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Flood map

Search Result 2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a Coast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이용한 연안방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Kim, Yeon-Joong;Kim, Tae-Woo;Yoon, Jong-Sung;Kim, Myong-Kyu
    •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3 no.6
    • /
    • pp.590-596
    • /
    • 2019
  • Numerous deaths and substantial property damage have occurred recently due to frequent disasters of the highest intensity according to the abnormal climate, which is caused by various problems, such as global warming, all over the world. Such large-scale disasters have become an international issue and have made people aware of the disasters so they can implement disaster-prevention measures. Extensive information on disaster prevention actively has been announced publicly to support the natural disaster reduction measures throughout the world. In Japan, diverse developmental studies on disaster prevention systems, which support hazard map development and flood control activity, have been conducted vigorously to estimate external forces according to design frequencies as well as expected maximum frequencies from a variety of areas, such as rivers, coasts, and ports based on broad disaster prevention data obtained from several huge disasters. However, the current reduction measures alone are not sufficiently effective due to the change of the paradigms of the current disasters. Therefore, in order to obtain the synergy effect of reduction measures, a study of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is required to improve the various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ies and the current disaster prevention system. In order to develop a similar typhoon search system and establish a disaster prevention infrastructure, in this study, techniques will be developed that can be used to forecast typhoons before they strike b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and offer primary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typhoon. The main function of this model is to predict the most similar typhoon among the existing typhoons by utilizing the major typhoon information, such as course, central pressure, and speed, before the typhoon directly impacts South Korea. This model is equipped with a combination of AI and DNN forecasts of typhoons that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in order to efficiently forecast a current typhoon based on similar typhoons in the past. Thus, the result of a similar typhoon search showed that the quality of prediction was higher with the grid size of one degree rather than two degrees in latitude and longitude.

Spatial Assessment of Effects of Near-Stream Groundwater Pumping on Streamflow Depletion (하천변 지하수 양수로 인한 하천수 감소 영향의 공간적 평가 - 죽산천 유역을 중심으로 -)

  • Lee, Jeongwoo;Kim, Nam Won;Chung, Il Moon;Lee, Min 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7
    • /
    • pp.545-55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patially assess the streamflow depletion due to groundwater pumping near the main stream of Juksanchoen watershed. The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integrated model, SWAT-MODFLOW, in this study, was used to simulate streamflow responses to each groundwater pumping from wells located within 500m from the stream. The simulated results showed that the streamflow depletion rate divided by the pumping rate for each well location ranges from 20% to 96%. In particular, the streamflow depletion exceeds 60% of pumping rate if the distance between stream and well is lower than 100 m, hydraulic diffusivity is higher than $500m^2/d$, and streambed hydraulic conductance is above 25m/d. The simulated results were also presented in the form of spatial distribution maps that indicate the fraction of the well pumping rate in order to show the effect of a single well more comprehensively and easily. From the developed areal distribution of stream depletion, higher and more rapid responses to pumping occur near middle-downstream reach, and the spatially averaged percent depletion is about 66.7% for five years of pumping. The streamflow depletion map can provide objective information for the near-stream groundwater permission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Dynamics and Habitat Use of Shorebirds in Rice Fields during Spring Migration (봄철 논습지에 도래하는 도요·물떼새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변동)

  • Choi, Seung-Hye;Nam, Hyung-Kyu;Yoo, Jeong-Ch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33 no.4
    • /
    • pp.334-343
    • /
    • 2014
  • BACKGROUND: Shorebirds use a variety of wetlands as their stopover sites to replenish energy and nutrient reserves along the migration route. It is increasingly important to understand how birds use the remaining available habitats during migration period, because shorebird stopover sites are often altered and destroyed. Rice fields serve as a major inland stopover site for migrating shorebirds. However, the information on habitat use patterns of shorebirds in rice fields is very limited in Korea. Therefore, we studied the patterns of shorebird abundance and their habitat use in rice fields during spring migration period in western-central Korea. METHODS AND RESULTS: Surveys were conducted at interval of 2-3 days during the spring migration period of 2014 at rice fields of mid-western Korea. We recorded the location of the observed birds on the rice field map according to the local habitat type. The habitat types were divided by physical structure and cultivation methods. Fifteen shorebird species and 7,852 individuals were recorded during the survey period. The number of shorebird species and their abundance began to increase from the beginning of flooding in late-April, and reached a maximum in early-May. After rice transplantation, the number of shorebird species and their abundance dramatically declined. Shorebirds selectively used paddy and levee rather than road and ditch and most species used shallow depth field type. Plowed field types were less attractive to most species. CONCLUSION: Flooding rice fields were functioned as stopover sites for a variety of shorebird species during spring migration period. Furthermore, these results provide that the appropriate agricultural practices can be improving the habitat quality for shorebirds.

Flood Hazard Map and EAP Establishment Against Dam/Levee Failure (댐.제방 붕괴에 대비한 홍수위험지도 및 EAP 작성)

  • Han, Kun-Yeun;Kim, Keuk-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91-295
    • /
    • 2006
  • 비상대처계획(EAP, Emergency Action Plan) 수립 및 홍수위험지도 작성의 목적은 댐.제방 붕괴 등 비상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하류부의 생명과 재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댐 운영 및 관리책임자가 극한홍수 및 지진발생 조건하에서 댐의 물리적, 지형적, 구조적 특성에 따른 발생 가능한 비상상황을 예상하고 이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가능한 최선의 사전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또한, 댐의 비상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대처계획 수립 의무화 및 이에 대한 실제적인 모의훈련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국내에서 EAP를 수립하여야 할 대상 댐 저수지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는 다목적댐, 생공용수댐과 한국농촌공사에서 관리하는 농업용저수지, 한국수력원자력주식회사에서 관리하는 수력발전댐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는 댐 등이 해당된다. 제방의 경우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전 지역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EAP의 주요 내용에는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붕괴 사고시 인명의 손실이나 재산상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댐 저수지들에 대해서는 EAP를 수립하거나 갱신하기 위한 지침들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댐으로부터의 하류 연안지역의 개발이나 소유권은 다양하며, 이로 인해 댐의 운영이나 붕괴로 인한 잠재적 인명손실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EAP는 댐, 저수지 하류부 현장 조건에 맞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EAP 수립의 주체는 댐 및 저수지 관리자이며 EAP에는 비상상황 확인, 평가, 등급분류, 비상연락체계 및 경보전달체계 수립, 비상시 응급행동요령, 홍수범람예측지도 작성, 비상주민대피계획 및 훈련방안, 부록, 주기적 또는 필요시마다 보완 계획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EAP의 주요 구성요소인 홍수위험지도에는 홍수위험정보 및 대피정보를 제시함으로써 실제 주민 대피계획시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있는 기술가치평가 모형의 구축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R&D 투자 정책 수립과 정부정책수립에 기여하고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 분석 과정)기법을 이용,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의 특성에 따른 4개의 평가기준과 26개의 평가속성으로 이루어진 2단계 기술가치평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2개의 개별기술에 대한 시범적용을 실행하였다.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면으로의 월류량을 산정하고 유입된 지표유량에 대해서 배수시스템에서의 흐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침수해석을 위해서는 2차원 침수해석을 위한 DEM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였고, 건물의 영향을 고려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 지표류 유출 해석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하며, 도시지역의 복잡한 배수시스템 해석모형과 지표범람 모형을 통합한 모형 개발로 인해 더욱 정교한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범람 해석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모형의 개발로 침수상황의 시간별 진행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도시홍수에 대한 침수위험 지점 파악 및 주민대피지도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4일간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행태적 측면과 투자성과측면의 실증결과를 통하여 한국주식시장에 있어서 시장수익률을 평균적으로 초과할 수 있는 거래전략은 존재하므로 이러한 전략을 개발 및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한국주식시장에 적합한 거래전략은 반전거래전략이고, 이 전략의 유용성은 투자자가 설정한 투자기간보다 더욱 긴 분석기간의 주

  • PDF

Assessment of Radar AWS Rainrate for Streamflow Simulation on Ungauged Basin (미계측 유역의 유출모의를 위한 RAR 자료의 적용성 평가 연구)

  • Lee, Byong-Ju;Ko, Hye-Young;Chang, Ki-Ho;Choi, Young-Je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9
    • /
    • pp.721-730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availability of streamflow simulation using Radar-AWS Rain rate (RAR) data which is produced by KMA on real-time. Chuncheon dam upstream basin is selected as study area and total area is 4859.73 $km^2$. Mean Areal Precipitation (MAP) using AWS and RAR are calculated on 5 subbasin. The correlationship of hourly MAPs between AWS and RAR is weak on ungauged subbasins but that is relatively high on gauged ones. We evaluated the simulated discharge using the MAPs derived from two data types during flood season from 2006 to 2009. The simulated discharges using AWS on Chuncheon dam (gauged basin) are well fitted with measured ones. In some cases, however, discharges using AWS on Hwacheon dam and Pyeonghwa dam with some ungauged subbasins are overestimated on the other hand, ones using RAR in the same case are well fitted with measured ones. The hourly RAR data is useful for the real-time river forecast on the ungauged basin in view of the results.

High-Precision and 3D GIS Matching and Projection Based User-Friendly Radar Display Technique (3차원 GIS 정합 및 투영에 기반한 사용자 친화적 레이더 자료 표출 기법)

  • Jang, Bong-Joo;Lee, Keon-Haeng;Lee, Dong-Ryul;Lim, Sangh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2
    • /
    • pp.1145-1154
    • /
    • 2014
  • In recent years, as frequency and intensity of severe weather disasters such as flash flood have been increasing, providing accurate and prompt information to the public is very important and needs of user-friendly monitoring/warning system are growing. This paper introduces a method that re-produces radar observations as multimedia contents and applies reproduced data to mesh-up services. In addition, a accurate GIS matching technique to help to track the exact location going on serious atmospheric phenomena is presented. The proposed method create multimedia contents having structures such as two dimensional images, vector graphics or three dimensional volume data by re-producing various radar variables obtained from a weather radar. After then, the multimedia formatted weather radar data are matched with various detailed raster or vector GIS map platform. Results of simulation test with various scenarios indicate that the display system based on the proposed method can support for users to figure out easily and intuitively routes and degrees of risk of severe weather. We expect that this technique can also help for emergency manager to interpret radar observations properly and to forecast meteorological disasters more effectively.

Large-Scale Slope Stability Analysis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 (1): Methodologie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광역 사면안정 해석(1): 방법론)

  • Choi, Byoung-Seub;Oh, Sung-Ryul;Lee, Kun-Hyuk;Lee, Gi-Ha;Kwon, Hyun-H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6 no.3
    • /
    • pp.193-21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lope stability variation of Jeollabuk-do drainage areas by RCM model outputs based on A1B climate change scenario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based on the specific catchment area concept. For this objective, we downscaled RCM data in time and space: from watershed scale to rain gauge scale in space and from monthly data to daily data in time and also developed the GIS-base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based on the concept of specific catchment area to calculate spatially-distributed wetness index. For model parameterization, topographic, geologic, forestry digital map were used and model parameters were set up in format of grid cells($90m{\times}90m$). Finally, we applied the future daily rainfall data to the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and then assess slope stability variation under the climate change scenario.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papers: the first paper focuses on the methodologies of climate change scenario preparation and infinite slope stability model development.

Comparison of Lidar data and NGIS digital topographic map data for an efficient flood configuration (효율적인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구축을 위한 Lidar자료와 NGIS 수치지형도 자료의 비교)

  • Kwon, Oh-Jun;Kim, Kye-Hyun;Song, Yong-Cheol;Min, Sook-Joo;Kim, Kyung-So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0a
    • /
    • pp.141-146
    • /
    • 2004
  •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홍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알맞은 홍수지도를 제작 중에 있으며, 주로 LiDAR를 이용하여 홍수지도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미 전국적으로 구축된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 지형자료 구축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제작시 가장 핵심이 되는 정확한 지형자료구축을 위해서 Breakline처리기법과 하천종횡단자료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구리시 일부지역을 대상으로 DEM을 시범제작 하였다. 수치지형도와 LiDAR를 이용하여 구축한 DEM을 검수점을 통한 RMSE오차를 이용하여 수직위치정확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선행연구(홍수지도제작, 2002)에서 검수점으로 사용한 9점과 제방부분의 실측한 9점을 본 연구의 검수점으로 사용하였다. 비교 결과 RMSE가 수치지형도 DEM의 경우 ${\pm}2.658m$이고, LiDAR DEM의 경우 ${\pm}3.430m$로 나타났다. 두 자료 모두 알려진 오차범위보다 훨씬 높은 오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홍수지도 지형자료 구축을 위해서는 수치지형도의 신속하고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할 것이며, 현재 도시지역에만 구축되어 있는 1:1,000 수치지형도를 주변 하천지역까지 확대해서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도입초기단계의 LiDAR 측량기술의 보급과 관련모델의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정확도 높은 DEM이 요구된다면 고밀도의 방대한 양의 LiDAR 자료로 DEM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및 이용대책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1,000-2,000{\mu}g\;g^{-1}$), 나머지 177종 식물은 살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높은 살초활성을 나타낸 식물로부터 분리되는 천연활성물질들은 향후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모화합물 제공, 상호대립억제 작용성을 갖는 작물 품종 개발 혹은 개량에의 활용, 그리고 친환경 유기농업용 잡초방제에의 활용이 기대된다.내(皮膚上皮組織內)의 Langerhans cell내(內)의 Birbeck granule에 비(比)해 수적(數的)으로 현저히 감소(減少)되어 있었다. 그러나 Thy-1 양성(陽性) dendritic cell에서 볼 수 있는 dense-core 과립(顆粒)은 별변화(別變化)없이 쉽게 관찰(觀察)될 수 있었다. 조직배양(組織培養)을 한 견(犬)의 keratinocyte에 대(對)해 사람 pemphigus vulgaris의 항체(抗體)로 반응(反應)시킨 후 protein-A gold(15 nm)로 표식(標識)시킨 바 제일 바깥 상층(上層)의 keratinocyte에 있어서 세포막표면(細胞膜表面)을 따라 표식(標識)되어 세포막항원(細胞膜抗元)을 나타내었으며, 이와 같은 소견(所見)으로 미루어 정상피부(正常皮膚) 중층편평상피세포(重層扁平上皮細胞)에서도 동일(同一)한 소견(所見)을 관찰(觀察)할 수 있다고 본다.al remnants, Resorption of fetus로 관찰된 것이다. Fetal death는 수정후 $14{\sim}18$일까지의 사망으로써 Maceration of fetus로 관찰되는 것이다. 통계학적 분석은 각 Group의 착상 을과 자궁 내 사망 율을 산출할 때에는 각 임신마우스에 따라 발생빈도가 크

  • PDF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Yeonho lake, Uljin-gun, Gyeongsangbuk-do (경북 울진 연호(蓮湖)의 지형적 특성)

  • Woo, Se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211-224
    • /
    • 2016
  • Natural lakes are estimated in variety with that's function or value depending on age environment or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any kind of natural lakes, but the kind of natural lake is limited in rivers in korea flowing into East Sea. However, Yeonho lake in Uljin has different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ith oxbow lake or lagoon which is common in korea's river flowing into East Se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due to the process of Yeonho's formation. Further more research for protecting wetland is needed to adequately preserve, depending on the geomorpologic process. To analyz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it was essential to compare and analyze topographical map of 1918 1956 2012 and I pictured estinated line of bedrock and longitudinal section of Nam-dae cheon(Riv) Yeonho cheon(Riv). In addition, I denoted flooded areas through design flood level of Nam-dae cheon(Riv) Yeonho cheon(Riv) and analyze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deposited sediment due to consider deposit environ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In conclusion, Yeonho lake is floodbasin which was not researched at river flowing into East Sea. Through this study, my opinion is that floodbasin can be formed in the river that is steep and short. I argue that preservation methods will be seeked by geomorphologic process of floodbasin and development of downtown.

  • PDF

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국내 적합한 연안침수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 원대희;김계현;박태옥;최현우;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35-440
    • /
    • 2004
  • 연안침수지도는 태풍이나 해일에 의한 연안침수 발생 시 방조제의 월류 및 붕괴로 인한 예상 침수구역을 강우빈도(200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국외 선진국에서 방재형 국토관리 정책결정과 침수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방재형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문헌조사 및 기구축 데이터 확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이 강조되었다.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유형은 침수위험구역, 침수경계구역, 침수량 화살표이며,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레이어는 해안선, 도로, 건물, 등고선, 등심선, 연안 표고점 측량데이터이다. 연안침수지도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연안침수지도는 지자체 주민들을 위해 보기 쉽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삽화를 추가하여 주민들에게 침수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