급과 탈수 (Fine Particle Classification and Dewatering of Tailing Using Hydrocyclone)

  • 김종걸;유경근;최홍일;최의규;박제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4권4호
    • /
    • pp.56-60
    • /
    • 2015
  • 광물찌꺼기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부유선별공정에서 배출되어 1차 분급된 시료를 대상으로 정밀분급을 실시하였다. 0.1 MPa - 0.3 MPa의 주입압력(공급유량)과 5% - 15%의 광액농도 조건에서 2인치 습식사이클론을 이용하여 분급시험을 진행한 결과, 주입압력 (공급유량)이 감소할수록 광액농도가 증가할수록 분리입도는 증가하였다. 광액농도 5%와 주입압력 0.3 MPa의 조건에서 overflow와 underflow의 평균입도는 각각 $6.56{\mu}m$$55.45{\mu}m$를 나타내었다. 분급효율은 광액농도를 증가시키거나 주입압력을 감소시킬수록 이상적인 분급효과에 근접하였다. 광액농도가 증가할수록 탈수효과는 증가하며, 주입압력에 따른 변화는 크지 않았다. 광액농도 15 %와 주입압력 0.3 MPa의 조건에서 underflow의 함수율은 27.9%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