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a change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29초

Short-Term Changes in Gut Microflora and Intestinal Epithelium in X-Ray Exposed Mice

  • Tsujiguchi, Takakiyo;Yamaguchi, Masaru;Yamanouchi, Kanak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5권4호
    • /
    • pp.163-170
    • /
    • 2020
  • Background: Gut microflora contributes to the nutritional metabolism of the host and to strengthen its immune system. However, if the intestinal barrier function of the living body is destroyed by radiation exposure, the intestinal bacteria harm the health of the host and cause sepsi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trace short-term radiation-induced changes in the mouse gut microflora-dominant bacterial genus, and analyze the degree of intestinal epithelial damage. Materials and Methods: Mice were irradiated with 0, 2, 4, 8 Gy X-rays, and the gut microflora and intestinal epithelial changes were analyzed 72 hours later. Five representative genera of Actinobacteria, Firmicutes, and Bacteroidetes were analyzed in fecal samples, and the intestine was pathologically analyzed by Hematoxylin-Eosin and Alcian blue staining. In addition, DNA fragmentation was evaluated by the TdT-mediated dUTP nick-end labeling (TUNEL) assay. Results and Discussion: The small intestine showed shortened villi and reduced number of goblet cells upon 8 Gy irradiation. The large intestine epithelium showed no significant morphological changes, but the number of goblet cells were reduced in a radiation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the small intestinal epithelium of 8 Gy-irradiated mice showed significant DNA damaged, whereas the large intestine epithelium was damaged in a dose-dependent manner. Overall, the large intestine epithelium showed less recovery potential upon radiation exposure than the small intestinal epithelium. Analysis of the intestinal flora revealed fluctuations in lactic acid bacteria excretion after irradiation regardless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intestinal epithelium. Altogether, it became clear that radiation exposure could cause an immediate change of their excretio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changes in the intestinal epithelium and intestinal microbiota that may pave the way for the identification of novel biomarkers of radiation-induced gastrointestinal disorders and develop new therapeutic strategies to treat patients with acute radiation syndrome.

Pre-Coronavirus Disease 2019 Pediatric Acute Appendicitis: Risk Factors Model and Diagnosis Modality in a Developing Low-Income Country

  • Salim, Jonathan;Agustina, Flora;Maker, Julian Johozua Roberth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1호
    • /
    • pp.30-40
    • /
    • 2022
  • Purpose: Pediatric acute appendicitis has a stable incidence rate in Western countries with an annual change of -0.36%. However, a sharp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Asian region. The Indonesian Health Department reveals appendicitis as the fourth most infectious disease, with more than 64,000 patients annually. Hence, there is an urgent need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risk factors and diagnostic modalities for accurate diagnosis and early treatment. This study also clarifies the usage of pediatric appendicitis score (PAS) for children <5 years of age. Methods: The current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purposive sampling through demographic and PAS questionnaires with ultrasound sonography (USG) resul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hi-square and Mann-Whitney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is study included 21 qualified patients with an average age of 6.76±4.679 years, weighing 21.72±10.437 kg, and who had been hospitalized for 4.24±1.513 days in Siloam Teaching Hospital. Compared to the surgical gold standard, PAS and USG have moderat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Bodyweight and stay duration were significant for appendicitis (p<0.05); however, all were confounders in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Incidentally, a risk prediction model was generated with an area under the curve of 72.73%, sensitivity of 100.0%, specificity of 54.5%, and a cut-off value of 151. Conclusion: PAS outperforms USG in the sensitivity of diagnosing appendicitis, whereas USG outperforms PAS in terms of specific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use of PAS in children under 5 years old. Meanwhile, no risk factors were significant in multivariate pediatric acute appendicitis risk factors.

과민성 대장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수행된 한약 및 침구치료의 객관적 효과와 기전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Review on the Objective Effect and Mechanism Studies of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for Irritable Bowel Syndrome Patients)

  • 노현덕;김민정;조임학;김소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199-209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objective indicators(outcomes) which are used to evaluate clinical efficacy and figure out the mechanisms of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for Irritable bowel syndrome(IBS). We search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that mediated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for IBS and used objective indicators for outcome from November 1, 2020 to December 31, 2020. The RCT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n, English and Chines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e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about methods of result measurement and assessed by Cochrane's risk of bias(RoB). Total 18 R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re were lots of objective indicators for result measurement; the concentration of hormones in blood and neurotransmitters, the sensitivity of rectum,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entral nerve and autonomic nerve system, the change of intestinal flora, the concentration of serum cytokines. Various objective indicator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for IBS, bu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quality of the included studie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ill be needed.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의 식물자원 및 관리·활용방안 - 수목원 중점조성지역, 문수산, 옥석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Use of Plant Resources in Baekdudaegan Arboretum - Focused on Aboretum Core area, Munsu and Okseok Mountain -)

  • 정보광;강신구;배준규;김재현;성정원;김기송;이상용;윤홍균;임진현;이영수;장정원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11-133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vascular plants of Baekdudaegan Arboretum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flora in this study area were summarized as 655 taxa including 95 families, 332 genera, 567 species, 5 subspecies, 72 varieties and 11 formas. The rare plants were 17 taxa including Parasenecio firmus, Rhododendron micranthum, Iris odaesanensis, Lysimachia coreana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6 taxa including Weigela subsessilis, Heloniopsis koreana, Salix koriyanagi, Vicia chosenensis and so forth.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Northern plants 18 species, Southern plants 2 species, endemic plants 10 specie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4 taxa and ratios of naturalized index and urbanization index were estimated Core area 10.2% and 4.9%, Mt. Munsu 4.9% and 2.3% and Mt. Okseok 5.5% and 2.6%.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3taxa(2.5%) of grade V, 12taxa(11.0%) of grade IV, 22taxa(20.2%) of grade III, 35taxa(32.1%) of grade II. In life forms, hemicryptophytes were The most dominant. Next was a Therophytes. In addition, 492 taxa were categorized by usage into 8 groups, as follows: Edible 239taxa(36.5%), Fiber 10taxa(1.5%), Industrial 1taxon(0.2%), Miscellaneous 183taxa(27.9%), Ornamental 65taxa(9.9%), Pasturing 259taxa(39.5%), Siscellaneousg 14taxa(2.1%) and Timer 21taxa(3.2%).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of Ohdosan Natural Recreation Forest in Hapcheon-gun)

  • 김태운;서장미;박유진;문현식;강미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39-151
    • /
    • 2018
  • 본 연구는 경상남도 합천군 오도산자연휴양림의 식물상 분석을 통해 생태적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자연휴양림의 효율적인 보호관리를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6년 9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수행되었다. 전체 식물상은 86과 192속 255종 3아종 32변종 6품종 등 총 29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종/속 비율은 1.5로 나타났다.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진범, 은꿩의다리, 흰괭이눈, 참갈퀴덩굴 등 총 10분류군이 나타났고, 희귀식물은 세뿔투구꽃, 주목, 히어리, 사철란 등 총 6분류군이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0분류군으로 IV등급이 5분류군, III등급이 6분류군, II등급이 7분류군, I등급이 11분류군이 나타났다.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은 총 42분류군이 나타났고,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식재종인 구상나무, 세뿔투구꽃을 포함하여 총 4분류군이 나타났다. 귀화식물은 닭의덩굴, 유럽점나도나물, 가죽나무, 망초 등 총 11분류군이 나타났다.

장척호 습지에서 식물상과 식생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lora and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Reservior Jangchuck)

  • 김세훈;안진우;김인택;조운행;이혜진;황동진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57-664
    • /
    • 2011
  • 장척호의 수변식물군락의 식생조사는 Z-M 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통하여 2008년, 2011년의 3월~10월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08년에는 습생 및 수생식물은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를 기록하였고 2011년는 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13목 15과 21속 26종 1변종으로 총 27종류가 나타났으며, 2011년도 장척호의 습생식물(HG) 13종, 정수식물(EM)은 7종 부엽식물(FL)이 각각 4종, 부유식물(FF)이 2종, 침수식물(SM) 1종으로 나타났다. 2008년 14목 21과 31속 37종 1변종으로 총 38종류와 비교하면 습생식물(HG)이 15종에서 13종으로 약 13.33%가 감소되었고 정수식물(EM)은 변화가 없었으며 부엽식물(FL)은 9종에서 4종으로 55.56%, 침수식물(SM)은 4종에서 1종으로 75%, 부유식물(FF)은 3종에서 33.33%로 각각 감소되었다. 2011 식생조사에서 나타난 식물군락은 총 16개 군락이며 나도겨풀군락(Leersia japonica community), 갈대군락(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개구리밥군락(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물억새군락(Miscanthus sacchariflorus community), 자라풀군락(Hydrocharis dubia community), 줄군락(Zizania latifolia community), 털물참새피군락(Paspalum distichum var. indutum community), 나도겨풀-자라풀군락(Leersia japonica-Hydrocharis dubia community), 왕버들군락(Salix glandulosa community), 마름군락(Trapa japonica community), 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community), 연꽃군락(Nelumbo nucifera community), 이삭사초군락(Carex dimorpholepis community), 버드나무군락(Salix koreensis community), 마름-개구리밥군락(Trapa japonica-Spirodela polyrhiza community), 고마리군락(Persicaria thunbergii)로 나타났다. 2008년에 비해 2011년에는 마름군락이 높은 비율로 감소하였다. 7~8월 사이의 급격한 저수율변화에 의하여 식생의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동해연안 수괴의 특성과 장기변동 추이 (Characteristics and long term variation trend of water mass in the coastal part of East Sea, Korea)

  • 윤이용;정소정;윤상철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9-65
    • /
    • 2007
  •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동해안 어족 자원의 감소와 변화, 해저 식생의 아열대화와 같이 동해 연안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가 주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60년도부터 2005년 사이 지난 45년 동안 매년 월별로 정선해양관측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동해 연안에 존재하는 해수 수괴들의 특성과 지구온난화로 인한 수괴별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전 수괴의 수온이 지난 45년 동안 상승하였으며, 대마난류계수(약 $1.6^{\circ}C$ 상승)보다 북한한류계수(약 $2.33^{\circ}C$)의 상승폭이 약 1.5배 크며, 기후변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대마난류계 표층 수온의 상승폭이 $2.57^{\circ}C$로 기온 변화폭 보다 크다. 이는 육상상태계보다 연안 생태계의 아열대화가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반면, 표층수의 염분은 기온상승과 더불어 강수량의 증가 추세로 지난 45년 동안 약 $0.29\%_{\circ}$ 감소하였다. 용존산소농도는 전 수괴에서 감소하는 추세이며, 특히 수온 상승폭이 큰 북한한류계수의 용존산소농도 감소가 년 간 0.021 mg/l로 가장 크다. 동해고유수의 용존산소 감소는 수온 증가와 더불어 동해 내부해양순환 시스템의 변화를 암시하며, 차후, 수온 상승과 함께 연안 수산 생물의 서식환경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 PDF

밭경작지 주변부의 식물 종조성 및 특성 (Characteristics of Flora on Dry Field Margins in Korean Peninsula)

  • 김명현;최순군;김민경;최락중;홍성창;정구복;조광진;한동욱;오영주;이욱재;양동우;박상규;나영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7-90
    • /
    • 2015
  • 경작지 내부와 구별되는 경작지 주변부는 작물 이외의 식물과 동물에게 생육, 월동 및 은신 등을 위한 중요한 장소이다. 특히, 밭경작지 내에 출현하는 대부분의 식물종은 이러한 밭경작지 주변부에서 주로 생육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경지 생물다양성 보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밭경작지 주변부에 생육하는 식물종의 종조성 및 그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식물조사는 전국을 대상으로 2013년 5월과 9월에 8개 지역의 밭경작지 196 필지에 속하는 주변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그 결과, 총 73과 219속 311종 1아종 30변종 5품종을 포함하는 347분류군의 식물종이 확인되었고 이 중 48분류군이 목본이었으며 299분류군이 초본식물이었다. 과별로 국화과(17.6%)가 가장 높은 빈도로 출현하였고 다음으로 벼과(15.9%), 마디풀과(5.8%), 콩과(4.9%), 사초과(3.8%) 순이었다. 조사지점에 대한 상대빈도는 바랭이가 89.8%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깨풀(86.2%), 쑥(82.1%), 닭의장풀(80.6%), 쇠비름(80.6%), 개망초(78.6%), 망초(78.6%) 등의 순이었다. 조사된 8개 지역은 종조성에 의해서 3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전체 347분류군을 대상으로 한 교란지수는 55.0%로 산출되었고 지역별로는 강원지역이 72.5%로 가장 높았다. 생활형 조성은 $Th-R_5-D_4-e$로 나타났다. 이러한 생활형 특성은 건조한 토양수분조건, 빈번한 교란, 산림과 인접한 위치적 요소 등의 환경조건을 반영한 것으로 향후 경작지 주변부의 생태적 기능 및 종조성 변화에 대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부 DMZ 인근접경 지역의 파평산(경기도)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Papyeong (Gyeonggi-do Prov.) in Western Area of DMZ, Korea)

  • 남궁주;윤창영;하영호;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5-378
    • /
    • 2019
  • 본 연구는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파평산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고유종, 희귀 및 멸종 식물, 적색식물, 기후변화적응대상 식물, 귀화식물을 조사하였다. 2016년 4월부터2019년 6월까지 총13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1과 257속 361종 9아종 36변종 4품종으로 총410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과별로 보면 국화과(46분류군), 벼과(31분류군), 장미과(27분류군), 콩과(18분류군) 순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 중 Chung 등이 지정한 특산식물은 9분류군, 환경부가 지정한 고유종은 6분류군이다.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IUCN 평가기준을 근거로 국립수목원이 지정한 멸종위기식물 13분류군이, 환경부가 지정한 적색자료집을 근거로 2분류군이 확인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V등급 2분류군, III등급 13분류군, II등급 11분류군, I등급 20분류군으로 총 46분류군이다. Lee (1976)에 따른 자원식물은 식용 182분류군(44.39%), 목초용 166분류군(40.49%), 약용 138분류군(33.65%), 관상용 53분류군(12.93%), 목재용 22분류군(5.37%), 다용도 11분류군(2.68%), 섬유용 6분류군(1.46%), 산업용 1분류군(0.24%) 순이며, 산림청 지정 자원식물은 식용 293분류군(71.46%), 산업용 186분류군(45.37%), 다용도 173분류군(42.20%), 의약용 125분류군(30.48%), 유해성 식물 84분류군(20.49%), 향료 16분류군(3.9%)순이다. 기후변화 적응대상식물은 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7분류군으로 귀화율6.58%, 도시화지수 8.43%를 나타내었다. 본 파평산 일대의 조사로 본 결과는 파주 북부의 DMZ 접경 지역의 자연환경 및 자연자원의 조사 및 보존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증거표본을 기준으로 하여 관속식물 목록을 작성하였기 때문에 조사과정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파평산의 관속식물의 다양성은 더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최근 높은 빈도로 발생하는 산불의 예방, 인위적 간섭에 의한 외래식물의 침입 및 산림훼손의 방지 등을 더 정확히 파악하고, 그를 활용할 더욱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제초제(除草劑)가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에 미치는 영향 - Butachlor 제(第)의 영향 - (The influence of herbicides on soil microflora -Influence of butachlor-)

  • 김정제;정현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5-31
    • /
    • 1976
  • 담수상태하(湛水狀態下)에서 여비(旅肥)한 토양(土壤)과 무비토양(無肥土壤)에 Butachlor 제(劑)를 250, 500, 1,000ppm으로 첨가(添加)했을 때에 미생물(微生物)의 변동(變動)과 무기양분(無機養分) 변화(變化)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고저 Incubation 하면서 7일(日) 간격으로 72일간(日間)에 걸쳐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 Flora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가. 세균(細菌) : 무비토양(無肥土壤)에 Butachor 제(劑) 500 ppm과 1,000ppm 첨가구(添加區)에서는 배양(培養) 20일(日)째까지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으며 기타(其他)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영향(影響)이 없었다. 시비(施肥)했을 경우(境遇)에는 Butachlor 제(劑) 250, 500ppm 첨가구(添加區)는 7일(日)째에 1,000ppm 구(區)는 배양(培養) 21일(日)째까지 감소(減少)의 경향(傾向)이었다. 나. 방총균(放總菌) : 무비시(無肥時)에는 Butachlor 제(劑) 첨가(添加)에 의(依)한 조해(阻害)는 없었으며 시비시(施肥時)에는 감소(減少)의 경향이었다. 대체(大體)로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에 따라 약간(若干)씩 증가(增加)를 보였다. 다. 사상균(絲狀菌) :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이나 무시비(無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해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依)하여 다소(多少)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고 시일(時日)의 경과(經過)와는 관계(關係)없이 완만하였다. 2. 무기양분(無機養分)의 경시적(經時的) 변화(變化) 가. $NH_4-N$ : 무시비토양(無施肥土壤)이나 시비(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Butachlor 제(劑) 첨가(添加)로 $NH_4-N$이 감소(減少)되었고 고농도(高濃度)일수록 감소(減少)의 정도(程度)가 더욱 심(甚)하였다. 그리고 무시비구(無施肥區)에서는 배양(培養) 7~14일째에 제일(第一) 많았으나 점차 감소(減少)되었다.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에서는 배양일수(培養日數)의 경과(經過)에 따라 점차 증가(增加)의 경향(傾向)이었다. 나. $NO_3-N$ : 무비토양(無肥土壤)이나 시비(施肥)한 토양(土壤) 공(共)히 약제(藥劑) 첨가(添加)에 의(依)하여 $NO_3-N$가 감소(減少)하였고 배양(培養) 44일경(日傾)에는 양토양(兩土壤) 공(共)히 거의 측정(測定)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감소(減少)되었다. 다. $NO_2-N$ : 각처리구(各處理區) 공(共)히 배양(培養) 35일(日)경에 가장 많았고 44일(日) 경과후(經過後)는 급격히 저하(低下)된 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라. Eh : 시비(施肥)한 토양(土壤)에서는 심(甚)한 환원상태(還元狀態)가 지속(持續)되었으나 무비토양(無肥土壤)에서는 42일(日) 경(傾)까지는 환원상태(還元狀態)이었으나 그 이후는 산화상태(酸化狀態)로 지속(持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