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r finishing materials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5초

밀폐형 돈사 작업장의 전체 환기율이 가스상 오염물질 노출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neral Ventilation Rate on Concentrations of Gaseous Pollutants Emitted from Enclosed Pig Building)

  • 김기연;서성철;최정학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51
    • /
    • 2014
  • Objectives: The principal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concentrations of gaseous pollutants emitted in enclosed pig buildings between different rates of general ventilation and determine the variations in the patterns of gaseous pollutants as affected by ventilation rate. Materials and Method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growing/finishing room($20.0m{\times}12.0m{\times}3.0m$) of a pig confinement building locat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conditions of the general ventilation rate for three treatments were 30%($4.12m^3s^{-1}$), 50%($6.87m^3s^{-1}$) and 70%($9.61m^3s^{-1}$). The data presented in the study were collected overa total of 45 days, 15 days for each of the three treatments from March to May 2011. A total of six air samplings were taken at 1.5m above the floor of the pig building. The environmental agents measured in the pig building were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odor concentration index for gaseous pollutants with temperature and hydrogen sulfide for thermal factor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monia and odor concentration index in the pig building among the three general ventilation rate conditions(p<0.05), whereas hydrogen sulfid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conditions of general ventilation rate(p>0.05). As the general ventilation rate applied to the pig building increases, it appears that all the indoor environmental agents measured in this study simultaneously decrease. Conclusions: The gaseous pollutant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general ventilation rate in pig building were ammonia and odor concentration index(p<0.05). However, it was found that hydrogen sulfide and thermal factors, temperature and relative humidity were not influenced significantly by variation in the general ventilation rate.

라이프스타일 기반 다학제적 청년층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선호 및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Preference and Needs of the Multi-academic Young Single Family Based on Life Style)

  • 임준형;최인영;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7권1호
    • /
    • pp.249-260
    • /
    • 2019
  • 최근 우리나라 1인가구의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2035년에 들어서는 34.6%로 증가할 것이라 예측되며 이들 중, 우리나라 높은 주택가격으로 인하여 청년층 1인가구는 더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에서는 청년 주거지원을 확대실시하여, 공공지원 임대주택과 민간 청년임대주택, 청년 기숙사 공급 등 다양한 정부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 연령대와 라이프스타일이 다른 청년층 1인가구의 정확한 주거요구를 파악하여 향후 보급될 청년 주택 계획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을 통해 청년층 1인가구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청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주거선호 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청년층 1인가구의 주거환경 선호 및 요구에 대한 조사도구를 구성하였다. 셋째, 청년층 1인가구의 라이프스타일을 바탕으로 한 공간사용특성과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 실내디자인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18년 12월에서 2019년 1월 초까지 학생과 직장인을 포함한 20세에서 39세 사이의 청년층 1인 가구 150명을 대상으로 SNS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간사용특성을 살펴본 결과, 작은 면적인 청년 1인 주거에서 침실과 거실이 기본적 기능 외 다양한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계획시 이에 대한 추가적 고려가 필요함을 파악하였다. (2) 평면구성 선호 및 요구를 살펴본 결과, 별도의 침실과 거실 공간 확보를 요구하며,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거실공간에 대한 확장요구와 침실공간의 드레스룸 등의 수납 추가 요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실내디자인 선호를 살펴본 결과, 모던스타일과 대표적 컬러인 무채색계열 색채를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주거공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감재료를 선호하며, 조명은 간접조명 및 벽면을 이용한 은은한 조명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년층 내에서도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학생과 직장인의 차별적 실내디자인 선호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향후 실제 공공임대주택의 사례분석과 사용자 범위확대를 통하여 실질적인 주거환경니즈와 계획방안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