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od control capacit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기존댐 재개발시의 지반공학적 고려 (Geotechnical considerations for the existing dam rehabilitation)

  • 전제성;신동훈;김기영;조성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89-596
    • /
    • 2005
  • The public has negative understanding about dam construction nowadays although dam plays an important role in water supply to satisfy essential demand for living. Dam rehabilitation, in this actua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alternative to expedite continuous water policies related to irrigation and flood control. This study focused on dam rehabilitation and included its necessity and discussions on case histories associated with increasing reservoir capacity, spillway modification, overtopping protection, seepage control and improving stability of old dam. This paper, in geotechnical aspects, presents discussions of various rehabilitation methods and factors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dam rehabilitation.

  • PDF

강변저류지 횡월류부의 흐름 형태 변화를 고려한 HEC-RAS의 하도 내 부정류 모의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HEC-RAS for Unsteady Flow Simulation considering the Flow Pattern Variations over the Side-weir of Side-Weir Detention Basin)

  • 김상혁;윤병만;김동수;김서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호
    • /
    • pp.29-39
    • /
    • 2016
  • 강변저류지를 홍수방어대책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정확한 홍수조절효과 산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 실무에서는 1차원 부정류 수치모형인 HEC-RAS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강변저류지의 저류용량이 부족한 경우에 발생하는 잠긴 횡월류 흐름에 대해서는 HEC-RAS 부정류 수치모의의 정확도 분석이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선수로에 강변저류지를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횡월류부의 다양한 흐름 형태를 재현할 수 있는 부정류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부정류 수리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HEC-RAS 모형의 부정류 수치모의 결과의 정확도를 분석하여 하도 내 수위 오차 및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 산정 오차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횡월류부에서 잠긴 횡월류 흐름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한 HEC-RAS의 수위 계산 결과는 최대 -5% 오차를 보였으며, 홍수조절효과 오차는 최대 2.4%로 나타나 HEC-RAS의 부정류 모의 결과가 비교적 정확한 것을 확인하였다.

래버린스위어에 의한 여수로 배제유량 증대 (Increase of Spillway Discharge by Labyrinth Weir)

  • 서일원;송창근;박세훈;김동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1B호
    • /
    • pp.11-2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중소규모 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연 월류형 여수로의 홍수배제능력 증대를 위해 여수로의 월류부 형상 개선에 따른 배제유량을 분석하였다. 대표적인 댐으로서 대수호지를 선정하였으며 여수로 배제유량 분석을 위해 3차원 수리해석 프로그램인 FLOW-3D를 적용하였다. 여수로 개축모형으로서 직선형 래버린스위어 및 곡선형 래버린스위어를 적용하여 각 모형별 월류양상 및 방류량을 현 상태인 선형 측수로식 여수로와 비교하였다. 수치해석 결과의 검증을 위해 Froude 상사법칙에 의해 1/40로 축소된 수리모형 실험 자료와 비교해 본 결과 측수로 내 흐름 및 월류양상이 서로 잘 일치하였으며 측벽 옹벽에서의 수위도 근사하였다. 설계홍수위 시 위어형상 별 측수로 내 월류양상을 비교해 보면 선형 측수로 여수로의 경우 위어를 통과한 측수로 내 흐름이 원활하였으나 직선형 및 곡선형 래버린스위어의 경우 방류량이 현 상태에 비해 40 cms 증가하여 위어를 월류한 흐름이 수면 위를 타고 반시계 방향으로 돌게 되며 잠류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수지 수위-방류량 모의 결과 직선형 및 곡선형 래버린스위어 모두 현 상태인 선형 측수로식 위어에 비해 유효길이를 더 확보할 수 있어서 저수위에서는 최대 71%의 방류량 증가 효과를 보였지만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측수로 내 잠류가 발생하고 수맥간섭이 심해져 방류곡선의 경사가 점차 완만해졌다.

How effective has the Wairau River erodible embankment been in removing sediment from the Lower Wairau River?

  • Kyle, Christensen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237-237
    • /
    • 2015
  • The district of Marlborough has had more than its share of river management projects over the past 150 years, each one uniquely affecting the geomorphology and flood hazard of the Wairau Plains. A major early project was to block the Opawa distributary channel at Conders Bend. The Opawa distributary channel took a third and more of Wairau River floodwaters and was a major increasing threat to Blenheim. The blocking of the Opawa required the Wairau and Lower Wairau rivers to carry greater flood flows more often. Consequently the Lower Wairau River was breaking out of its stopbanks approximately every seven years. The idea of diverting flood waters at Tuamarina by providing a direct diversion to the sea through the beach ridges was conceptualised back around the 1920s however, limits on resources and machinery meant the mission of excavating this diversion didn't become feasible until the 1960s. In 1964 a 10 m wide pilot channel was cut from the sea to Tuamarina with an initial capacity of $700m^3/s$. It was expected that floods would eventually scour this 'Wairau Diversion' to its design channel width of 150 m. This did take many more years than initially thought but after approximately 50 years with a little mechanical assistance the Wairau Diversion reached an adequate capacity. Using the power of the river to erode the channel out to its design width and depth was a brilliant idea that saved many thousands of dollars in construction costs and it is somewhat ironic that it is that very same concept that is now being used to deal with the aggradation problem that the Wairau Diversion has caused. The introduction of the Wairau Diversion did provide some flood relief to the lower reaches of the river but unfortunately as the Diversion channel was eroding and enlarging the Lower Wairau River was aggrading and reducing in capacity due to its inability to pass its sediment load with reduced flood flows.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2,000,000m^3$ of sediment was deposited on the bed of the Lower Wairau River in the time between the Diversion's introduction in 1964 and 2010, raising the Lower Wairau's bed upwards of 1.5m in some locations. A numerical morphological model (MIKE-11 ST) was used to assess a number of options which led to the decision and resource consent to construct an erodible (fuse plug) bank at the head of the Wairau Diversion to divert more frequent scouring-flows ($+400m^3/s$)down the Lower Wairau River. Full control gates were ruled out on the grounds of expense.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erodible bank followed in late 2009 with the bank's level at the fuse location set to overtop and begin washing out at a combined Wairau flow of $1,400m^3/s$ which avoids berm flooding in the Lower Wairau. In the three years since the erodible bank was first constructed the Wairau River has sustained 14 events with recorded flows at Tuamarina above $1,000m^3/s$ and three of events in excess of $2,500m^3/s$. These freshes and floods have resulted in washout and rebuild of the erodible bank eight times with a combined rebuild expenditure of $80,000. Marlborough District Council's Rivers & Drainage Department maintains a regular monitoring program for the bed of the Lower Wairau River, which consists of recurrently surveying a series of standard cross sections and estimating the mean bed level (MBL) at each section as well as an overall MBL change over time. A survey was carried out just prior to the installation of the erodible bank and another survey was carried out earlier this year. The results from this latest survey show for the first time since construction of the Wairau Diversion the Lower Wairau River is enlarging. It is estimated that the entire bed of the Lower Wairau has eroded down by an overall average of 60 mm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erodible bank which equates to a total volume of $260,000m^3$. At a cost of $$0.30/m^3$ this represents excellent value compared to mechanical dredging which would likely be in excess of $$10/m^3$. This confirms that the idea of using the river to enlarge the channel is again working for the Wairau River system and that in time nature's "excavator" will provide a channel capacity that will continue to meet design requirements.

  • PDF

퍼지제어기법을 사용한 우수배제 펌프의 조작기법 개발 (A New Control Technique of Drainage Pump Based on Fuzzy Control)

  • 이원환;조원철;심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07-114
    • /
    • 1992
  • 불투수성 면적의 증가로 인한 유출량의 증가와 홍수도달시간의 단축은 도시홍수에 의한 피해를 가중시키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도시홍수의 방재대책중 하나로 우수배제펌프의 조작기법으로 퍼지제어기법을 적용하여 내수배제능력을 검토하였으며, 기존의 수위기준에 의한 펌프조작기준과 비교하였다. 유수지의 유입량을 산출하기 위해 재현기간 10, 30, 50년의 성계호우를 ILLUDAS 모형에 적용하였다. 퍼지제어규칙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퍼지제어규칙 1, 2를 설정하여 가상조작한 결과 조작자의 경험이 포함된 퍼지제어규칙에 의한 펌프제어가 실용적인 면을 보였으며, 내수방재면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침수해석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Applying with GIS)

  • 이창희;한건연;김지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5-126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에서의 침수시뮬레이션에 필요한 도시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계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다. 이를 위해서 미국환경보호청(EPA)의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모형을 이용하여 도시지역 배수 시스템에서의 도시유역 유출량 및 월류량을 계산하고, 지표면으로 월류된 유량에 대해 GIS를 이용한 침수해석을 실시하였다. GIS를 이용한 침수해석 모형으로는 Level-Pool 침수해석모형과 DEM 기반 침수해석모형을 개발하고 도시지역에서의 시간별 침수위 및 침수범위 등을 계산 할 수 있게 하였다. 도시배수시스템과 지표침수해석모형을 GIS를 이용하여 통합시킨 도시침수해석 모형을 통해서 배수 시설에서의 유출량 예측과 지표면에서의 월류유량의 전파특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지역에서의 배수 시설의 설계 및 운영의 문제, 침수 예상도의 작성 및 각종 홍수 예경보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 지하차도 침수 분석을 통한 강제배제시설 평가 (Evaluation of Drain Pump System by Inundation Analysis in Urban Underground Passage)

  • 이정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192-1200
    • /
    • 2007
  • 도시유역의 강우 유출은 대부분 불투수지역인 도시유역의 유출 특성상 빠른 도달시간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도시유역에서의 강우 유출은 배수펌프장으로 집수되어 하천으로 배제된다. 그러나 설계강우를 초과하는 호우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배수펌프장의 용량을 초과하여 전량 하천으로 배제하기가 어려우며 따라서, 도시유역에서의 내수침수위험성이 증가하게 된다. 현행의 배수펌프장에서의 펌프 운영 기준은 배수펌프장의 집수정 또는 유수지의 수위에 따라서 가동되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최근 빈번히 발생하는 국지적 집중호우는 배수펌프장의 설계용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배수펌프장이 제어할 수 없는 강우 유출은 도시유역에서의 내수침수를 발생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하차도에서의 실제 내수침수 사례에 대한 모의를 통하여 당시 침수 발생의 요인을 분석하고 펌프 운영에 대한 변화를 통하여 배수펌프장 강제배제시설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 PDF

다차원 공간정보 기반의 충주댐 저수용량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of Reservoir Capacity of Chungju Dam based on Multi 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 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5D호
    • /
    • pp.533-540
    • /
    • 2010
  • 댐은 용수공급 및 홍수조절을 위한 매우 중요한 시설물이며, 따라서 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저수용량을 정확히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 저수지를 대상으로 다차원공간정보를 이용하여 시계열 저수용량 비교하였으며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댐 저수지 주변의 육상부와 수심부에 각각 LiDAR와 MBES 측량을 수행하였으며, 측량자료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캘리브레이션 보정과정을 실시한 후 지상기준점과의 검정을 통해 허용오차 기준을 만족하는 다차원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항공 LiDAR와 MBES 자료를 연계하여 생성한 정밀지형자료로부터 불규칙삼각망 모델을 이용하여 수위별 저수용량을 계산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2008년도 저수용량 곡선식을 개발하였다. 2008년도 저수용량을 1986년과 1996년과 비교한 결과, 저수지 퇴사증가로 인해 수위가 높아질수록 총저수용량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한 수위 구간별로 저수용량을 계산하여 침식과 퇴사가 나타나는 구간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특히 1986~2008년과 1996~2008년 동안의 평균수위 직상부 구간인 130.0~135.0m에서 가장 많은 침식특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집중강우로 인해 저수지 사면침식이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소유역에서 홍수조절용 펌프 및 유수지 규모의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ation of Capacity for Pump and Detention Pond in Small Basins for Flood Control)

  • 안태진;박종윤;류희정;김중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3호
    • /
    • pp.385-398
    • /
    • 2003
  • 내배수시설계획시 최대저류비에 의한 유수지 규모의 결정 방법은 이전 연구자에 의하여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두천시 11개 소규모 내배수시설을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배수면적이 작고 펌프기능이 강화된 내배수 시설에서는 강우지속기간별 우수지의 저류비의 차이는 미미하므로 최대저류비에 의한 조정지 규모의 결정은 무리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대저류비에 의하여 결정된 조정지 용량을 펌프에 의하여 배제되는 시간은 펌프의 허용시동간격보다 짧은 경우도 있어 펌프의 빈번한 작동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조정지는 펌프의 빈번한 작동에 의한 펌프 고장의 가능성을 피할 수 있는 규모로 결정되어야 한다. 다양한 펌프용량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소유역에서도 조정지의 기능이 강화된 내수배제시설에서는 최대저류비를 기준으로 한 조정지 용량의 결정은 펌프운영 측면에서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배수구역에서 조정지용량의 결정시 펌프의 계획배수량과 유수지의 용량에 따른 펌프의 시동빈도를 반영하여 기존의 최대저류비에 의한 방법을 개선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수지 규모와 펌프용량의 관계를 간단한 선형계획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종래의 유수지 홍수추적에 의한 유수지 용량 결정은 도시지역의 내배수시설 계획에만 타당함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일부 도시 및 농촌지역 여고생의 영양섭취, 식행동, 체형인식 및 철분영양상태 비교연구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Dietary Behavior,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Iron Nutritional Status among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f Urban and Rural Areas in Kyunggi-do)

  • 권우정;장경자;김순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90-101
    • /
    • 2002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nutrient intake, dietary behavior,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iron deficiency of high school adolescent girls. The subjects were 463 high school girls in Inchon.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and data were analysed by SAS program. Nutrient intakes collected from 3 day-retails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The follow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made on all participants height, weight, body fat (%), skinfold thirkness, subscapular skinfold thickness, mid-upper arm circumference and waist-hip circumference.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for iron nutritional status. The mean obesity index of rural students were highest among students. However, over 18% of the urban and rural students belonged to the low-weight group. Proportions of skipping meals were most high in urban vocational students and the main reason was lack of time for meal. Most nutrient intakes of the students were below the RDA, in particular calcium, iron, vitamin A and vitamin B$_2$. Most of the students were concerned with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Also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ody image. The mean fell hemoglobin and transferrin saturation of rural students were lowest among students. The total binding capacity of urban vocational student\ulcorner were Invest among students. Prevalence of iron deficiency was most high in urban general students when judged by Hb, MCV and serum ferritin.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nutrient intake in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as considerably lower than RDA. They should also be notified that severe weight control is very harmful for health. And they had lower self -satisfaction for their body image and undesirable flood habits. Therefore, prefer nutrition education is required to maintain desirable flood habits and improve their iron status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