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damages

검색결과 220건 처리시간 0.027초

공공시설물 잠재홍수피해지수 체계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 김길호;백승협;정영훈;김경탁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4호
    • /
    • pp.97-106
    • /
    • 2016
  • Since public facilities have high property values and are directly exposed to the flood hazard, they account for the highest share of disaster damages compared to other assets such as housing, industry, vehicle and agriculture in case of flood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suggest the potential flood damage index for public facilities to evaluate potential flood damage of specific local government directly or indirectly as a tool for decision-making related to flood preventi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budget allocation. The flood damage assessment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was evaluated in 231 local governments nationwid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higher values were obtained i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Gyeonggi-do (province), coastal areas in Gyeongsangnam-do (province), and Jeju island.

지역회귀분석을 이용한 홍수피해위험도 산정 (Flood Risk Estimation Using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 장옥재;김영오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71-80
    • /
    • 2009
  • 오늘날 재해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살고자 하는 대중들의 욕구는 증가하고 있지만 최근의 기후변화와 이상홍수의 사례에서 볼 때 현재 우리가 처해 있는 자연재해로부터의 위협은 과거와는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변화하는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노출된 재해의 특성을 평가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회귀분석을 적용하여 가능 피해금액을 추산하고, 이를 통해 각 지역별 홍수위험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홍수로 인한 피해는 인명이나 재산피해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홍수 위험도평가 결과도 홍수에 취약한 인명이나 재산으로 표현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지역회귀분석은 강우-유출모형이나 확률분포모형의 매개변수들을 유역특성인자들로 표현하기 위해 수문학(水文學)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져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방법을 홍수 피해금액 추정에 응용하였다. 지역회귀방법의 절차로는 먼저 계측지역(과거 홍수 피해금액 자료가 충분한 지역)에서는 홍수 피해금액과 시강우량 자료를 바탕으로 비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이 회귀식의 계수를 다시 해당 지역의 인문.사회 경제학적 인자들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역적 인자들이 홍수 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미계측지역(과거 자료가 충분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지역적 인자들을 통해 특정 빈도에 발생 가능한 홍수 피해금액을 추정할 수 있었다. 또한 추정된 홍수 피해금액과 지역 총 자산의 비를 Flood Vulnerability Index (FVI)라 하였으며 이를 통해 특정빈도 강우로 인해 도시 내에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재산의 범위를 추정하고, 홍수위험지도로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홍수위험도 평가를 위해 사용된 홍수피해 잠재능(Potential Flood Damage; PFD)과 비교해 보면 PFD에서는 각 인자들의 가중치 산정에서 전문가의 오판이 부분적으로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으나 지역회귀에 근거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FVI는 과거 재해피해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 PFD는 실제 지역별 취약도를 잘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발홍수 지수를 이용한 북한 홍수 위험도 평가 - 임진강 유역을 중심으로 - (An Assessment of Flooding Risk Using Flash Flood Index in North Korea - Focus on Imjin Basin -)

  • 곽창재;최우정;조재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2호
    • /
    • pp.1037-1049
    • /
    • 2015
  • 북한의 대규모 자연재난은 홍수와 태풍 그리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피해가 대부분이며 이러한 피해는 1990년대 중반부터 해마다 북한의 경제난을 악화시키고 있다. 북한 당국도 수해피해의 심각성을 인식하여, 1990년대 말부터 하천정리, 농경지 복구, 토지정리사업, 조림사업 등을 실시하였으나, 계속되는 수해피해를 막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북한의 홍수피해에 대한 위험도를 산정하기 위해 일반적인 위험도 평가과정은 동일하게 유지하되 대외적으로 수문자료 취득이 힘들고 지형자료가 공개되지 않은 미계측지역이라는 유역특성을 반영하여 강우-유출에 대한 모의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위험도 평가는 국제기구(IPCC)의 기준에 따라 홍수에 대한 위험성과 노출성, 취약성 인자들을 선정하여 홍수 위험도를 판단하였다.

댐 홍수조절기능의 회복탄력성 산정 (Resilience Assessment of Dams' Flood-Control Service)

  • 김병일;신사철;김두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919-1924
    • /
    • 201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강우사상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과거 기준에 의해 설계 시공되어 현재 운영 중인 댐의 수문학적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댐을 증고하거나 여수로를 확장/신설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데, 이러한 대안을 선정할 때 월류 가능성에 매몰된 나머지 하류 홍수피해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도입해 종합적인 홍수조절기능의 관점에서 댐의 안전성 강화 대안을 평가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제시된 프레임워크를 활용해 기 수행된 사례에 적용한 결과 각 대안에 따른 홍수유출특성이 선정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평가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수지 모의 모형을 통한 군남홍수조절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use Gunnam flood control reservoir through a reservoir simulation model)

  • 양원석;안재황;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0권6호
    • /
    • pp.407-418
    • /
    • 2017
  • 임진강 유역은 북한과 인접해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수문관측에 어려움이 있고 급작스러운 홍수발생 시 대응측면에서 취약하다. 이에 따른 대책으로 2005년 군남홍수조절지 건설이 계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대책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무단방류에 의한 피해가 계속 발생되고 있고, 2012년부터 지속된 한반도 가뭄의 영향과 북측댐의 일방적인 저수로 임진강 유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임진강 하류에서 가뭄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강유역의 가뭄피해를 대비하고 홍수발생 시 효율적인 대응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군남홍수조절지의 새로운 운영방법을 도출하였다. 먼저 가뭄피해 대비를 위해 저수용량을 확보하는 방안으로서 홍수기 군남홍수조절지 운영수위를 EL.23.0 m에서 EL.31.0 m로 상향하여 유지하는 운영방법은 기존운영방법과 비교 분석 시 약 14백만 $m^3$의 용수를 추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홍수발생 시 초기 $250m^3/s$로 조절방류를 하여 유입량을 일부 저류시키는 운영방법은 기존운영방법과 비교 분석 시 저수지 저류효과가 평균 2.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운영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약 19시간의 대응시간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규모 댐의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orage Management System for Small Dams)

  • 김필식;김선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15-25
    • /
    • 2005
  • Ninety tow percent of over 1,800 gate controlled dams in Korea are classified as small dams. The primary purpose of these small dams is to supply irrigation water. Therefore, while large dams can store as much as 80 percent of precipitation and thus are efficient to control flood, small dams are often lack of flood control function resulting in increased susceptibility drought and flood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storage management model for irrigation dams occupying the largest portion of small dams. The proposed Storage Management Model (STMM) can be applied to the Seongju dam for efficient management. Besides, the operation standard is capable of analyzing additional available water, considering water demand and supply conditions of watershed realistically. And the model can improve the flood control capacity and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by the flexible operation of storage space. Consequently, if the small dams are managed by the proposed Storage management model, it is possible to maximize water resources securance and minimize drought and flood damages.

GIS를 이용한 홍수피해지역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stimation of Flooded Area using GIS)

  • 안상진;전계원;김진극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305-308
    • /
    • 2002
  • This study is that analyzes the flood damages caused by rainfall during typhoon and how inundated area should be affected. Using HEC-HMS for analyzing rainfall-runoff and GIS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inundated area and volume. Each model was applied to Seopyung area for runoff effect analysis. As the result, Damaged area was magnifi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ainfall and GIS was good for calculating the exact flood damage area at varied time.

  • PDF

HEC-GeoRAS 모형에 의한 침수면적산정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Calculating Flood Inundation Area by HEC-GeoRAS)

  • 김창수;이영대;이환우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43-48
    • /
    • 2009
  •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나라는 생명과 재산에 엄청난 피해를 준 홍수를 겪었다. 태풍에 의해 발생한 홍수는 가장 일반적인 자연 재해의 한 형태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지구의 기온상승으로 인해 태풍의 발생 가능성도 증가하게 되었다. 홍수시 강우 도달시간이 감소됨과 함께 강의 수위상승이 일어나며 최대 유출량도 증가되어 왔다, 게다가, 국토 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국토정비사업과 함께 침수피해는 계속 증가되어 오고 있다. 1960년대에는 농경지, 1970년대에는 산업시설 및 공공시설에 각각 많은 피해가 있었으며, 1980년대에는 많은 용수해 피해가 있었다. 그리고 1990년대에는 그 피해의 규모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자연재해에 대한 예방조치를 통해 태풍과 홍수로부터의 희생자와 재산 손실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지역의 깊이와 양을 계산하여 홍수피해를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를 모의 할 수 있는 HEC-GeoRAS와 ArcView를 이용하여 침수면적 및 침수심을 산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가 재해 관리 분야의 전문가들과 기관들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부산 연안지형 VRS-GPS 계측을 통한 태풍해일 침수예측 (VRS-GPS Measure of Typhoon Surge Flood Determinedin Busan Coastal Topography)

  • 김가야;정광효;김정호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7-53
    • /
    • 2012
  • A coastal flood area was predicted using the empirical superposition of the typhoon surge level and typhoon wave height along the Busan coastal area. The historical typhoon damages were reviewed, and the coastal topography was measured using VRS-GPS. A FEMA formula was applied to estimate the coastal flood area in a typhoon case when the measured and predicted data of typhoon waves are not available. The results in the area of Haeundae beach and Gwangalli beach were verified using the flood area data from the case of Typhoon Maemi (2003). If a Hurricane Katrina class typhoon were to pass through the Maemi trajectory, the areathat would be flooded along theBusan coastal area was predict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Maemi case. Because of the lack of ocean environment data such as data for the sea level, waves, bathymetry, wind, pressure, etc., it is hard to improve the prediction accuracy for the coastal flood area in the typhoon case, which could be reflected in the policy to mitigate a typhoon's impact. This paper discusses the kinds of ocean environment information that is needed to predict a typhoon's impact with better accuracy.

The Potential of Satellite SAR Imagery for Mapping of Flood Inundation

  • Lee, Kyu-Sung;Hong, Chang-Hee;Kim, Yoon-H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28-133
    • /
    • 1998
  • To assess the flood damages an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for preventing future catastrophe, it is necessary to appraise the inundated area with more accurate and rapid manner. This study attempts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data for mapping of flood inundated area in southern part of Korea. JERS L-band SAR data obtained during the summer of 1997 were used to delineate the inundated areas. In addition, Landsat TM data were also used for analyzing the land cover condition before the flooding. Once the two data sets were co-registered, each data was separately classified. The water surface areas extracted from the SAR data and the land cover map generated using the TM data were overlaid to determine the flood inundated areas. Although manual interpretation of water surfaces from the SAR image seems rather simple, the computer classification of water body requires clear understanding of radar backscattering behavior on the earth's surfaces. It was found that some surface features, such as rice fields, runaway, and tidal flat, have very similar radar backscatter to water surface. Even though satellite SAR data have a great advantage over optical remote sensor data for obtaining imagery on time and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analyze flood, it should be cautious to separate the exact areas of flood inundation from the similar featur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